‘장자’ 번역본에 색인 붙인 번역가 안동림 - 소설가 정인영 씨

  • Array
  • 입력 2010년 7월 28일 03시 00분


코멘트

“고전 안 읽는다 말고 쉽게 읽히게 해야죠”
1973년 안 씨 초판, 정 씨가 거들며 개정판 발간 “한글 단어로 찾으면 해당 한문구절까지 나오게”

《“내가 한번 해볼까?” 지난해 4월, 소설가 정인영 씨(77)의 이 한마디로 중국 고전 ‘장자’의 색인 작업이 시작됐다. 번역가 안동림 씨(78)가 1973년 ‘장자’ 번역본 초판을 낸 이후 두 번째 개정판을 내면서 벼르던 일이었다.50년 지기인 두 사람은 1년 동안 매주 월요일 서울 성북동의 감자탕집과중국집에서 만나 ‘장자’에 밑줄을 긋고 단어와 문장을 뽑았다. 최근 출간된 ‘장자’(현암사)는 장자 번역본 770여 쪽 외에 259쪽에 달하는 색인이 붙어있다. 단어와 문장으로 나누고 한문 원문과 한글 번역문을 함께 실었다. 국내에 번역된 중국 고전 중 색인까지 함께 나온 것은 처음이다.》
27일 이들을 성북동의 한 자장면 집에서 만났다.

“1958년쯤, 명동에 ‘갈채’라는 다방이 있었는데. 둘 다 글 쓴다고 거기서 소일하다 만났습니다. 돈 없어서 밖에 앉아 있다 누가 차 사준다면 들어가고, 원고료 받으면 점심 사먹고 그랬죠.”(안 씨)

안 씨는 영문학과를 나와 청주대 교수를 지냈고 고전 번역가와 음악 칼럼니스트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장자’ ‘벽암록’ 등을 번역했고 음악평론서 ‘이 한 장의 명반’ ‘불멸의 지휘자’ 등을 썼다. 정 씨는 소설가로 ‘나갈 길 없는 지평’ ‘소설 손자’를 냈다.

“고전에 색인이 없는 건 상식 이하예요. 한 번 보고 외우는 천재가 아닌 이상 공부할 때 색인을 보고 원하는 부분을 찾을 수 있어야지.”(안 씨)

27일 서울 성북동의 공원에서 만난 번역가 안동림 씨(오른쪽)와 소설가 정인영 씨. 두 사람은 “색인은 수시로 고전을 뒤지고 
연구하는 사람들에게 활용도가 높아 꼭 필요한 길잡이”라고 입을 모았다. 양회성 기자 yohan@donga.com
27일 서울 성북동의 공원에서 만난 번역가 안동림 씨(오른쪽)와 소설가 정인영 씨. 두 사람은 “색인은 수시로 고전을 뒤지고 연구하는 사람들에게 활용도가 높아 꼭 필요한 길잡이”라고 입을 모았다. 양회성 기자 yohan@donga.com
안 씨는 ‘장자’를 번역할 때부터 색인이 필요하다고 느꼈다. 그러나 ‘장자’의 전체 내용과 한문을 모두 잘 아는 사람이어야 제대로 만들 수 있다는 생각에 속앓이를 했다. 출판사 측도 어떻게 편집해야 할지 엄두를 내지 못했다. 그런 와중에 평소 장자를 좋아했고 고서도 많이 읽던 정 씨가 나섰다.

정 씨가 중요하다 싶은 단어와 구절에 밑줄을 긋고 컴퓨터에 입력해 매주 A4 용지 서너 장의 글을 갖고 가면 안 씨가 읽어보고 보충하는 형식으로 진행됐다.

“내가 뽑아간 글 중 혹시 한문 음을 잘못 단 게 있으면 이 친구가 보고 고쳐줬죠.”(정 씨) “에이, 고칠 것 몇 개 없이 완벽했지.”(안 씨)

정 씨가 컴퓨터에 입력한 한자만 약 15만 자. 이들이 가장 신경을 쓴 부분은 ‘읽히는 장자’를 만들어야 한다는 점이었다. 안 씨는 “젊은 친구들이 한문을 아나요. 그래서 색인을 단어와 문장으로 나누면서 한글을 먼저 썼어요. ‘장자에 뱁새를 예로 든 구절이 있었는데…’ 싶으면 색인에서 뱁새를 찾으면 정확한 한문 구절까지 찾을 수 있게요”라고 말했다. 색인에서 ‘공자’를 찾으면 단어는 물론 ‘공자가∼’ ‘공자는∼’부터 ‘공자행년육십이육십화(孔子行年六十而六十化)∼’까지 가나다순으로 나온다.

장자를 좋아하고 한문에 조예가 깊다는 점은 서로 비슷하지만 다른 점도 있다. 안 씨는 일찌감치 스마트폰을 구입해 논어와 시집 등을 내려 받아 읽지만 정 씨는 이번 봄에야 휴대전화를 마련했다. 그것도 안 씨가 “연락이 안 되니 빨리 사라”고 재촉해서 구입했다. 안 씨가 “겨우 마련했는데 그만 노인폰을 사더라”고 하자 정 씨는 “난 용건도 없이 주저리주저리 말하는 거 싫어하잖아. 집 전화 있으면 됐지 뭘”이라며 웃었다.

색인 작업은 올 초에 끝났지만 두 사람은 매주 월요일이면 어김없이 만나 오후 시간을 함께 보낸다. 중국집 맞은편에 있는 다방에서 안 씨가 스마트폰을 꺼내들었다. 친구 영향으로 정 씨도 클래식 감상 경력이 50년을 넘었다. 스마트폰에서 스코틀랜드 민요 ‘애니 로리’가 피아노 연주곡으로 흘러나왔다. 안 씨가 말했다. “잘 몰라도 많이 들으면 좋은 음악이 뭔지는 알아요. 책도 마찬가지죠. 고전이 어렵다고 피할 게 아니라 마음에 드는 구절부터 읽으면 세상을 사는 지혜를 얻을 수 있습니다.”

강은지 기자 kej09@donga.com
◆장자 색인 예시

공자 孔子 204, 386, 392, 417, 420, 512, 513, 524, 555, 557, 756(→공구孔丘·중니仲尼·구丘)

·공자孔子가 대답했다. ‘…군자君子란 어질지仁 않으면 이루어지지 않고, 의義롭지 못하면 살아가지 못합니다. 인의仁義는 정말 인간의 본성입니다…’[外-天道] 358

·공자孔子가 대답했다. ‘그들은 이 세상 밖에서 노니는 사람들이고…중략…내가 생각이 모자랐지.’[內-大宗師] 205

‘공자’가 본명인 공구(孔丘), 자(字)인 중니(仲尼) 등으로 언급된 페이지를 썼고, ‘공자’로 시작하는 구절을 가나다순으로 나열했다. [外-天道]는 장자 외편 중 천도(天道)에 대해 쓴 내용 속에 있다는 말이고, [內-大宗師]는 내편 중 대종사(大宗師) 부분을 의미한다. 젊은이들이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한글로 먼저 썼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