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의 여왕’ 전도연 “사랑, 더 많은 작품 연기하고파”

  • 동아일보
  • 입력 2019년 3월 25일 03시 00분


코멘트
전도연은 “제작, 연출 제안도 받은 적이 있지만 가장 잘하는 연기에 집중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매니지먼트 숲 제공
전도연은 “제작, 연출 제안도 받은 적이 있지만 가장 잘하는 연기에 집중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매니지먼트 숲 제공
《1919년 10월, 서울 종로 단성사에서 ‘의리적 구토’가 한국영화의 출발을 알렸다. 그로부터 100년. 수많은 영화가 만들어지고 그보다 많은 사람들이 ‘한국 영화 100년의 역사’를 채웠다. 배우 전도연(46)과 송강호(52). 스포츠동아가 창간 11주년 및 2019년 한국영화 100년을 맞아 100인의 영화 전문가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두 사람은 ‘한국영화 100년 최고의 남녀 배우’로 꼽혔다. 이달 중순 두 사람을 각각 만났다.》
 
언제부터일까. ‘칸의 여왕’이란 별칭은 부담감이 됐다. ‘그렇게 불리길 원한 적 없다’지만, 한때 ‘눈물의 여왕’이라고 불린 뒤 눈물 많은 배우의 진한 감성으로 칸 국제영화제 여우주연상을 거머쥐었다. 대중의 ‘작명(作名)’을 원망할 게 아니다.

‘한국 영화 100년의 최고 여자 배우’ 전도연. ‘독보적인 연기력’과 ‘국내외에서 쌓아온 성취’로 영화 전문가 100인 중 44인의 지지를 받았다. 고교 3학년 때 청소년잡지 모델로 우연히 발탁되면서 연기자가 됐고 “결혼하면 언제든 그만둘 수 있다”고 생각했다. 한때 ‘연기가 재미있다는 생각을 하지 못했다’던 그다.

“영화 ‘해피엔드’가 생각을 바꾸게 했습니다. 그저 주어진 대사나 외우면 되는 게 아니었어요. 작품을 중심으로, 캐릭터로서 생각하고 고민하게 했거든요.”

배우가 새로운 재미로 다가왔다. 촬영 현장에서 어떤 상황도 허투루 넘기지 못하는, 누구보다 치열한 배우로 거듭났다.

“현장에서 열심히, 정말 치열하게 소통하려 합니다. 어떤 감정으로, 어떤 이야기를 만들 거라는 얘기를 사전에 충분히 나누고 현장에 갑니다. 소통은 직접적이어야 하거든요.”

―그래서 감독들이 ‘무서운 배우’라고 하나 봅니다.

“항상 말합니다. ‘준비하고 나오면 안 무섭다’고요(웃음). 배우와 감독이 서로를 무서워할 일이 뭐 있나요. 각자 열심히 하면 되는데요.”

―‘밀양’의 이창동 감독에게도 그랬나요.

“내게는 스타 감독의 작품이었습니다. 정말 기대를 많이 했어요. 모든 정답은 감독이 쥐고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그냥 느끼는 대로 하라’며 명확한 설명을 주지 않았어요. 난 턱없이 부족한데. 너무 힘들고, 너무 고통스럽고, 너무 원망스러웠어요. 이럴 거면 왜 날 캐스팅했느냐 원망하며 화내고…. 하하하!”

전도연은 2007년 영화 ‘밀양’으로 한국 배우 최초로 칸 국제영화제 여우주연상을 거머쥐었다. 아직 결혼도 하지 않았던, 엄마도 아니었던 그는 무참하게 아이를 잃고 비명 같은 통곡으로 ‘어미’를 열연했다.

―어떤 이들은 ‘전도연은 직관의 배우, 그래서 타고난 배우’라고 합니다.

“작품과 캐릭터 분석 등 연기의 기본을 배운 적이 없습니다. 예전엔 모든 걸 알고 연기해야 한다고 여겼어요. 그런데 그게 아니라는 걸 ‘밀양’ 때 알았습니다. 그 혹독한 시간을 통해서요. 인물은 몸으로 느끼고 부딪쳐야 하는 것이었어요.”

―‘밀양’ 이후 몇 년간 대중성과 다소 거리가 있었지요.

“내가 어떻게 할 수 있는 게 없어요. 왜 고민하지 않았겠어요. 꼭 흥행해야 좋은 영화는 아니지만, 관객에게 사랑받는 작품을 하고 싶지 않겠어요. 예전과 지금, 시나리오를 선택하는 방식이 조금 달라졌다면 이젠 ‘진짜’에 집착하게 된다는 거예요.”

―‘진짜’에 집착하게 된 건 자연스럽게 나이가 들어가기 때문일까요.

“얼마 전 CF를 찍는데 뭔가 오글거리더라고요. 내 얼굴 같지 않았어요. 정말 낯설었어요. 그렇다고 시키면 못하느냐? 잘합니다! 나이 생각은 안 해봤는데 영향이 없지 않을 것 같긴 해요. 대체 언제 적 전도연이냐, 또 그렇게 적응하면서 살아야겠지요. 여배우로서 어쩌면 위치가 모호한 나이일 것 같아요. 작품을 좀 많이 하고 싶습니다.”

―유난히 사랑 이야기를 좋아하는 배우로 알려져 있습니다.

“좋아요, 사랑 이야기. 하지만 이젠 다른 식의 이야기를 하고 싶어요. 뭐가 될지 모르지만요.”

―‘밀양’ 직후인 2007년 봄 결혼했습니다. 어릴 때부터 현모양처를 꿈꿨다면서요.


“남편은 ‘밀양’이 없었다면 우린 이뤄지지 않았을 거라고 말합니다. 이 남자 아니면 죽을 것 같아야 하는 게 결혼이라고 생각했는데, 꼭 그렇지만도 않은 것 같아요. 현모양처요? 함께 만들어 가야 하는 것 같아요. 서로 맞춰가며 잘 사는 것, 그렇게 살고 있습니다.”

전도연은 초등학교 4학년생을 키우고 있는 엄마이기도 하다. 매일 오전 5시 반 일어나 아이의 아침밥과 등굣길을 챙긴다. 그는 4월 3일 주연작 ‘생일’의 개봉을 앞두고 있다. 2014년 4월 일어난 참사로 아이를 잃은 엄마 역할이 그의 몫이다. 예정된 인터뷰 시간이 끝났지만 그는 “잊지 말아야 할 이야기”라며 영화에 대해 말하고 또 말했다.

윤여수 tadada@donga.com·이해리 스포츠동아 기자
#전도연#한국 영화 100년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