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순덕 칼럼]안철수가 잘못 읽은 ‘링컨’

  • Array
  • 입력 2013년 3월 18일 03시 00분


코멘트
김순덕 논설위원
김순덕 논설위원
지난주 민주통합당에선 “정부조직법 타결시키고 ‘링컨’ 같이 보자. 영화 티켓 발권은 청와대 몫이다”라는 얘기가 나왔다. 안철수 전 서울대 교수가 귀국 소감에서 ‘링컨’을 굉장히 감명 깊게 봤다고 말한 게 자극이 된 듯하다.

그는 영화를 본 느낌을 이렇게 말했다. “(대통령이) 어떻게 여야를 잘 설득하고 어떻게 전략적으로 사고해서 일을 완수해 내는가. 결국 정치는 어떤 결과를 내는 것이다.”

영화 홍보대사도 아닐진대 듣는 사람이 불편해지는 건 그의 변하지 않는 거룩함 또는 위선 때문이다. 영화 감상도 너무나 거룩해서 영화 안 본 사람은 링컨을 설득의 대가로 착각할 것 같다. 지난해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같은 영화를 보고 “이상과 도덕적 명분을 추구하려면 정치인은 손을 더럽힐 줄 알아야 한다는 교훈을 배웠다”고 한 것과는 딴판이다. 그러고도 오바마는 “영화가 자기 얘기인 줄 아나” 같은 트위터 비판을 받았다.

곧바로 서울 노원병 보궐선거 운동에 나선 안철수가 본문만 757쪽인 영어책을 미국서 사왔다고 볼 시간이 있을지 알 수 없다. 다행히 한글에 더 익숙한 한국 독자를 위해 품절됐던 번역본 ‘권력의 조건’이 영화 개봉에 맞춰 다시 나왔다. 바쁜 안철수를 위해 책과 영화를 관통하는 정수를 뽑는다면 “내가 엄청난 권력을 지닌 미합중국의 대통령이며 바로 여러분이 두 표를 반드시 확보해주길 바란다는 것을 잊지 말라”는 링컨의 발언이 될 것이다.

링컨은 남북전쟁이 끝나면 2년 전 1863년 발표했던 노예해방 선언이 그냥 선언으로 끝날지 모른다고 우려했다. 앞으로 태어날 흑인들에게까지 법적 효력이 미치려면 헌법 수정조항 13조가 통과돼야 했다. 상원에선 3분의 2 표결로 통과됐지만 하원에서 3분의 2가 되려면 여당인 공화당이 찬성 몰표를 던진대도 부족했다. 링컨은 온건파 민주당 의원들을 한 명씩 집무실로 초대해 지지를 호소했고, 이들 중 몇에게는 다른 의원들의 두 표를 부탁했다.

우리말로 ‘확보’라고 번역됐지만 링컨이 말한 ‘procure’라는 단어는 거저 또는 설득만으로 목적물을 얻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협조 대가로 야당 의원이나 그 친지들에게 공직을 주거나 범죄를 사면하거나 선거자금을 대주거나 법안 처리를 거래하는 등등 제왕적 대통령 권력으로 할 수 있는 모든 정치공작, 요즘 말로 하면 정치공학적 접근이 죄 포함된다.

미국의 순회재판판사 존 누넌은 ‘뇌물’이라는 저서에서 “민주당 집권 때까지 링컨이 살아 있었다면 부패로 처벌받았을지도 모르지만 죽음으로 모든 것은 덮어졌다”고 했다. 링컨 연구가로 유명한 로널드 화이트가 “링컨이 거룩한 이상주의자라는 선입견을 깨주는 영화”라고 평하고, 오바마가 “정치인은 손을 더럽혀야…”라고 말한 것도 이 때문이다.

안철수가 이런 것까지 포함한 전략적 사고와 설득을 말한 건지는 분명치 않다. 만일 그렇다면, 목적을 위해선 불법 행위도 마다하지 않겠다는 선언이 될 수 있다. 링컨은 더러운 수단까지 정당화할 만큼 위대한 목표를 갖고 있었기에 존경받는 거다. 안철수도 “영화가 자기 얘기인 줄 아나” 비판받을까 걱정스럽다.

영화에서 링컨이 말하는 나침반은 정북(正北)을 가리킨다. 가는 길의 늪과 계곡을 피하는 게 링컨이 이끄는 리더십이었다. 정치란 위대한 비전과 교활한 정치공학의 결혼임을 이처럼 잘 보여준 영화도 드물다.

안철수의 나침반은 어느 방향을 가리키는지 알 수 없다. 그가 말하는 새 정치, 국민이 주인 되는 정치, 낮은 정치가 뭔지도 모르겠다. 제대로 밝힌 적이 없기 때문이다. 오죽하면 지역구 재래시장에서 만난 노인이 “애매하게 하지 말고 확실하게 얘기해야 한다”고 야단을 쳐 자기 말로 뻘쭘해졌겠는가.

자신의 방향도, 어떤 결과가 나올지도 알리지 않으면서 설득의 정치를 말하는 건 황당하고도 주제넘다. 안철수로선 일주일 전 귀국 당시 정부조직법을 놓고 꽉 막힌 박근혜 정부와 여야를 싸잡아 비판하는 의도였을 터다. 그러나 공직이나 사면 뇌물 법안 거래 등 영화에서처럼, 또 안철수 말처럼 ‘다양한 방법으로 설득’해 법을 처리한다면 박수칠 수 없다. 그런 기존 정치권의 짬짜미와 부패에 신물 나 국민은 새 인물을 원했고, 그래서 ‘안철수 현상’이 일어났던 건데 안철수 이름값도 안 나올 판이다.

그가 안철수 현상을 담을 만한 그릇이 아니라는 평가는 안철수 캠프에 몸담았던 교수들 입에서 진작 나온 바 있다. 지난 대선에서 야권 후보 단일화를 두고 ‘미래 대통령’ 같은 뒷말이 나오는 걸 보면 실제로 어떤 정치공학적 접근이 오갔는지도 알 수 없다.

이번 노원병 후보 단일화를 놓고도 안철수는 “정치공학적 접근은 하지 않겠다”고 잘라 말했다. 대선후보 근처까지 갔던 사람이 노원병 지역을 택한 것만으로도 정치공학적이라는 비판이 나오는데 자신만은 여전히 거룩하다고 믿는 눈치다.

거기까지가 안철수의 그릇이라면 어쩔 수 없다. 다만 남이 하면 정치공학, 내가 하면 설득 식의 위선은 버려줬으면 좋겠다. “모든 사람을 얼마 동안 속일 수 있다. 몇 사람을 늘 속일 수도 있다. 그러나 모든 사람을 늘 속일 수는 없다”고 말한 사람이 링컨이었다.

김순덕 논설위원 yuri@donga.com
#안철수#링컨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