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자의 그림 한 장으로 시작한 ‘WWW’… 세계를 하나로 묶다

  • 동아일보
  • 입력 2019년 3월 15일 03시 00분


코멘트

‘월드와이드웹’ 탄생 30주년

월드와이드웹(WWW) 탄생 30주년을 앞둔 6일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에서 열린 기념 학술대회에서 웹 전문가들이 토론하고 있다(왼쪽 사진). 팀 버너스리 영국 옥스퍼드대 교수가 CERN에 재직하던 1994년에 자신이 1989년 제안한 월드와이드웹 화면을 띄운 컴퓨터 앞에 앉아 있다. CERN 제공
월드와이드웹(WWW) 탄생 30주년을 앞둔 6일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에서 열린 기념 학술대회에서 웹 전문가들이 토론하고 있다(왼쪽 사진). 팀 버너스리 영국 옥스퍼드대 교수가 CERN에 재직하던 1994년에 자신이 1989년 제안한 월드와이드웹 화면을 띄운 컴퓨터 앞에 앉아 있다. CERN 제공
스마트폰을 켜면 멀게는 지구 반대편에 저장돼 있는 정보가 인터넷이라는 정보망을 타고 눈앞에 온다. 건너온 정보는 내 컴퓨터에서 ‘웹사이트’ 또는 ‘웹페이지’라는 형식으로 펼쳐진다. ‘URL’이라는 일종의 주소와 함께. 흔히 ‘웹’이라고 줄여 부르는 인터넷상의 정보 공간 ‘월드와이드웹(WWW)’이다. 인터넷을 통해 세계를 하나로 만드는 데 가장 큰 공헌을 한 웹이 12일 탄생 30주년을 맞았다.

웹은 팀 버너스리 영국 옥스퍼드대 교수가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에 재직 중이던 1989년 3월 12일 종이 한 장에 그린 개념도에서 출발했다. 그는 제안서에서 곳곳의 컴퓨터에 저장돼 있는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연결해 언제, 어디서건 누구라도 접근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을 생각하다 웹 아이디어를 떠올렸다. 정보의 소유권은 소유자에게 그대로 둔 채 활용도만 극대화하는 방법이었다. 12일 스위스 제네바에 있는 CERN에서 열린 웹 30주년 기념 행사에서 버너스리는 “누구나 자유롭게 콘텐츠를 만들고 접근할 수 있지만 데이터의 소유권은 각자에게 있다는 민주적인 이상에서 시작됐다”고 말했다.

버너스리는 원래 물리학 연구자를 위해 웹을 만들었다. CERN은 어마어마한 양의 데이터를 만들어 내는 유럽 기초물리학 연구의 중심지다. 지금도 빅데이터를 생산하는 대표적 연구시설로 꼽힌다. CERN 지하 100m 지점에 설치된 세계 최대의 입자충돌기인 ‘대형강입자충돌기(LHC)’에서는 1조 개가 넘는 양성자가 지름 27km의 고리 모양 가속기를 1초에 1만1245바퀴의 속도로 돌며 초당 10억 번씩 충돌한다. 이때 복잡한 입자 충돌 궤적이 데이터로 나오는데, 그 가운데 일부만 선별해 기록한다. 이 과정에서 매년 만들어지는 데이터는 블루레이 120만 장 분량인 30PB(페타바이트·1PB는 1000테라바이트)다.

버너스리가 웹을 만들던 30년 전에는 데이터양이 이만큼 많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유럽에서 손꼽히는 빅데이터였다. 그는 이 데이터와 유럽 각지에 흩어져 있는 컴퓨터에서 각각 수행된 관측 또는 실험 결과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공동연구에 활용할 방법을 고민했다. 일종의 연구망으로 시작했지만 특유의 편리성 덕분에 웹은 급속히 다른 분야와 국가로 번졌고, 지금은 사실상 인터넷을 이용하기 위해 가장 널리 이용되는 정보 공간이 됐다.

웹은 몇 가지 규칙을 기반으로 만들어진다. 우선 각각의 정보가 있는 정보 자원이 있다. 인터넷 화면의 글자, 사진, 영상 등 하나하나가 다 정보 자원이다. 버너스리는 자원 하나하나를 개별적으로 찾아갈 필요 없이 이들이 일정한 규칙(HTML)에 따라 모여서 일정한 형식을 갖춰 사용하는 사람의 컴퓨터에 나타나도록 했다. 사진과 글, 영상 등을 한 덩어리로 모이도록 서로 연결시켜 준 ‘하이퍼텍스트’다. 하이퍼텍스트를 가상의 2차원 화면에 배치한 것이 웹페이지고, 이런 페이지가 모인 것이 웹사이트다. 현재 우리는 사파리나 크롬, 익스플로러 등의 웹브라우저를 이용해 이런 웹페이지나 웹사이트를 찾고, 읽는다. 대부분의 관련 용어에 ‘웹’이 들어간 데에서 알 수 있듯이 웹은 인터넷 세상을 사실상 평정했다.

30년을 맞아 파비올라 자노티 CERN 소장은 “웹은 전 세계에 가 닿을 수 있는 뛰어나고 강력한 도구가 되어 왔다”며 “장벽을 부수고 교육과 정보를 모두에게 제공해 불평등을 줄이는 데 일조했다”고 평했다.

버너스리는 “오늘날의 웹이 긍정적인 상황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경고했다. 그는 “망 중립성과 자유로운 의사 개진, 프라이버시, 그리고 자신이 소유한 데이터에 대한 통제권을 온전히 소유자 자신이 지니도록 하는 부분이 위협받고 있다”며 “이런 가치를 지키기 위해 싸워야 한다”고 말했다.

중국을 비롯한 일부 국가에서 정보 통제를 강화하는 등 자신이 처음 세운 민주적 원칙이 흐트러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들 특정 국가를 중심으로 한 폐쇄적 집중 네트워크가 생겨난 점도 공유와 개방, 정보의 개인 소유를 강조하는 웹의 정신과 맞지 않는다.

현재 버너스리는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와 함께 ‘솔리드’라는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웹의 모든 데이터에 주소를 주고 어떻게 연결돼 있는지(링크) 정보를 부여해 연결성을 높인 ‘링크트 데이터’를 이용해 웹을 특정한 기업이나 국가가 독점하지 못하도록 만드는 프로젝트다. 이를 통해 다시 한 번 데이터의 소유권을 개인에게 명확히 주고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게 목표다.

윤신영 동아사이언스 기자 ashilla@donga.com
#월드와이드웹#www 탄생 30주년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