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four)에버육아]<4>다다익전(錢):많으면 많을수록 돈이 많이 든다

  • 동아일보
  • 입력 2018년 4월 19일 10시 10분


코멘트

다자녀 집은 돈이 많이 든다. 아이가 많으니 당연한 일이다.

첫 아이가 치즈를 먹기 시작할 즈음, 조금이라도 아껴보겠다고 온라인카페 공동구매를 이용해 아기용 슬라이스치즈를 샀었다. 스티로폼 박스 가득 수백 장의 치즈가 배달됐는데 아이가 하루에 1장, 많아야 2장 먹으니 통 줄어들질 않았다. 결국 몇 달 뒤 남은 치즈 수십 장을 내가 꾸역꾸역 요리에 넣어 먹었던 기억이 난다.

하지만 이젠 다르다. 난 이제 세 아이의 엄마가 됐고 머리가 큰 세 아이는 하루에도 슬라이스치즈를 2장씩 먹는다. 하루에 최소 6장. 300장 들이 세트를 사도 두 달이 못 가 동이 난다.

어린이날이나 크리스마스 시즌이면 각종 장난감 프로모션이 뜨는데 다자녀 엄마에게는 대부분 ‘그림의 떡’일 뿐이다. 세일해도 10만 원이 넘는 고가 장난감들을 다른 집처럼 사줬다간 한 달 생활비가 거덜 나기 십상이다. 그렇다고 누군 비싼 거, 누군 싼 거 사주면 아이들 눈에도 보이는지 대번에 전쟁이 난다. 결국 저렴한 장난감으로 ‘하향평준화’의 길을 택할 수밖에 없다.

지난해 크리스마스 때도 인터넷에서 할인하는 2만원대 공주 장난감 세트를 세 아이 모두 비슷하게 맞춰 준비했다. 머리가 제법 큰 첫째는 “친구들은 다 ‘시크릿 셀카폰’이랑 ‘소피루비 시계’ 있어요”하며 구체적인 제품명을 내밀었으나 “산타할아버지는 그런 요새 장난감은 잘 모르셔”라는 말도 안 되는 핑계로 둘러댔다.



그러곤 미안한 마음에 알아보니 장난감 가격이 생각보다 비싸지 않았다. ‘저렇게 원하는데 하나 사줄까?’ 결국 못 이긴 척 하나를 주문했다. 그런데 아뿔싸, 하나를 사니 셋이 서로 갖겠다며 싸웠다. 어쩔 수 없이 셀카폰도 하나 더, 시계도 하나 더 장만하면서 10만원 훌쩍 넘는 돈을 써야 했다. 역시 함부로 사주는 게 아니었다.

아이들 옷값은 또 왜 그리 많이 드는지. 셋 다 동성이라 다 물려 입으면 되겠다고 생각했던 건 오산이었다.

내복은 자주 빨다 보니 길어야 두 아이만 입으면 해어졌다. 겉옷은 아이들마다 태어난 계절이 다르고 성장 속도가 달라 물려 입을 수 없는 옷이 많았다. 예를 들어 첫째는 늦은 봄 태생이라 돌 때 여름옷을 입었다. 반면 겨울에 태어난 둘째는 첫 여름에는 6개월, 그 다음 여름에는 18개월이었기에 언니 여름옷을 물려 입을 수가 없었다. 늦여름 태생인 셋째도 마찬가지로 간극이 발생했다.

결국 이렇게 저렇게 틈을 메우는 과정에서 야금야금 옷값이 들었다. 그나마 둘째, 셋째는 어떻게라도 물려 입지, 첫째는 물려 입을 데도 없었다. 신랑이나 나나 모두 양가에서 개혼인데다 지인들 통틀어서도 아이를 빨리 낳은 축에 속했기 때문이다.

나들이 갈 때는 또 어떤가. 다자녀는 숙박 시 추가요금을 내야할 때가 많다. 애초 예약 자체가 안 되는 곳도 다수다. 얼마 전 아이들을 좀 편하게 놀릴 요량으로 키즈 풀빌라란 곳에 가봤다. 예약을 잡으려고 여기저기 검색하는데 5인부터는 두 가족이 머무는 방을 잡아야 하는 곳이 많았다. 즉 4인 초과 가족이 묵으면 단순히 인당 요금을 추가해야 하는 게 아니라 아예 두 가족 요금을 내야 했다. 추가요금 없이 5인을 받아주는 곳은 없었다.

이러다 보니 애들 특별히 좋은 것 입히고 먹이는 것도 아닌데 월급날이 오기도 전에 통장 잔고는 늘 바닥을 헤맸다. 나는 자연히 구두쇠 엄마가 되어갔다. “안돼, 못 사줘.” “엄마는 안 사줘.” 아이들은 이제 뭐 사고픈 게 있으면 슬며시 아빠에게 간다. 엄마는 어차피 사주지 않는 걸 알기 때문이다.

“요새 다자녀면 국가가 다 키워주는 거 아냐?” 사람들은 이야기한다. 하지만 생각보다 많은 혜택이 우리 가족을 비껴간다. 다자녀 가정 대학등록금만 해도 우리 가족은 소득제한에 걸려 받을 수 없다. 다자녀 자동차 취·등록세 감면, 청약 우선공급 혜택은 말 그대로 청약을 신청하고 새 차를 사야 받을 수 있다. 도시가스, 전기세, 수도세 할인은 받지만 다 합해야 몇 만 원 수준.

물론 저출산이 국가적 문제라 해서 다자녀 가정이 엄청난 혜택을 받아야 한다는 뜻은 아니다. 그저 알려진 것보다 혜택이 적으니 아껴 쓰고 살아야 한다는 것이다. 아이 하나만 성인까지 키우는 데도 3억 원이 든다지 않나.

이제 곧 한 명 더 늘고 나면 4명. 하루에 슬라이스 치즈가 8장씩 사라질 걸 생각하면 아뜩하다. 피자 한 번 시켜먹으려 해도 한 판으로는 모자라고 치킨은 3마리쯤 시켜야겠지. 책상은 어쩌나. 옷은? 학원비는?

이런 고민을 하고 있으면 신랑은 심드렁하게 답한다. “100만원 벌고, 200만원 벌어도 다 키워. 어찌 저찌 있는 돈 안에서 크게 돼있어.” 아니, 뭐 저렇게 태평한가 싶다가도 결국 그게 정답이라는 생각이 든다. 부족함 없이 자라서 ‘땅콩회항’ 시키고 ‘물벼락 갑질’하는 자녀들도 있지 않나. 중요한 건 ‘어떻게 키우는가’이지, ‘얼마로 키우는가’는 아닐 테다.

이미지 기자 image@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