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 포인트

연재

한자로 읽는 고전

기사 150

구독 3

날짜선택
  • [김원중의 한자로 읽는 고전]<151·끝>견소왈명(見小曰明)

    사소한 변화를 감지하는 날카로운 통찰력을 의미하는 말로 노자 52장에 나오는 말이다. 이 말의 의미를 한비는 법가적으로 이렇게 재해석했다. “옛날 주왕(紂王)이 상아 젓가락을 만들자 기자(箕子·은나라의 마지막 왕인 주왕의 숙부. 태사(太師) 벼슬을 지냈으며 기(箕)

    • 2012-10-31
    • 좋아요
    • 코멘트
  • [김원중의 한자로 읽는 고전]<150>퇴고(推敲)

    시문을 지을 때 글자나 구절을 정성껏 다듬고 고치는 것을 가리키며 ‘추고(推敲)’라고도 한다. 이 말의 유래는 당시기사(唐詩紀事) ‘가도(賈島)’ 편에 나온다. 당나라 때 시인 가도(賈島)가 어느 날 노새를 타고 길을 가다가 문득 시상이 떠올라 시를 짓기 시작했다. ‘

    • 2012-10-30
    • 좋아요
    • 코멘트
  • [김원중의 한자로 읽는 고전]<149>독조한강설(獨釣寒江雪)

    은둔하며 사는 낚시꾼의 삶을 말하는 것으로 당대의 오언절구의 절창으로 꼽히는 유종원(柳宗元)의 ‘강설(江雪)’이란 작품에 나온다. “온 산에 새 날지 않고/온 길에 사람 발자취 없는데./외로운 배엔 도롱이에 삿갓 쓴 노인/홀로 낚시질하는데 차가운 강엔 눈이 내린다(

    • 2012-10-29
    • 좋아요
    • 코멘트
  • [김원중의 한자로 읽는 고전]<148>청천벽력(靑天霹靂)

    생각지도 못한 돌발사고나 급박한 상황이 벌어지는 것을 비유한다. 청천(靑天)은 청천(晴天)과 같으니 맑은 하늘의 날벼락이란 의미다. 남송(南宋)의 애국 시인 육유(陸游)는 자는 무관(務觀)이고 호는 방옹(放翁)이며, 금나라가 쳐들어왔을 때 살았던 시인으로 그는 중원을

    • 2012-10-26
    • 좋아요
    • 코멘트
  • [김원중의 한자로 읽는 고전]<147>녹엽성음(綠葉成陰)

    여자가 결혼해 자녀가 많은 것을 비유하며 당나라 시인 두목(杜牧)의 시에서 나온 말이다. 명문귀족 출신답게 26세에 진사에 급제하였으나 한동안 막부(幕府)의 각료나 지방관을 지내는 등 벼슬길이 순조롭지 않았다. 높은 벼슬을 하면서도 만족하지 않았고 양주(陽州) 진주

    • 2012-10-25
    • 좋아요
    • 코멘트
  • [김원중의 한자로 읽는 고전]<146>부마(駙馬)

    부마란 본래 왕의 행차에 여벌로 준비한 예비용 수레인 부거(副車)를 끌던 말을 뜻하는 것이었다. 동진(東晉)의 간보(干寶)가 편찬한 설화집 ‘수신기(搜神記)’ 권16에 이런 내용이 있다. 전국시대 농서((농,롱)西) 땅에 신도탁(辛道度)이라는 젊은이가 살고 있었다. 그는

    • 2012-10-24
    • 좋아요
    • 코멘트
  • [김원중의 한자로 읽는 고전]<145>공휴일궤(功虧一(竹+貴)

    사소한 방심으로 거의 완성된 사업이 헛될 수도 있다는 의미다. 구인일궤(九(人+刃)一(竹+貴)), 미성일궤(未成一(竹+貴))라고도 한다. 궤(竹+貴)는 광(筐)자와 같으며 흙을 담는 도구로, 대나무로 만든다. 상서(尙書) ‘여오(旅獒)’편에 이런 이야기가 있다. 주나라 무왕(武

    • 2012-10-23
    • 좋아요
    • 코멘트
  • [김원중의 한자로 읽는 고전]<144>불구심해(不求甚解)

    책을 읽어 큰 뜻을 깨달을 뿐 지나치게 깊이 이해하려 들지 않는다는 뜻이다. 도연명(陶淵明)은 진(晉)나라 시인으로 이름은 잠(潛)이다. 연명은 그의 자이다. 도연명이 살던 때는 왕실이나 권문세족들의 세력이 약해지고 신흥 군벌이 각축을 벌였으며 어수선한 정세를 틈탄

    • 2012-10-22
    • 좋아요
    • 코멘트
  • [김원중의 한자로 읽는 고전]<143>비방지목(誹謗之木)

    백성들의 고통을 마음에 새겨 정치에 반영하는 것을 말한다. 요(堯) 임금은 백성을 자식처럼 여기고 어진 정치를 행한 전설상의 천자다. 그는 교만하지 않았고 백관(百官·모든 벼슬아치)들에게도 공명정대했으며, 공과 사도 분명했다. 방제(放齊)라는 신하가 요 임금의 아

    • 2012-10-19
    • 좋아요
    • 코멘트
  • [김원중의 한자로 읽는 고전]<142>세이(洗耳)

    세속에 물들지 않고 고결한 삶을 살아가려는 의지를 비유하는 말로 기산세이(箕山洗耳), 영수세이(潁水洗耳)라고도 한다. 진대(晉代)에 황보밀(黃甫謐)이 지은 ‘고사전(高士傳)’이라는 책의 ‘허유(許由)’ 편에 나오는 말이다. ‘고사전’은 청고한 선비들의 언행과 일화

    • 2012-10-18
    • 좋아요
    • 코멘트
  • [김원중의 한자로 읽는 고전]<141>교결호협(交結豪俠)

    활달한 성품을 비유하는 말이다. 유비를 평한 말로 정사 삼국지 촉서 ‘선주전(先主傳)’에 나온다. 유비는 성이 유(劉)이고 휘(諱·이름에 대한 존칭)는 비(備)이며 자는 현덕(玄德)이다. 탁군(탁郡) 탁현(탁縣) 사람으로, 한(漢)나라 경제(景帝)의 아들 중산정왕(中山靖王

    • 2012-10-17
    • 좋아요
    • 코멘트
  • [김원중의 한자로 읽는 고전]<140>남귤북지(南橘北枳)

    수질과 풍토에 따라 과실 맛이 달라진다는 말로 인간 역시 주위 환경에 따라 변한다는 뜻이다. ‘귤화위지(橘化爲枳)’라는 말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춘추시대 제나라의 명재상 안영(晏영)이 초나라에 사신으로 가게 되었다. 초나라 영왕이 이 소식을 듣고 곁에 있는 자들

    • 2012-10-16
    • 좋아요
    • 코멘트
  • [김원중의 한자로 읽는 고전]<139>명세지재(命世之才)

    ‘명세재(命世才)’라며 위나라를 창업한 난세의 영웅 조조를 품평한 교현(橋玄)의 말이다. “천하는 장차 혼란에 빠질 것인데 세상을 구할 만한 재목이 아니면 이를 구제할 수 없을 것이오. 그리고 천하를 안정시키는 일은 아마도 그대에게 달려 있을 것인저(天下將亂,非

    • 2012-10-15
    • 좋아요
    • 코멘트
  • [김원중의 한자로 읽는 고전]<138>이죄수주 인불원상(以罪受誅, 人不怨上)

    ‘사람은 잘못을 저지를 경우엔 어떤 벌을 받더라도 벌 준 사람을 탓하지 않는다’는 말로 한비자 ‘외저설좌하’ 편에 나온다. 공자가 위(衛)나라의 재(宰·지방 장관)로 있었을 때, 제자인 자고(子(고,호))가 옥리로 있었다. 어떤 죄인을 발목 자르는 형에 처했다. 발목

    • 2012-10-12
    • 좋아요
    • 코멘트
  • [김원중의 한자로 읽는 고전]<137>왕좌지재(王佐之才)

    뛰어난 재능을 지녀 제왕을 보좌할 만한 큰 그릇이라는 의미로, 정사 삼국지 순욱전(荀彧傳)에 나온다. 명문가의 자손으로 태어난 순욱은 나이 50에 세상을 떠나기까지 조조의 창업을 도운 핵심 참모다. 그는 북방의 장수 원소(袁紹)에 의해 상빈(上賓)의 예우를 받았다. 동

    • 2012-10-11
    • 좋아요
    • 코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