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R]“적정 스트레스, 성공 가도에 윤활유 역할”

  • Array
  • 입력 2009년 11월 28일 03시 00분


코멘트

■ ‘행동경제학’ 개척자 대니얼 카너먼 교수 인터뷰
돈, 인격 형성에는 전혀 기여안해
상호신뢰-소속감이 행복에 큰 영향

심리학자로 노벨 경제학상을 받은 대니얼 카너먼 교수는 ‘행동경제학’의 창시자 중 한 명이며, ‘행복 연구’ 분야의 선구자다. 그는 은퇴 이후부터 지금까지 프린스턴대 우드로윌슨 공공 및 국제문제대학원 선임연구원으로 연구 활동을 지속하고 있다. 사진 제공 이곤젠더인터내셔널
심리학자로 노벨 경제학상을 받은 대니얼 카너먼 교수는 ‘행동경제학’의 창시자 중 한 명이며, ‘행복 연구’ 분야의 선구자다. 그는 은퇴 이후부터 지금까지 프린스턴대 우드로윌슨 공공 및 국제문제대학원 선임연구원으로 연구 활동을 지속하고 있다. 사진 제공 이곤젠더인터내셔널
스트레스와 돈, 사회적 관계는 인간의 행복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대니얼 카너먼 전 프린스턴대 교수는 평생 이 주제를 연구해 왔다. 그는 심리학의 통찰력을 경제학에 접목한 ‘행동경제학’을 개척한 공로로 2002년 노벨 경제학상을 받았다. 카너먼 교수는 경제학자들 사이에 널리 퍼져 있는 ‘인간은 예상대로 움직이는 합리적인 존재(즉 경제적 인간·homo economicus)’란 주장을 반박하고 “인간의 의사결정에는 한계와 오류, 편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글로벌 인사전략 컨설팅사인 이곤젠더인터내셔널은 최근 카너먼 교수를 인터뷰하고 그 내용을 자사 매거진 ‘포커스’에 소개했다. 카너먼 교수는 △스트레스 수준과 인생의 성공 사이에는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고 △금전적 인센티브는 긍정과 부정 두 가지 영향을 동시에 미치며 △상호 신뢰와 소속감 등 사회적 요소들이 금전적인 요소 못지않게 행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말했다. 기사 전문은 동아비즈니스리뷰(DBR) 46호(12월 1일자)에 실려 있다.

○ 스트레스와 성공의 상관관계

우선 카너먼 교수는 “스트레스의 수준과 인생의 성공 사이에는 긍정적 상관관계가 있다”고 말했다. “사람들은 스트레스를 좋아하지 않습니다. 대부분이 그렇게 말하지요. 스트레스는 분명 유쾌한 감정은 아닙니다.” 하지만 여러 연구 결과를 통해 스트레스 수준과 인생의 성공 사이에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성공적으로 경력을 쌓아가는 사람들은 자신이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를 겪고 있다고 얘기한다. 마찬가지로 스트레스 수준이 높은 국가는 그만큼 많은 부(富)를 갖고 있다. 같은 나라 안에서도 교육 수준이 높고 부유한 사람들은 교육 수준이 낮고 가난한 사람들에 비해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를 호소한다.

소득과 ‘삶에 대한 만족’의 관계는 경제적인 행복을 논할 때 가장 뜨거운 논쟁을 불러일으키는 주제 중 하나다. 이와 관련해서는 1974년 경제학자 리처드 이스털린이 발표한 ‘이스털린 역설(Easterlin Paradox)’이 주로 언급돼 왔다. 이스털린은 많은 나라에서 부와 행복이 정비례 관계가 아니라는 사실을 발견했다.

하지만 최근에는 이스털린 역설에 일부 문제가 있거나 적어도 역설의 ‘명확한’ 결론과 관련해서는 오해의 소지가 있다는 주장이 점차 힘을 얻고 있다. 카너먼 교수는 대체로 이스털린 역설에 의문을 제기하는 사람들과 같은 생각을 갖고 있다. 사실 많은 나라에서 생활수준이 높아지면 삶에 대한 만족도도 덩달아 높아진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 돈은 인격 형성에 기여 안 해

카너먼 교수는 성과급 등 금전적인 인센티브가 ‘동기부여’라는 긍정적인 영향 외에 부정적인 영향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강조했다. 최근 여러 업계, 특히 금융업계에서 과도한 보너스가 기업의 비극적인 결말을 불러올 수 있다는 사실이 증명된 것처럼 말이다. 카너먼 교수는 보너스가 갖고 있는 중대한 문제점은 “보너스가 단기지향적인 태도를 만들어낸다는 점에 있다”고 설명했다.

그리고 최근의 연구 결과들은 돈이 ‘악의 근원’이 아닐 수도 있지만 인격 형성에는 전혀 기여하지 않는다는 점을 보여준다. 카너먼 교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실험을 예로 들었다. 실험실 테이블 위에 컴퓨터를 한 대 놓고 그 화면에서 때때로 물 위에 떠 있는 지폐를 보여줬다. 바로 그때 누군가가 실험실에 들어와 마치 실수인 것처럼 여러 자루의 연필을 떨어뜨렸다. 흥미롭게도 돈이 물 위에 떠 있는 모습을 본 학생들은 연필을 집으려 하지 않는 경향이 있었다.

이 연구는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돈에 관심을 갖고 있는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좀 더 이기적으로 행동한다는 사실을 확인시켜 준다. 즉, 돈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은 다른 사람을 돕거나 남의 도움을 받기를 원치 않는다. “기업의 목표가 경쟁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라면 개별적 보너스 지급이 도움이 되지만 그것은 임직원 전체의 사기나 협동에는 오히려 해가 될 수도 있습니다.”

○ 세계에서 가장 행복한 나라

카너먼 교수는 사회적 요소들이 금전적인 요소 못지않게 행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를 측정하기 위해 ‘인생 사다리(ladder of life)’란 평가도구를 개발했다. 인생 사다리의 10개 칸은 삶에 대한 만족도를 나타낸다.

이 조사 방식은 국가적 부의 증가와 개인적 삶의 만족도 사이에 아주 밀접한 통계적 상관관계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려준다. 하지만 두 요소가 완전한 정비례관계를 갖고 있다고는 볼 수 없다. 조사 결과 지구상에서 덴마크인(평균 8점)이 가장 행복한 것으로 밝혀졌기 때문이다. 덴마크가 부유하긴 하지만 세계에서 가장 잘사는 나라는 아니다.

이에 대해 카너먼 교수는 “사회적인 요인이 개인적 행복에 강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사회적 요인 중 하나는 바로 사회 전체에 퍼져 있는 상호 신뢰의 수준이다. 경제적인 관점에서 상호 신뢰 수준은 각국의 부패지수를 통해 측정할 수 있다. 부패가 만연하면 사람들은 상대를 신뢰하지 않고 낯선 사람을 믿지 않는다. 결국 낮은 신뢰도는 사회의 전반적 정서에 악영향을 끼친다. 덴마크는 부패 수준이 매우 낮은 나라다.

카너먼 교수는 “조직이나 기업은 사회적 네트워크와 가치 있는 경험(개인적 안전과 소속감 등)에서 오는 신뢰의 중요성을 결코 가볍게 보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런 요소들이 행복을 구성하기 때문이다.

문권모 기자 mikemoon@donga.com

국내 첫 고품격 경영저널 동아비즈니스리뷰(DBR) 46호(2009년 12월 1일자)의 주요 기사를 소개합니다.

DBR 웹사이트 www.dongabiz.com, 개인 구독 문의 02-721-7800, 단체 구독 문의 02-2020-0685


▼Special Report/Performance Evaluation
인사 평가의 계절이 돌아왔다. 평가는 인재 관리에 반드시 필요한 요소다. 하지만 많은 기업 관리자는 평가를 귀찮은 일상 업무로 취급한다. 평가는 기업의 전략과 일치해야 한다. 또 원하는 인재상을 확산시키는 도구로 자리 잡아야 한다. 올해 인사 평가를 앞두고 인사 담당자와 평가 주체인 관리자들이 반드시 생각해봐야 할 실천적 지침을 종합했다.

▼Harvard Business Review/Make Better Decisions
대부분의 조직에서는 의사결정의 권한을 개인에게 쥐여주고 의사결정 과정을 거의 감독하지 않는다. 그 결과로 나타난 대표적 폐해가 금융위기로 불거진 금융 문제에 관한 부실한 결정들이다. 현명한 조직은 4단계에 걸쳐 관리자들의 의사결정 개선을 지원한다.

▼Guru Interview/브랜드 관리 분야의 석학 장 노엘 카페레 교수
‘럭셔리(luxury)’란 사회에서 선망 받는 고위층이 부러워하는 제품이다. 무작정 판매량을 늘리기보다는 소수의 고위층에게만 접근을 허용하는 ‘배타성(exclusiveness)’을 확보해야 럭셔리로서의 정체성을 오래 유지할 수 있다. 또 럭셔리가 가격을 결정하는 것이지, 가격이 높다고 해서 럭셔리가 되는 것은 아니다.

▼People in Book/1950년대 TV 시청은 세련된 취미
유명 작가 빌 브라이슨은 저서 ‘재미있는 세상(The life and times of the thunderbolt kid)’에서 1950년대 자신의 어린 시절을 회고했다. 이 책은 1950년대 세계 전체 부(富)의 95%를 차지하고 있었던 미국인들의 생활상을 흥미진진하게 보여줌과 동시에 과거가 미래를 보는 ‘거울’이 될 수 있음을 일깨워준다.

▼정재승의 Money in the Brain/소비자 마음도 조절하는 뉴로마케팅
애정 관계 같은 사회적 행동을 자극하는 ‘옥시토신’이라는 호르몬이 최근 뉴로마케팅 연구자들 사이에서 주목받고 있다. 실험 결과, 옥시토신을 주입한 사람들은 상대방의 말을 잘 믿고, 쉽게 설득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결혼 중매 회사는 이성과의 교제 경험이 별로 없는 노총각과 노처녀 간 만남의 자리에서 옥시토신 스프레이를 써 어색한 분위기를 깨는 데 톡톡한 효과를 보기도 했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