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생활임금 시간당 1만원 시대 명암… 근로자 소득 늘었지만 자치구 예산 부담 커져

  • 동아일보
  • 입력 2019년 2월 19일 03시 00분


코멘트

출연기관 직원 등 1만명 혜택


서울시 청사를 청소하는 A 씨(52·여)는 최저임금이 아닌 생활임금으로 보수를 받는다. 생활임금은 서울시가 최저임금을 대신해 2015년 도입한 급여체계다. 3인 가구를 기준으로 실제로 생활이 가능하도록 교육비와 주거비 등을 고려해 책정했다. 올해 생활임금은 시급 1만148원으로 최저임금(8350원)보다 1798원 많다. 2015년 6687원에서 4년 만에 1만 원을 넘겼다. A 씨는 “최저임금보다 월 15만 원 정도 더 받는 것 같다”고 말했다.

생활임금은 서울시와 시 투자·출연기관 등의 공무원 보수체계를 적용받지 않는 근로자 1만여 명에게 적용된다. 직접 고용 근로자 및 투자·출연기관의 자회사 근로자, 민간위탁 근로자, 뉴딜일자리사업 참여자 등이다. 강남구와 중랑구도 올해 생활임금을 주고 있어 25개 자치구 전체가 생활임금을 도입하게 됐다.

18일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해 생활임금을 받는 저소득 근로자 431명을 설문조사한 결과 소비가 늘고 더 나은 문화생활이 가능해졌으며 일과 직장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졌다.

응답자들은 월평균 197만2000원(주당 44.6시간 근무)을 받아 최저임금으로 받을 때보다 월 20만 원 이상 소득이 높았다. 소비지출이 늘었다는 응답은 50.9%였고 소비와 저축 모두 늘었다는 답변도 27.6%였다. 소비가 늘었다는 응답자 가운데 늘어난 지출 항목을 보면 식비(36.6%), 주거비(18.6%), 보건의료비(15.7%), 부채 상환(11.0%) 순이었다. 교육비와 문화비도 각각 13.9%, 11.1% 늘었다. 응답자 50.3%는 “문화생활에 보탬이 됐다”고 답했다.

소득이 늘어 직장생활에 만족한다는 응답(57.1%)은 만족하지 못한다(5.5%)를 훨씬 상회했다. 특히 시민에게 친절하려 노력한다는 답변도 63.6%나 됐다. 서울시 관계자는 “생활임금으로 인한 소득 증대가 공공서비스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너도나도 시를 좇아 생활임금을 지급하는 자치구의 재정 부담이 적지 않다. 서울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25개 자치구 가운데 4개 구는 예산 책정에 매우 부담된다고 답했고 18개 구는 어느 정도 부담된다고 밝혔다. 22개 구가 생활임금제 시행이 부담된다고 토로한 것이다. 지난해 기준 서울시 재정자립도는 80.6%이지만 25개 자치구 평균은 29.3%에 그친다.

시가 민간기관에서 제공하던 복지서비스를 흡수하면서 같은 일을 해도 보수가 달라져 저소득층 간의 갈등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다음 달 문을 여는 서울사회서비스원이 대표적이다. 사회서비스원은 서울시가 노인 장기요양, 장애인 활동 지원, 보육 등 민간 돌봄서비스를 직접 제공하려고 설립한 기관이다. 이곳에서 일하며 생활임금을 받는 사람과 최저임금을 받는 민간 기관 종사자 간 임금 격차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최근 서울시의회 정책간담회에서 이찬우 한국척수장애인협회 사무총장은 “민간과 공공의 처우 격차가 갈등을 유발할 수 있다”며 “사회서비스원은 민간이 맡기 어려운 중증장애인 분야나 취약시간대 돌봄 등 특화된 역할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자치구 생활임금 담당자의 업무 경력이 평균 10개월로 짧아 전문성을 갖추기 어렵다는 문제도 있다.

홍석호 기자 will@donga.com
#서울시#생활임금#재정 부담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