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손 부족’ 日 인재확보 전쟁… 재학생때부터 ‘超입도선매’

  • 동아일보
  • 입력 2018년 7월 16일 03시 00분


코멘트

대학생 미리 직원 채용… 알바에도 연금 - 퇴직금

일손 부족에 시달리는 일본 기업들 사이에서 인재 확보 경쟁이 치열하다. 유능한 젊은 인재를 확보하려는 기업들의 자구책은 기존 고용제도와 사회 시스템에도 적잖은 변화를 주고 있는 모양새다. 대학 4학년 때 회사를 지망하고 합격 통고를 받으면 졸업과 동시에 입사하는 게 일반적이던 일본의 취업 시장은 첨단기업일수록 대학생 시절부터 사실상의 사원 역할을 시작하는, 이른바 ‘초(超)입도선매’ 시장으로 변화하고 있다. 거의 모든 기업이 일률적으로 연 200만 엔(약 2000만 원)대로 책정하던 대졸 초임도 능력에 따른 연봉제로 바뀌고 있다. 근래 부쩍 비중이 늘어난 아르바이트 등 비정규직 사원까지도 붙잡기 위해 연금과 퇴직금을 지원하는 회사도 늘고 있다.

○ 대학생부터 사실상 실전 전력으로 ‘초입도선매’

벼가 익기도 전에 푸른 논을 사들이듯 일본 기업들의 젊은 인재 ‘입도선매’가 나날이 강화되고 있다. 특히 첨단기술 분야에서는 인턴십으로 방문한 대학생을 아예 사원처럼 활용한다.

연중 내내 1개월 이상 장기인턴을 실시하는 기업도 늘고 있다. 장기인턴전문 사이트 ‘캐리어바이트’는 늘 300건이 넘는 구인정보를 게재한다. 주 2∼3일, 하루 5시간 정도 일하는 자리 중심으로, 학년에 상관없이 대부분 응모할 수 있다.

인재서비스 대기업인 ‘딥’은 5월부터 사원과 대학생이 함께 참여하는 신규 사업 조직을 설치하고 인공지능(AI)을 사용한 이직(移職) 방지 서비스를 시작했다. 멤버는 사원 7명에 학생 45명. AI 기술자는 수요가 많아 채용이 어려우니 인턴 학생들을 직원으로 활용한다. 학생 입장에서는 아르바이트지만 기업 입장에서는 우수한 학생들과 접점이 생기고 장래 채용으로 연결된다는 기대가 있다.

인터넷방송국 ‘아메바 TV’ 등을 운영하는 ‘사이버 에이전트’사는 입사 전에 인턴을 경험한 사람이 대졸 신입사원의 50∼60%를 점한다. 1개월 이상 근무하는 장기 인턴이 100명 정도 일하고 있다. 올해부터 연봉제가 실시되면서 이 회사 인턴에 참가하는 엔지니어는 인턴 때 평가에 따라 입사 후 급여도 달라진다. AI 등 고도기술을 가진 신입사원은 720만 엔(약 7200만 원) 이상의 연봉이 보장되기도 한다.

기업은 첨단지식을 가진 우수 인재를 확보하지 않으면 디지털시대 경쟁에서 뒤처지게 된다. 특히 AI 엔지니어 분야의 경우 이미 일하고 있는 사원보다 관련 전공 대학생이 최첨단 기술을 더 잘 아는 경우도 적지 않다고 한다.

인재 확보를 돕는 비즈니스도 확산되고 있다. 4500여 학생의 인턴 이력을 게재해 기업이 눈에 띄는 학생에게 연락할 수 있는 사이트를 운영하는 회사도 생겨났다.

학생 입장에서도 인턴십은 기업을 경험하고 기술 향상도 도모하면서 급여도 받을 수 있어 단순 아르바이트보다 훨씬 유리하다. 취직 정보 대기업인 ‘마이나비’의 최근 조사에서 2020년 졸업 예정인 현재 3학년 학생 중 인턴 신청을 했거나 이미 경험한 학생이 69.9%에 이르렀다.

○ 비정규직 인력에도 연금 퇴직금 주며 정착 유도

일손 부족은 기업들의 비정규직에 대한 대우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본래 정규직을 중심으로 지급되던 연금이나 퇴직금을 파트타임이나 아르바이트 등 비정규직 사원이나 퇴직 뒤 재취업한 시니어 사원에게도 주는 회사가 늘고 있다. 지난해 9월 ‘도토루 커피’가 비정규직 사원의 퇴직금 제도를 도입한 이래 비슷한 움직임이 일본 전역에서 나타나고 있다.

일본 총무성에 따르면 2017년 비정규직 노동자(임원 이상 제외)는 2133만 명으로 사상 최다를 기록했다. 지난해 10월 1일 기준 취업 노동자는 6621만 명. 임원을 제외한 피고용자 중 비정규직이 차지하는 비율은 38.2%였다. 이 중 파트타임이나 아르바이트 종사자가 1472만 명, 계약직 사원이 303만 명, 파견노동자가 142만 명이었다. 일손 부족에 시달리는 일본의 인력시장에서 비정규직의 역할이 그만큼 커진 셈이다.

비정규직 증가는 퇴직 후 재취업을 하는 고령층 노동자와 여성 취업자가 늘어났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이들에 대한 복리후생 확충으로 직장의 매력도를 높이고 이들이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해 경영의 안정을 도모하겠다는 것이 일본 기업들의 최근 전략이다.

도쿄=서영아 특파원 sya@donga.com
#일손 부족#일본#인재확보 전쟁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