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회담후 부드러워진 中… 文대통령 “어려운 시기 지나가”

  • 동아일보
  • 입력 2017년 12월 18일 03시 00분


코멘트

[文대통령 방중 결산]

“문재인, 중국을 감동시키기 위해 노력.”

중국 공산당 기관지 런민(人民)일보 자매지 환추(環球)시보의 16일자 1면 기사 제목이다. 식사 의전 등에서 문재인 대통령 ‘홀대 논란’을 촉발시켰던 중국은 방중 막바지 확연한 온도 차이를 보였다.

문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14일 정상회담 후 중국의 태도가 달라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문 대통령은 이번 방중에 대해 “대체로 성공적으로 잘된 것 같다”고 했다.

○ 정상회담 후에야 달라진 중국?

당초 런민일보는 13일 문 대통령의 방중 사실을 3면 하단에 짧게 실었다. 하지만 16일에는 문 대통령이 리커창(李克强) 총리, 장더장(張德江)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장과 면담한 내용을 1면에 게재했다. 그간 한국을 비난해 온 환추시보도 같은 날에는 “이번 방중에서 중한 양국의 깊이 있는 경제 협력의 현실이 부각됐고 양국 모두 항일 전쟁의 고난과 서로 원조한 비슷한 역사가 반영됐다”고 평가했다.


시 주석과의 만찬에 이어 문 대통령과 오찬을 함께한 천민얼(陳敏爾) 충칭시 당 서기는 문 대통령을 “존경하는 문재인 대통령 각하”라고 호칭하기도 했다. 15일 밤 문 대통령이 베이징에서 충칭으로 이동하는 비행기에는 천하이(陳海) 중국 외교부 아주국 부국장이 동승했다.

홀대 논란 속에 시작했던 방중 분위기는 정상회담 후 바뀌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두 정상은 14일 정상회담에서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로 인한 갈등을 딛고 새로운 관계로 나아가자는 데 뜻을 같이했다고 청와대는 밝혔다.

○ 靑 “두 정상 5시간 공식일정 함께 해”

청와대도 방중 성과 홍보전에 나서며 논란 차단에 나섰다. 방중 기간 중 윤영찬 대통령국민소통수석비서관만이 언론을 대했던 것과 달리 귀국 비행기부터는 청와대 고위 관계자들이 연이어 나섰다. 14일 국빈 만찬의 취재를 불허하고 사진과 영상을 공개하지 않았던 청와대는 뒤늦게 관련 내용을 밝히고, 시 주석이 문 대통령에게 준 선물도 사후에 공개했다.

17일 청와대 자체 인터넷방송에 출연한 남관표 국가안보실 2차장은 “두 정상이 단독 정상회담이 끝나고 환한 표정으로 나오니 (걱정했던) 마음이 풀렸다”고 말했다. 김현철 경제보좌관도 “(경제 보복 조치 완화로) 한국 경제성장률을 0.2%포인트 올리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평가했다. 한중 경제장관회의 등 77개 국장급 이상 정부 부처 간 협의채널이 전면 재가동됐다는 게 청와대 설명이다.

윤영찬 대통령국민소통수석비서관은 ‘역지사지(易地思之) 관왕지래(觀往知來)’의 정신을 강조하며 “두 정상은 (정상회담과 문화행사 등) 5시간에 걸쳐 공식 일정을 함께하며 깊은 우의와 신뢰를 구축했다. 이번 정상회담은 한중 간 교류 협력의 복원 및 발전을 위한 본격적인 신호탄”이라고 평가했다. 문 대통령도 마지막 일정인 16일 쓰촨(四川)성 교민들과의 간담회에서 “그동안 사드 여파 때문에 우리 기업들과 교민들께서 어려움을 많이 겪으셨다. 그러나 이제 어려운 시기는 지나가는 것 같다”고 말했다.

○ ‘선언적 합의’는 여전히 한계

그러나 문 대통령과 중국 측 인사의 식사가 두 차례에 그친 이른바 ‘혼밥 논란’, 시 주석과 리 총리를 제외하고는 10월에 새로 선임된 중국 공산당 상무위원을 만나지 못한 점은 아쉬움으로 꼽힌다. 한국 기자단 폭행도 오점으로 남았다. 자유한국당 전희경 대변인은 “문 정부의 실력이 백일하에 드러난 굴욕 순방, 치욕 순방이었다. 외교라인을 전면 교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식사 논란에 대해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그렇게 ‘혼밥’으로 프레임을 잡는 게 이해가 안 된다”고 말했다. 연내 방중을 무리하게 서둘렀기 때문에 각종 파열음이 나왔다는 지적에 대해 김 보좌관은 “사드에 따른 경제 손실이 하루에 300억 원으로, 이를 생각하면 내년으로 미룰 사안이 아니었다”고 말했다.

중국의 대북 압박이나 사드 보복 조치 완화에 대한 구체적이고 진전된 조치가 없었다는 점도 논란이 되고 있다. 사드 역시 시 주석이 문 대통령에게 ‘적절한 처리’를 강조하면서 불씨가 완전히 꺼지지 않았다.

한편 강경화 외교부장관은 일본 고노 다로(河野太郞) 외상과의 한일 외교장관회담을 위해 취임 후 처음으로 19, 20일 일본을 방문한다.

한상준 기자 alwaysj@donga.com / 베이징=윤완준 특파원
#문재인#북핵#시진핑#외교#한미중 협의체#정상회담#중국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