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年140억 적자’ 인천 亞경기 재탕 되나

  • 동아일보
  • 입력 2016년 8월 30일 03시 00분


코멘트

[평창올림픽 긴급점검]평창 경기장에 9689억 투입… 사후 활용은 막막
1500억 들여 짓는 올림픽플라자… “문화 인프라 활용” 엉성한 계획뿐
수익성 없는 애물단지 전락 우려

2014년 아시아경기대회를 치른 인천시는 경기장 사후 활용에 골머리를 앓았다. 시는 지난해 초 신설 경기장 등 35개 공공체육시설 운영에 300억 원 이상의 예산이 들고, 약 185억 원의 적자를 낼 것으로 내다봤다. 우려는 현실이 됐다. 지난해 1∼10월에만 인천시가 새로 지었던 9개 경기장의 적자는 140억 원에 달했다.

2010년 캐나다 밴쿠버 겨울올림픽도 대표적인 ‘적자 올림픽’으로 남았다. 적자 규모는 폐막 직후 10억 달러(약 1조1100억 원)로 알려졌지만, 1년 후 그 10배인 100억 달러(약 11조1000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밝혀졌다.

평창동계올림픽조직위원회는 과거 사례를 반면교사 삼아 ‘경제 올림픽’을 주요 목표로 삼았다. 하지만 그에 걸맞은 사후 활용 계획은 막막하기만 하다.

강원도는 국비 등을 포함해 모두 9689억 원을 들여 13개의 경기장과 시설을 짓고 있다. 이 중 지금까지 사후 관리 주체가 결정된 곳은 강릉 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 정선 알파인스키 경기장을 뺀 11곳이다. 그러나 이 경기장들이 애물단지로 전락할 위험은 여전하다. 재정 여건이 열악한 강릉시나 강원도개발공사 등이 운영하기로 한 곳이 6곳에 이르기 때문이다.

수익화 가능성도 낮다. 보상비를 포함해 1541억 원이 투입되는 올림픽플라자에 대해 강원도는 지역 문화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 활용하겠다는 원칙을 세웠다. 6월에는 30여 명으로 ‘올림픽플라자 사후 활용 추진 태스크포스(TF)’를 꾸리고 다양한 방안을 내놨지만 이렇다 할 수익화 방안은 보이지 않는다. 그나마 활용 방안이 구체적으로 제시된 곳도 수익화보다는 주민복지시설에 방점이 찍혀 있다. 복합 스포츠시설과 청소년동아리 센터로 활용되는 강릉 컬링센터, 수영장 등 시민체육시설이 들어서는 강릉 아이스아레나가 대표적이다.

홍석표 강원대 올림픽연구센터장(스포츠과학부 교수)은 “대형 스포츠대회도 이제는 ‘국위선양’보다는 경제논리로 바라봐야 한다는 게 국제적 흐름”이라고 말했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경기장 운영이 적자가 예상된다면 솔직히 밝히고 적자 폭을 최소화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권기범 기자 kaki@donga.com
#평창올림픽#적자대회#사후활용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