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룸/하정민]교황같은 지도자를 보고싶다

  • 동아일보
  • 입력 2014년 8월 20일 03시 00분


코멘트
하정민 국제부 기자
하정민 국제부 기자
2002년 초 미국 보스턴 대교구의 60대 신부 존 지오건이 10세 소년을 추행한 혐의로 10년 형을 선고받았다. 조사 과정에서 그가 30년간 다른 소년 130명에게 비슷한 일을 저질렀음이 밝혀졌다. 대교구는 이를 알면서도 지오건의 담당 교구만 계속 바꿨다. 수감된 지오건은 동성애를 혐오하는 동료 죄수에게 목을 졸려 숨졌다.

사제 성범죄 문제가 있을 때마다 바티칸은 늘 사제 개인의 일탈로 치부했다. 이 사건으로 가톨릭의 조직적 은폐가 만천하에 드러났다. 요즘 말로 적폐(積弊)다. 바티칸이 뒤집혔지만 파킨슨병을 앓던 말년의 요한 바오로 2세는 이를 해결하지 못했다. 후임 베네딕토 16세는 더했다. 그의 형 게오르크 라칭거 신부가 한때 이끌었던 소년성가대 내의 추행이 밝혀져 교황 개인의 권위까지 추락했다. 세계 곳곳에서 유사 사건이 드러났고 소송비와 합의금으로 파산하는 교구가 속출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가톨릭 존립을 뒤흔든 이 문제에 응답한 유일한 교황이다. 올해 3월 아동성추행 대책위원회를 만들고 7월 피해자를 만나 사과했다. 모두 역대 교황 최초다. 유엔이 교황청 대표를 조사하고 청문회를 여는 것도 거부하지 않았다. 바티칸 내부와 마피아 연루 의혹에도 칼을 댔다. 역대 교황 최초로 마피아를 파문했고 돈세탁, 횡령, 마피아 연계설에 휩싸인 바티칸은행 경영진을 싹 바꾸고 계좌 1600개도 폐쇄했다.

말이 쉽지 목숨을 걸고 내린 결단이다. 전임 교황들이 교회 내 성범죄 대처에 소극적이었던 이유는 가톨릭의 최대 치부를 공개했을 때 예상되는 엄청난 파장과 수많은 추가 소송을 우려했기 때문이다. 마피아에 맞서고 교황청 내부를 개혁하는 일도 보통 용기가 아니면 엄두를 내기 어렵다. 조직 이익을 위해서라면 고위 사제, 정치인, 판사도 죽이는 집단이 마피아다. 마피아 연계 의혹을 받던 한 주교를 해임한 요한 바오로 1세는 즉위 33일 만에 급사했다. 독살설은 아직도 나돈다.

교황의 개혁이 성공할지 예단할 수 없다. 여러 교황이 나름의 쇄신을 시도했지만 큰 변화를 이끌어내지 못했다. 신변 위협도 있다. 지난해 브라질을 방문한 그가 설교하려던 성당에서 폭탄이 발견됐다. 하지만 그는 “이 나이에 무엇이 두렵겠느냐”며 군중 속으로 들어간다.

4박 5일간 세월호 참사 유족,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 해고자 등 우리 사회의 약자를 어루만진 교황의 여운이 짙다. 그가 한국에서만 반짝 감동을 준 게 아니라 2000년 된 가톨릭 조직 곳곳의 병폐를 해소하는 가운데 전 세계의 고통 받는 사람들을 보듬는 일까지 소홀하지 않았기에 울림이 더 크고 깊다.

요즘 우리 사회에선 누구나 혁신과 개혁을 외친다. 하지만 교황처럼 목숨과 지위를 걸고 나서는 지도자가 안 보인다. 작은 차를 타고 허름한 숙소에 묵는다고 교황과 비슷해지는 게 아니다. 모든 특권을 내려놓고 개혁에 수반되는 거센 반발을 두려워하지 않아야 국민의 마음을 얻을 수 있다. 교황을 바라보던 국민의 눈에 대한민국 지도자들의 리더십이 허전하게 비치는 이유가 거기에 있다.

하정민 국제부 기자 dew@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