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후활용 방안 못찾은 평창 시설, 묘안은 없나

  • 동아일보
  • 입력 2017년 7월 25일 03시 00분


코멘트
올림픽은 유·무형의 유산을 남긴다. 국가 브랜드 제고가 대표적인 무형 유산이라면 경기장 등 시설은 유형 유산이다. 하지만 2018 평창 겨울올림픽 주요 경기장의 사후 시설 활용 계획은 아직도 유동적이다.

평창 올림픽은 개·폐회식이 열리는 올림픽 플라자를 제외하고 12개 경기장에서 열린다. 6곳(정선 알파인센터, 강릉 아이스아레나, 강릉 오벌, 강릉 하키센터, 관동 하키센터, 알펜시아 슬라이딩센터)은 새로 만들었고 6곳(강릉 컬링센터, 용평 알파인 경기장, 보광 스노경기장, 알펜시아 스키점프센터·바이애슬론센터·크로스컨트리센터)은 기존 시설을 보완했다.

이 가운데 애초 사후 활용 방안이 결정된 경기장은 10곳이고 그렇지 못한 곳은 정선 알파인센터와 강릉 오벌(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 2곳이었다. 하지만 지난해 강릉 하키센터의 운영을 맡기로 했던 대명이 4월에 손을 떼면서 사후 활용 방안이 확정되지 않은 경기장은 3곳으로 늘었다. 개·폐회식이 열리는 올림픽 플라자는 일부 시설 철거 뒤 올림픽 기념관과 공원으로 사용하기로 했다. 현재로서는 대회가 끝난 뒤 7층 시설을 3층으로 줄이고 관람석도 본부 동만 남겨 놓고 철거할 계획이다.

가리왕산 환경 훼손 논란을 불러일으켰던 정선 알파인센터는 환경영향평가에 따라 대회 뒤 일부 지역(55%)을 복원하는 조건으로 공사를 시작했다. 45%만 스키장으로 남길 경우 스키장으로서의 가치는 사실상 사라진다는 게 시설 전문가들의 얘기다. 아예 100%를 복원하자는 주장도 있지만 그렇게 되면 복원비용이 크게 증가한다. 이 시설의 사업비는 현재 2064억 원에 달한다. 조직위의 사후 활용 담당자는 “시설이 아까워도 환경단체 등과의 약속을 지키는 게 우선이다”고 말했다.

국내 최초 전용 경기장인 강릉 하키센터는 철거 예정이었다가 “강릉을 빙상의 메카로 만들자”는 주장에 따라 존치로 방향을 바꿨다. 올림픽 이후 5년 동안 대명이 관리 주체가 돼 이곳을 안방구장으로 활용할 예정이었지만 포기했다. 전기세 수도세 인건비 등 연간 유지비만 20억 원 가까이 드는 데다 수도권 연고의 팀이 강원도를 오가며 시설을 활용하는 것이 어려움으로 지적됐다.

강릉 오벌 역시 철거에서 존치로 방향을 바꾼 시설이다. 현재 훈련 시설, 컨벤션센터, 워터파크 등으로 활용하는 방향이 논의되고 있지만 강릉에 중복 시설이 있어 제대로 운영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조직위는 대한아이스하키협회와 대한빙상연맹에 각 시설에 대한 사후 활용 방안 검토를 의뢰해 놓은 상태이지만 아직은 뾰족한 대안을 찾지 못하고 있다.

조직위 관계자들은 서울에서 강릉까지 KTX와 제2 영동고속도로 등 막대한 사회간접자본을 들여 접근성이 좋아진 점에 기대를 걸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사후 활용 계획을 좀 더 면밀히 세워 보자는 것이다. 한 관계자는 “당장은 적자가 나더라도 멀리 보면 충분히 활용 가능성이 있다. 서울의 올림픽공원도 처음 만들 땐 아무것도 없는 벌판에 장마 땐 황톳물이 흐르는 곳이었지만 지금은 서울의 허파이자 공연 문화의 메카가 됐다. 강릉을 상징하는 경포대 옆에 경기장이 밀집해 있는 강릉도 그렇게 될 수 있다. 테스트 이벤트를 통해 경기장 시설은 최고라고 인정받았다. 일본 삿포로처럼 올림픽 뒤 아시아경기를 유치하는 것도 좋은 활용 방안”이라고 말했다. 경기를 잘 치르는 것 못지않게 유용한 사후 활용 방안을 찾아내는 것도 평창 올림픽의 중대한 과제가 되고 있다.

이승건 기자 why@donga.com
#평창 올림픽#평창 올림픽 사후활용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