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생애 최고의 의술]소장 50cm만 남은 환자, 딸 소장 일부 이식… 10년 넘게 건강한 삶

  • 동아일보
  • 입력 2015년 6월 1일 03시 00분


코멘트

국내 최초 소장 이식 성공… 이명덕 서울성모병원 교수

이명덕 서울성모병원 소아외과 교수는 “소장 이식술이 국내에서 성공해 많은 단장증 환자들이 생의 희망을 갖게 된 것에 큰 보람을 느낀다”고 말했다.
최혁중 기자 sajinman@donga.com
이명덕 서울성모병원 소아외과 교수는 “소장 이식술이 국내에서 성공해 많은 단장증 환자들이 생의 희망을 갖게 된 것에 큰 보람을 느낀다”고 말했다. 최혁중 기자 sajinman@donga.com
서울 서초구 서울성모병원 이명덕 소아외과 교수(67)는 1983년 미국 피츠버그대 의대로 연수를 갔다. 당시로선 전 세계적으로 성공한 적이 없는 소장 이식 수술을 배우기 위해서였다. 장기 이식의 경우 신장은 1954년, 간은 1963년, 심장은 1967년 이식 수술이 세계에서 처음 성공했지만, 소장은 전인미답의 영역이었다. 미국에서 1970년대 7명에게 소장 이식 수술이 시도됐지만, 환자들은 몇 달 만에 모두 숨졌다.

소장 이식은 다른 장기 이식보다 어렵다. 다른 장기보다 면역 거부 반응이 강해 장기 이식 뒤 필수적인 면역억제제를 투여하는 데 어려움이 많다. 항상 변에 젖어 있어 오염에 취약하고 세균도 잘 자란다.

최근 병원에서 만난 이 교수는 “‘다른 장기는 되는데, 소장은 왜 안 되느냐’는 생각으로 밤낮없이 동물 실험에 매달렸다”고 연수 당시를 떠올렸다. 처음에는 쥐처럼 작은 동물로 시작했는데 5개월 동안 수십 마리가 모두 죽었다. 5개월이 지난 뒤 수술 노하우가 쌓이기 시작하면서 소장을 이식한 쥐들이 점차 살기 시작했고, 그 뒤 원숭이 실험에도 성공했다. 하지만 사람에게 시도해야겠다고 생각할 즈음, 연수 기간인 2년이 지나서 1985년 귀국해야 했다. 몇 년 뒤 유럽에서 소장 이식에 성공했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1987년 독일, 1988년에 프랑스가 잇따라 수술에 성공했다. 이 교수가 연수를 갔던 피츠버그대도 1988년 이식에 성공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여전히 수술이 어려웠다. 무엇보다 이식 수술을 받아야 하는 단장증 환자가 오래 살지 못해 수술할 기회조차 없었기 때문이다. 단장증이란 선천적이거나 생후 절제 수술로 전체 소장의 50% 이상이 없어 흡수 장애와 영양실조를 일으키는 병이었다. 이 교수는 “소장 이식 수술보다 먼저 단장증 환자의 생명을 이어가도록 하는 연구가 먼저라는 생각이 들었다”고 했다.

이 교수는 1980년대 후반부터 단장증 환자의 생명을 연장하는 영양요법을 공부하기 시작했다. 짧은 장으로 인해 식사로 영양을 충족할 수 없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주사의 양, 영양제의 농도 등에 관한 연구였다.

2004년 당시 56세였던 여성 단장증 환자가 이 교수를 찾아왔다. 장간막혈전증(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혀 장이 썩는 병)으로 절제수술을 받아 소장이 50cm만 남아있는 상태였다. 소장 이식만이 환자의 살길이었다. 다행히 25세 딸이 소장을 떼주겠다고 했다. 딸의 소장 5m 가운데 1.5m를 잘라내 이식했다. 8시간이 걸린 수술이었다.

하지만 이식받은 환자의 소장 혈관을 연결하고 보니 색깔이 좋지 않았다. 혈류 장애 증상이 있어 보였다. 미세 현미경으로 혈관을 다시 잇는 2시간의 추가 수술을 진행했다. 이 교수는 “소장 이식 수술이 국내 처음으로 성공하는 순간이었다”면서 “이제 국내 단장증 환자를 살릴 수 있다는 생각에 가슴이 벅찼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수술받은 환자는 1년 뒤 신장에 무리가 와 신부전증이 생겼다. 독성이 강한 면역억제제 때문이었다. 신장 이식도 필요한 상황이었다. 환자는 7년 넘게 투석을 해오다가 지난해 가을 신장을 이식받았다. 소장을 줬던 그 딸이 이번에는 신장까지 내줬던 것이다. 수술은 성공적으로 이뤄져 모녀는 현재 모두 건강하다.

이 교수는 2008년에는 뇌사자의 소장을 이식하는 데 성공했고, 지난해에는 간을 제외한 위, 십이지장 등 6개 장기를 한꺼번에 이식하는 변형다장기 이식 수술을 국내 처음으로 성공하는 성과를 얻었다. 이 교수는 “소장 이식 수술은 인체 장기 이식 중 가장 어려운 수술”이라며 “소장 이식 수술의 성공으로 다장기 이식 시술 같은 다른 어려운 수술이 가능하게 돼 많은 환자를 살릴 수 있게 됐다”라고 말했다.


▼ 단장증 환자, 정맥영양제 주사로 집에서 영양 관리 가능 ▼

단장증 환자에게는 소장 이식 수술이 근본적인 치료법이다. 하지만 이식을 받을 만큼 건강을 유지하고 기다리기 위해서는 영양 상태가 중요하다.

단장증 환자는 장이 너무 짧아 영양이 흡수되지 않고 배설된다. 필요한 모든 영양소는 특수 조제된 인공영양주사제를 혈관으로 직접 넣는 정맥영양법으로 공급한다. 이명덕 서울성모병원 소아외과 교수는 “이 정맥영양제는 농도가 아주 높아 보통의 혈관주사로는 혈관염이 생겨 우리 몸 가운데 있는 대정맥에 주사해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환자를 계속 입원시켜 둘 수도 없다. 환자가 생업에 종사하는 경우라면 더욱 그렇다. 그래서 2주 1회 외래진료로 상태를 점검하고 2주간의 영양제와 약물 처방을 받아 집에서 관리하는 재가 정맥영양법이 개발됐다. 재가 정맥영양법에 따라 환자는 잠자는 동안에 하루 분량의 영양주사를 맞는다. 가정에서 효과적으로 영양 관리를 받은 환자가 이식을 받았을 때 더 상태가 좋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이 교수는 “정맥영양법은 영양소를 적절하게 섞는 기술, 주사 통로가 되는 카테터(가는 관)의 재료 개발과 제조 기술, 세균 감염 방지법 등을 포함한 첨단 의술”이라며 “오늘날 다양한 소장 이식 수술은 영양 집중 치료의 기반 위에서 꽃을 피운 것”이라고 말했다.

민병선 기자 bluedot@donga.com
#소장#50cm#이식#이명덕#서울성모병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