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북카페]“전원 해외유학”… 눈물겨운 日대학의 생존전략

  • 동아일보
  • 입력 2017년 9월 11일 03시 00분


코멘트

‘대학대도산시대’

#사례 1. 올해 초 일본 학계는 그동안 금기시되던 대학의 군사연구를 인정할지가 뜨거운 논란이 됐다. 일본 과학계 대표 단체인 일본학술회의가 3월에 ‘인정할 수 없다’는 성명을 내면서 일단락됐지만 그럼에도 올해 22개 대학이 방위성의 연구에 응모했다.

#사례 2. 역시 올해 초 문부과학성이 퇴직 간부를 와세다(早稻田)대 등에 낙하산으로 무더기로 취업시킨 사실이 드러났다. 일본에서 관료의 낙하산 알선은 불법이어서 상당한 논란이 됐다.

두 사례는 언뜻 관계가 없어 보인다. 하지만 최근 일본에서 화제가 되고 있는 책 ‘대학대도산시대’(사진)의 저자 기무라 마코토(木村誠) 씨는 ‘생존의 기로에 놓인 대학의 몸부림’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찾는다. 자금난에 빠진 대학들이 군사 분야에 손을 대거나 낙하산을 받아서라도 연구비를 확보하려 한다는 것이다. 저자는 30년 동안 교육 문제를 취재해 온 전문 저널리스트다.

일본 대학이 위기에 직면한 원인은 두 가지다. 하나는 인구 감소다. 대학에 가는 일본의 만 18세 인구는 1992년 205만 명에서 2015년 120만 명으로 줄었다. 내각부에 따르면 향후 14년 동안 만 18세 인구는 20만 명이 더 줄어 2031년에는 100만 명 밑으로 떨어진다. 대학진학률이 절반 남짓임을 감안하면 1000명 규모의 대학 100개가 사라져야 하는 셈이다.

두 번째는 최근 20, 30년 동안 일본의 대학이 급증한 것이다. 일본의 대학 수는 1990년 507개에서 지난해 777개로 늘었다. 1990년대 초반 정부가 대학 설립 규제를 완화하고 자치단체들은 지방 활성화를 내세우며 경쟁적으로 대학 유치에 나선 탓이다.

이제 대학들은 살아남기 위해 머리를 짜내고 있다. 저자는 지금이야말로 장기적 안목을 가진 창조적 전략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그리고 일본 곳곳에서 일고 있는 변화의 움직임을 소개한다.

아키타(秋田)현 산속에 자리 잡은 국제교양대는 영어수업과 학생 전원 해외 유학을 내세워 전국에서 학생들을 끌어모은다. 취업률은 100%다. 야마나시(山梨)현의 쓰루(都留)시는 주민 10명 중 1명이 쓰루문과대 학생이다. 교원 양성에 특화된 덕분에 전국에서 학생이 모이고, 이들이 인구 3만 명의 소도시에 활기를 불어넣는다.

무용론까지 대두되며 벌써 20%가량이 사라진 여대의 생존 노력도 눈물겹다. 한때 청바지 통학을 금지할 정도로 보수적이었던 쇼와(昭和)여대는 멘토 제도와 적극적인 취업훈련으로 6년 연속 여대 취업률 1위를 달성했다.

저자가 특히 강조하는 것은 지방대의 역할이다. 지방대가 사라지면 도쿄로 갈 형편이 안 되는 학생들의 진학 기회가 사라진다. 그만큼 도농 간 격차가 커지고 지방 소멸도 가속화된다. 반면 지방대가 있으면 지역 인재들이 고향에 대한 애착을 키울 수 있다. 대학은 지역사회의 혁신을 이끄는 싱크탱크 역할도 할 수 있다. 저자가 공적자금을 투입해서라도 지방대를 살려야 한다고 주장하는 이유다.
 
도쿄=장원재 특파원 peacechaos@donga.com
#대학대도산시대#일본대학의 생존전략#기무라 마코토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