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석의 일상에서 철학하기]변화의 요체

  • 동아일보
  • 입력 2016년 11월 12일 03시 00분


코멘트
김용석 철학자·영산대 교수
김용석 철학자·영산대 교수
 니콜로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은 권모술수의 책으로 악명이 높습니다. 또한 그 악명 덕에 살아 있는 고전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잘 읽어보면, 권모술수 이상의 것들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국가 보존의 원칙, 권력과 금력의 속성, 권력의 합리적 사용법, 정치적 다양성의 문제, 갈등의 조정, 평민의 자유, 인간의 특성, 그리고 무엇보다도 현대적이라고 할 수 있는 ‘변화에 대한 인식’입니다. 변화는 ‘군주론’ 전체를 관통하는 주제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

 만물은 변합니다. 우리 일상도 변합니다. 인생무상이란 말이 있듯이, 삶이 삶이기 위해서도 삶은 변화합니다. 다른 한편 우리가 일상에서 만나는 다수의 사람들은 변화를 달가워하지 않고 거부하기까지 합니다. 우리 삶에는 다양한 ‘관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습관, 관습, 타성, 반복되는 것이 주는 편안함, 기존의 것이 주는 확신감이 삶에서 정지 마찰력으로 작동하기 때문입니다.

 마키아벨리도 “변화에 맞추어 스스로 유연하게 행동할 줄 알 만큼 분별 있는 사람을 발견하기 어렵다”며 현실을 직시합니다. 그 이유는 “타고난 기질에서 벗어나지 못하거나” “일정한 방식으로 행동함으로써 성공 가도를 걸어온 사람의 경우 바로 그 행동 방식을 버리도록 자신을 설득하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곧 자기 자신의 변화에 실패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그럼에도 능력 있는 군주는 ‘자기 스스로 변화할 줄’ 아는 사람이라고 주장합니다. 그러면 운명이 변하더라도 자신이 먼저 적절히 변화해 있기 때문에 변덕스러운 운명에 맞설 태세가 되어 있다고까지 주장합니다. 마키아벨리에게는 ‘자신의 변화’ 또는 ‘자기 혁신’이야말로 환경 변화와 운명의 장난에도 맞설 수 있는 능력인 것입니다. 이를 주장하는 대목에서 그는 “본성을 바꾼다면”이라는 표현까지 씁니다.

 요즘 ‘본판 불변의 법칙’이라는 해학 가득한 시사용어도 있습니다. 하지만 마키아벨리의 입장에서는 국가의 통치자라면 이 법칙(?)을 극복하는 능력과 지혜를 발휘해야 합니다. 그의 시대에 군주는 최고 절대 권력자이기 때문에 더욱이 ‘불가능할 것 같은’ 변화의 능력과 지혜를 요구하는 것입니다. 그것이 또한 나라를 유지하고 보존하는 길이기 때문입니다.

 대다수의 경우, 권력의 정점에 있는 최고 통치자가 자기 변화를 이루지 못하거나 시도하지도 못하는 이유는 무엇보다도 자신이 곧 권력이기 때문입니다. 자기 스스로 권력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권력의 노예가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권력은 권력을 가진 자를 부패시킨다는 격언을 무색하게 하려면, 최고 통치자 자신이 스스로를 변화시킬 수 있는 활력 넘치는 생명체여야 합니다. 또한 생명력 넘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평소 자신을 갈고닦아야 합니다.

 자신의 존재적 본질을 권력으로 인식할 때, 생명체로서의 인간의 모습은 일그러지고 활력은 소멸하기 시작합니다. 권력은 인간이라는 생명체가 정치 공동체를 유지 보존하기 위해 사용하는 한시적 도구입니다. 여기에 마키아벨리식 ‘권력 사용법’의 진의가 있습니다. 그의 사상은, 자기 성찰 없이 권력을 추구하는 자들에게 “너 자신을 알라!”고 했던 소크라테스의 경고, 플라톤이 주창했던 ‘지혜로운 왕’의 개념, 수신(修身)과 치국(治國)이 단계성의 개념이 아니라 항시 함께 해야 할 동시적 소임이라는 ‘대학(大學)’의 가르침과 일맥상통하는 것입니다.

김용석 철학자·영산대 교수
#니콜로 마키아벨리#군주론#권력#소크라테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