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설수설/고미석]멸종 위기 맞은 ‘개천 용’

  • 동아일보
  • 입력 2017년 9월 26일 03시 00분


코멘트
푸에르토리코 출신 미국 빈민가의 소녀 소니아는 일곱 살에 소아당뇨를 진단받았고 여덟 살 때부터 스스로 인슐린 주사를 놓았다. 알코올의존증 환자 아버지는 소녀가 9세 때 세상을 떠났다. 대학에 들어가니 ‘소수계 우대 정책’ 덕에 입학했다는 이유로 조롱받았다. 그가 바로 미 최초의 히스패닉계 연방대법관 소니아 소토마요르(63), 미국판 개천에서 난 용이다.

▷문재인 정부가 첫 경제사령탑으로 김동연 경제부총리를 발탁했을 때 청문회에서 개룡남(개천에서 태어나 용이 된 남자)이 화제가 됐다. 모 국회의원이 “개천에서 용 나는 사회의 상징 같은 인물”이라고 찬사를 보내자 김 부총리는 “개천에서 (난) 용은 굉장히 부담스러운 말씀”이라고 했다. 실제로 그는 무허가 판잣집의 소년 가장 출신. 11세에 아버지를 여의고 상고를 나와 은행에서 일하면서 야간대학에 다녔고 행정고시와 입법고시까지 합격한 입지전적 인물이다.

▷대한민국의 오늘이 있기까지 불우한 환경에서도 꿈을 이룬 사람들이 쏟은 땀과 눈물이 있었다. 부와 지위의 대물림이 고착되면서 이제는 ‘개천 용’ 찾기도 힘들어졌다. 오죽하면 ‘통장에서 용 났다’는 말이 생겼을까. 실제 연구에서도 이런 현실이 드러났다. 서울대 경제학부 주병기 교수, 박사과정 오성재 씨가 발표한 논문에 의하면 계층 이동에 성공한 사람의 수가 최근 13년 사이 절반으로 줄었다. 연구팀이 자체 개발한 ‘개천 용 불평등 지수’를 통해 살펴본 결과 부친의 직업과 학력에 따라 기회의 불평등이 좌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층 이동이 힘든 미국과 이탈리아에 근접한 상황이었다.

▷멸종 위기를 맞은 개천 용의 개체수를 늘리는 것은 국가의 미래와 직결된 문제다. 계층 이동의 사다리가 끊어진 사회에서는 경제성장은 물론이고 젊은이들이 희망을 찾기 힘들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분노와 한탄만 할 수는 없다. 미 역사에 새로운 이정표를 세운 소토마요르는 자신을 만든 비결은 ‘두렵다는 이유로 멈추지 않은 것’이라며 이렇게 성공을 정의했다. 단순한 신분 상승이 아닌, 출발점에서 얼마나 더 멀리 왔느냐가 그 잣대가 돼야 한다고.

고미석 논설위원 mskoh119@donga.com
#히스패닉계 연방대법관#소니아 소토마요르#문재인 정부#김동연#개룡남#개천 용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