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종국 기자의 슬기로운 아빠생활]<7>“차라리 내가 아팠으면…” 장염과 KT 화재

  • 동아일보
  • 입력 2018년 11월 30일 16시 30분


코멘트
취재원과 술을 마시고 있던 22일 밤. 아내에게서 온 부재중 통화 문자 6건이 찍혀 있었다. (핑계 : 민방위 끝나고 바로 약속 장소에 온 탓에 무음으로 해놨던 것) 아차, 뭔가 일이 터졌구나 싶었다.

“애가 토하고 난리 났어, 지금 올 수 있어?”

어지간하면 알아서 일 처리를 하던 아내도 다급했나보다. 곧 바로 자리에서 일어나 집으로 향했다. 장염에 걸린 듯 했다. 배가 아프다며 울고 있는 첫 째. 일정한 주기로 복통을 호소하며 하얀 토를 했다. 장염인가 싶었지만, 혹시나 싶어 응급실로 향했다. 술을 마셔서 운전을 할 수 없었지만, 다행히도 인근에 거주 중인 친 동생을 불렀다.

응급실에는 비슷한 증상을 호소하는 아이들로 가득했다. 우리 애는 가자마자 토를 또 했다. 배가 아프다며 울더니 아예 응급실 대기 장소 바닥에 누워버렸다. 소파에 누우라고 해도 울고불고 바닥이 좋다며 소리를 지른다. 나도 모르겠다. 사람들이 안 다니는 곳으로 옮겨 그냥 내버려 뒀다. 다른 보호자들의 “잰 뭐지?” 하는 시선. 위생적이진 않을 병원 바닥. 하지만 그 순간 아이가 울음을 멈추고 편하다는데, 장소가 변기 위라면 어떻겠는가. 지금 생각해보면 토하고 울다 지쳐서 어디든 눕고 싶어 했던 것 같다. 정신이 없어 사진 한 장도 못 남겼다.

X-RAY를 찍었다. 배에 변과 가스가 가득하단다. 비슷한 증세를 인터넷에 찾아봤을 때 나오는 후기와 흡사했다. 그런데 병원에 오기 전에 응가를 했다. 한 번에 쾌변을 못 했을 수도 있지 싶었다. 관장을 해야 한단다. 나도 10살 때 눈 수술을 하면서 관장을 한 번 해봤다. “정말 이건 아닌데”라는 고통의 기억이 고스란히 아직도 남아있다. 그 고통을 애가 느껴야 한다니.

관장약이 들어가자마자 난리는 시작됐다. 관장 유경험자로서 설사가 나올 것 같은 고통을 참는 건 어른도 힘들다. 특히 괄약근 조절에 능수능란하지 않은 아이들의 경우, 혹시나 규정된 관장약 인내 시간을 참지 못하고 배변을 해버릴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간호사는 위생장갑을 주면서 아이의 응가 배출구를 막으라고 했다. 나는 혼신의 힘을 다해 막았다. 만약의 분출 사태를 막기 위함이었다. 5분만 참으라고 했다. 5분 정말 안 가더라. 아이게 “노래 불러 줄까?” “우리 예쁜 아가 괜찮아 아빠 있잖아~” 등등 별별 소리를 다 했지만 통할 리가 있겠는가. 달램을 빠르게 포기하고, 5분 동안 배출만 막자는 역할에 충실했다. 무사히 묵은 변이 나와 주길 바라면서 말이다.

5분이 지났다. 아이는 고통 속에서 응가를 봤다. 그런데 생각만큼 응가가 나오질 않았다. “아, 한 3분 더 참게 할 걸 그랬나?”하는 생각도 들었다. 증세는 호전되지 않았다. 그날 응급실에서만 3번을 더 토했다. 나는 분명 장염 같은데, 병원에선 장염이라는 말을 안 해줬다. 처방전에 적힌 약을 검색해 본 뒤에야 장염이구나 싶었다.

집에 오고 나서는 밤샘 간호의 시작이다. 아이는 밤이면 우유를 찾는데, 우유는 장염에 좋지 않다고 했다. 역시나 밤새 우유를 찾았다. 주지 못하는 이유를 설명해도 막무가내다. 이해가 불가능한 상황이었다. “답이 없다”라는 말이 가장 적절했다. 구토는 밤에도 이어졌다. 차라리 내가 아프고 싶다는 마음뿐이었다.

다음날(25일) 아이는 여전히 복통을 호소했다. 아이는 지쳐서 인지 잠을 오래 잤다. 그런데 예상치도 못한 곳에서 문제가 터졌다. 바로 KT아현 지사 화재였다. 화재의 여파로 아이의 고통을 달래주던 올레 TV가 멈춘 것이다. 초비상이었다. 와이파이도 안 된다. 다행히 두 아이는 자고 있었다. 그런데 하필 또! 그 고요한 순간 깨고 아파트 안내 방송이 흘러 나왔다.
“띵동~ 댕동~”

아 제발. 아이들이 깰 까봐 나도 모르게 수건으로 스피커를 막아 본다. 그게 잘도 막히겠다.
“아아 관리사무소에서 말씀드립니다.” (아~아~는 도대체 왜 하는 거지?)

“KT화재로 인하여~~~.” 둘째가 찡얼대기 시작했다. 방송이 끝났다 싶었을 때!

“다시 한번 말씀드립니다~~.” (아니 알겠다고. 국민 안전처에서도 문자 왔다고) 두 번째 안내 멘트 때는 “KT화재의 신속한 복구를 위하여 주민 여러분의 협조 부탁드립니다”라는 말까지 덧붙인다. (KT화재가 났는데 주민 협조를 어떻게 해야 할까?) 잘 마무리 해보시려 노력한 관리사무소 덕분에 첫 째가 깼다. (안내방송을 하지 말라는 취지가 아닙니다) 안내방송 볼륨 조절창지는 왜 없는 건지. 둘째도 울기 시작했다. 나는 점차 자포자기 상태로 빠져들었다. 일어난 첫 째는 삐죽대다가 “뽀로로 보여주세요”라는 말을 뱉었다. 망했다. 천만 다행인건 휴대전화는 KT가 아니었다는 것이다. 기자라는 직업 상 휴대전화 테더링 해야 하는 경우가 많아, 무제한 데이터 요금제를 이용한 것도 신의 한 수였다. 인터넷과 TV, 휴대전화를 가족 패키지? 로 묶었다면. 아찔했다. 통신사를 분산 이용을 했던 것이 가정의 동요를 조금이나마 막을 수 있었다. 수많은 변수들의 향연이 수놓은 나날들이었다.

한 숨을 돌렸을 즈음. 나도 구토를 하기 시작했다. 아뿔싸. 장염이 전염 된다는 걸 몰랐다. (노로 바이러스가 전염된 것으로 보인다더라) 구토와 배변 등을 깨끗하게 처리하고 수건 등을 함께 사용하지 않는 주의와 위생에 더 신경을 써야 했다. 다행히 둘째는 무사하다. “차라리 내가 아팠으면…”이라고 했던 아빠의 정성이 하늘에 닿았나보다. 나는 지금도 아래위로 좍좍 이다. 답이 없다.

갑자기 기자의 본분을 다하고 싶었다. 어리이집 위생 상태는 어떤지 등 취재 아닌 취재를 하고 싶어졌다. 하지만, 슬기로운 한 부모의 조언이 떠올랐다. “아이들은 아프면서 큰 답니다.” 그래 다 그러면서 크는 거지. 건강하게만 자라다오!

변종국 기자 bjk@donga.com

#슬기로운 아빠생활 제보 및 피드백 (카카오톡 ID : jkbyun85)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