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제 방목’ 호주서 실적 쑥쑥… 한국오니 바로 족쇄

  • 동아일보
  • 입력 2018년 11월 26일 03시 00분


코멘트

[강한 금융 강한 경제 만든다]2부 눈앞만 보는 ‘우물안 금융’
<4>해외 나가 빛 본 코리아 핀테크
해외송금 업체 ‘와이어바알리’

《 세계 각국의 핀테크 시장에서는 혁신 아이디어로 무장한 ‘유니콘’(기업 가치 1조 원 이상 벤처기업)이 속속 나오고 있다. 이와 달리 국내 핀테크 기업들은 유니콘이 될 잠재력을 갖고도 척박한 규제 환경에 묶여 날개를 펴지 못하고 있다.

이는 대한상공회의소가 국내 신산업 분야 700여 개 기업을 설문조사한 결과에서도 드러난다. 설문 결과 47.5%가 “지난 1년 새 규제 때문에 사업 추진에 차질을 빚은 적이 있다”고 답했다. 이 중 핀테크 기업의 사업 차질 경험률이 70.5%로 가장 높았다. 또 핀테크(56.8%)는 국내 대표적 신산업 중 두 번째로 글로벌 경쟁력이 낮은 분야로 꼽혔다.

하지만 한국의 높은 규제 울타리를 벗어나 나라 밖에서 유니콘이 될 날개를 펴는 국내 기업들이 등장하고 있다. 호주에서 성공해 한국에 역(逆)진출한 ‘와이어바알리’와 인도에서 4년 새 고객 6000만 명을 끌어 모은 ‘밸런스히어로’가 대표적이다. 이들을 통해 한국의 핀테크 신산업을 육성할 과제를 들여다본다. 》
호주에서 첫 사업을 시작한 해외송금 서비스 업체 ‘와이어바알리’의 직원들이 호주 현지에서 서비스를 홍보하고 있다. 호주에서의 사업 성공에 힘입어 이 기업은 2년 전 한국시장에 역진출했다. 와이어바알리 제공
호주에서 첫 사업을 시작한 해외송금 서비스 업체 ‘와이어바알리’의 직원들이 호주 현지에서 서비스를 홍보하고 있다. 호주에서의 사업 성공에 힘입어 이 기업은 2년 전 한국시장에 역진출했다. 와이어바알리 제공
6년 전 연세대 경영학과 86학번 동기 3명이 뭉쳤다. 호주 현지에서 새로운 기술을 기반으로 한 해외송금 서비스업체 ‘와이어바알리’를 설립한 것이다. 50대 늦깎이에, 국내도 아닌 외국에서의 창업이었지만 세 친구는 자신감이 넘쳤다. 삼성전자 해외본부 출신인 유중원 대표, 인터넷 커뮤니티의 원조로 불리는 프리챌 창업 멤버인 윤태중 부사장, 공인회계사 출신인 김원재 이사회의장의 풍부한 경험이 든든한 배경이 됐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불법 외에는 새로운 서비스를 모두 허용하는 호주의 ‘네거티브 규제’가 사업을 확장하는 원동력이 됐다. 와이어바알리는 호주에 워킹홀리데이를 온 아시아 각국의 청년과 외국인 근로자를 타깃으로 해외송금 서비스를 선보였다. 베트남 필리핀 네팔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 각국의 대형 금융사와 제휴하고 경쟁사보다 수수료를 최대 70% 낮췄다. 이를 기반으로 와이어바알리는 월평균 100억 원 이상의 송금 거래를 취급할 정도로 성장했다.

해외사업의 성공에 힘입어 세 친구는 2016년 한국시장의 문을 두드렸다. 한국에서 영업 중인 해외송금 업체들보다 수수료를 낮출 수 있고, 와이어바알리의 ‘송금 허브’로 설립한 홍콩법인을 통해 환전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자신이 있었다.
하지만 호주에서 빛을 발하던 이들의 사업은 오히려 한국에서 큰 부침을 겪었다. 생각지도 못했던 각종 규제의 족쇄가 사업을 가로막았기 때문이다. 와이어바알리는 호주, 홍콩, 뉴질랜드 등 각국 법인의 사업 정보와 고객 정보를 하나의 서버(클라우드 서비스)로 관리해왔다. 하지만 한국 금융당국은 규정상 이 정보들을 한 서버에 둘 수 없다고 했다. 결국 와이어바알리는 연간 1억 원의 비용을 들여 서버를 따로 운영하고 있다.

2016년 한국법인을 설립하고도 실제 서비스를 시작하기까지 1년가량이 걸렸다. 국내에 마땅한 규정이 없어 해외송금 사업자가 고객 정보를 보유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지난해 7월 기획재정부가 금융실명법에 해외송금업을 추가해준 뒤에야 고객 정보를 받을 수 있었다.

그러자 이번에는 금융실명법 개정이 발목을 잡았다. 와이어바알리가 벤처캐피털사로부터 40억 원을 투자받았지만 중소기업벤처부가 이를 불허한 것이다. ‘금융실명법에 따라 와이어바알리가 금융회사로 분류돼 벤처특별법에 따라 투자를 받을 수 없다’는 논리였다. 유중원 대표는 “결국 자회사를 만들어 우회적으로 투자금을 썼다. 스타트업은 속도와 효율이 생명인데 한국은 답답한 측면이 많다”고 말했다. 금융위원회는 이달 들어서야 이 규제 조항을 없앴다.

유 대표는 “한국 정부는 핀테크를 ‘혁신의 시각’이 아닌 ‘위험의 시각’으로 접근한다. 스타트업에 비협조적인 대형 금융사도 걸림돌이 돼왔다”고 지적했다. 그는 “조금만 관점을 바꾸면 핀테크 혁신 서비스들이 금융산업에 활력을 불어넣고 해외투자도 늘릴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성모 기자 mo@donga.com
 
특별취재팀

▽팀장 정임수 경제부 차장 imsoo@donga.com

▽경제부 김재영 조은아, 런던=김성모, 시드니·멜버른=박성민, 싱가포르=이건혁, 호찌민·프놈펜=최혜령 기자

▽특파원 뉴욕=박용, 실리콘밸리=황규락, 파리=동정민, 베이징=윤완준, 도쿄=김범석
#규제 방목 호주#코리아 핀테크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