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美 2차 정상회담 합의…11월 美 중간선거 전 열릴지 주목

  • 뉴스1
  • 입력 2018년 10월 8일 07시 31분


코멘트

‘가급적 빠른 시일 내’ 개최 합의…실무협의 진행
北美 ‘참관’·‘상응조치’ 수준에 따라 시점 유동적일 가능성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2018.10.08. © News1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2018.10.08. © News1
북미가 ‘가급적 빠른 시일 내’ 2차 정상회담 개최에 합의함에 따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간 2차 정상회담의 개최 시점이 8일 주목된다.

북미의 정상회담 관련 논의는 상당히 구체적이고 실질적으로 진행된 것으로 보인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은 전날 오전 평양에서 김 위원장과 논의한 북미 2차 정상회담 관련 내용을 오후에 즉각 서울을 방문해 문재인 대통령과 만나 직접 전달했다.

특히 문 대통령은 폼페이오 장관에게 방북 관련 구체적 내용을 듣기 전 모두 발언에서 이미 “폼페이오 장관의 이번 방북과 곧 있을 제2차 미북 정상회담이 한반도의 비핵화와 평화 프로세스에 되돌아갈 수 없는 결정적인 진전을 만드는 좋은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윤영찬 국민소통수석 명의의 청와대의 공식 입장에서도 “폼페이오 장관은 제2차 미북 정상회담을 가급적 빠른 시일 내 개최키로 김 위원장과 의견을 모았다고 말했다”라고 명시돼 있다.

이 같이 한국 정부가 폼페이오 장관의 방북 내용을 구체적으로 언급한 것은 정부가 미국 측으로부터 폼페이오 장관의 방북 직전, 혹은 폼페이오 장관이 평양에서 서울로 향하는 과정에서 관련 내용을 상세히 공유받았음을 추정케 하는 부분이다.

아울러 미국이 폼페이오 장관의 방북 이전 북한과의 실무 협상에서도 관련 논의를 ‘충분히’ 진행했음을 보여 주는 대목이라고 할 수 있다.

홍민 통일연구원 연구위원은 “폼페이오 장관이 방북 직후 트위터에 관련 내용을 올리거나 문 대통령과의 면담에서 발언한 내용을 보면 미 행정부의 자신감이 느껴진다”며 “2차 정상회담의 장소나 일정도 이미 북미 간 물밑에서 상당한 합의점을 찾아 당일치기 협상에서 사실상 김 위원장의 ‘재가’를 받았을 수도 있다”라고 분석했다.

폼페이오 장관의 방북 전 예상됐던 북미 2차 정상회담 개최의 ‘베스트 시나리오’는 11월 미국 중간선거 전이라고 할 수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입장에서는 북핵 문제의 의미 있는 돌파구를 찾을 경우 선거 전 행정부와 공화당에 대한 지지를 끌어올릴 수 있는 계기로 삼을 수 있기 때문이다.

북한 역시 11월 내 일정 수준의 돌파구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 올 들어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직접 발품을 팔아 계기를 마련한 북미 협상 국면에서 작은 마침표를 찍을 수 있는 만큼의 성과가 필요한 것은 북한 역시 마찬가지기 때문이다.

또 연말로 갈수록 북한 체제가 ‘총화’ 모드로 들어가며 내년 신년사에 담을 새 정책 방향을 설정하게 된다는 점도 감안할 부분이다.

올해 진행된 비핵화 협상 국면을 조기에 일단락 지을수록 종전선언, 대북 제재 완화 등의 성과를 통해 대내외에 치적을 과시하며 새 국면을 준비할 수 있는 시간을 번다는 점에서다.

북미가 실제 이번 당일치기 협상을 통해 정상회담의 일정과 장소 등에 상당한 합의를 이뤘을 경우 11월 6일로 예정된 중간선거 전 정상회담 성사 가능성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북미가 지난 6월 싱가포르 정상회담 때 이미 의전과 회담 방식을 한 차례 논의한 적이 있는 만큼 2차 정상회담을 위한 준비 시간은 1차 정상회담에 비해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만일 미국 혹은 판문점, 평양 등 거론되는 장소 중 남북미의 한 곳이 선택된다면 정상회담 준비에 필요한 시간은 더욱 압축될 것으로 보인다.

관건은 정상회담 전까지 북한과 미국이 ‘약속’한 사항에 대한 세부 논의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는지 여부다.

이번 당일치기 회담에서 거론된 비핵화 조치와 관련한 미국의 ‘참관’ 문제가 ‘특정한 시설 혹은 특정한 무기 체계’에 대한 것이 아닌 포괄적 개념으로 논의됐을 경우 향후 실무협상 과정에서 또 한차례의 줄다리기가 있을 가능성이 높다.

마찬가지로 ‘미국의 상응조치’ 역시 구체화되지 않았다면 북미 2차 정상회담의 ‘조속한 개최’까지 만만찮은 고비를 더 넘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