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北도발때마다 특사보내 국면 전환… 北, 핵개발 위한 시간끌기에 이용하기도

  • 동아일보
  • 입력 2017년 11월 16일 03시 00분


코멘트

北, 합의 파기 10년 넘게 반복
쑹타오, 2015년 왕자루이 후임… 시진핑과 푸젠성서 함께 근무

중국은 과거 북한의 핵과 미사일 실험으로 정세가 악화될 때마다 대북 특사를 보내 국면 전환을 시도해 왔다. 북한은 이를 받아들이는 척하며 핵·미사일 개발을 위한 시간 끌기에 활용하기도 했다.

2003년 1월 북한이 핵확산금지조약(NPT) 탈퇴를 선언하며 벼랑 끝 전술을 구사했다. 2차 북핵 위기의 시작이었다. 이에 중국은 그해 3월 첸치천(錢其琛) 부총리를 북한에 보냈고 그해 8월 베이징(北京)에서 6자회담을 여는 데 성공했다.

중국은 2006년 10월 9일 북한이 최초 핵실험을 실시하자 열흘 만에 탕자쉬안(唐家璇) 외교담당 국무위원을 북한에 급파해 김정일 국방위원장 설득에 나섰다. 김정일은 이 자리에서 체제 안전 보장이 확보될 경우 추가 핵실험을 하지 않으며 6자회담이 북한을 압박하지 않겠다고 보장할 경우 6자회담에도 복귀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 결과 이듬해 2월 13일 6자 회담에서 영변 원자로 폐쇄 및 불능화 합의가 도출됐다.

이런 방문외교를 통해 중국은 2005년 ‘9·19 비핵화 공동성명’, 2007년 ‘2·13합의’와 ‘10·3합의’, 2012년 ‘2·29합의’ 등 북핵 협상의 중요 합의에 모두 개입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북한의 핵 질주를 막지는 못했다. 북한은 도발→제재→협상→합의→지원→파기의 똑같은 행동을 10년 넘게 반복해오고 있다.

특히 김정은 체제 들어 중국의 영향력은 더욱 약화됐다. 중국은 김정은 집권 첫해인 2012년 북한이 2·29합의 보름 만에 장거리 로켓 시험 계획을 발표하고 그해 4월 13일 이를 행동에 옮기자 왕자루이(王家瑞) 공산당 대외연락부장을 평양에 보내 중재를 시도했다. 하지만 북한은 그해 12월과 2013년 2월 또다시 장거리 미사일 시험과 3차 핵실험으로 중국의 권고를 철저히 무시했다.

중국은 2013년 북한이 핵실험에 이어 4월에 영변 원자로까지 재가동하자 그해 7월 리위안차오(李源潮) 국가부주석을 평양에 보내 김정은을 면담하게 했다. 그러나 김정은은 몇 달 뒤 친중파로 알려진 장성택 노동당 행정부장을 처형하는 것으로 응답했고 핵 질주를 계속 이어나갔다. 2015년 류윈산(劉雲山) 정치국 상무위원의 방북으로 잠깐 화해 분위기를 타는 듯했던 북-중 관계는 그해 12월 모란봉악단이 베이징 공연을 전격 취소하고 철수한 뒤로 더 이상 반전을 만들지 못했다.

이번에 방북하는 쑹타오(宋濤) 대외연락부장은 2015년 11월 왕자루이의 후임으로 임명됐다. 시진핑(習近平) 주석이 17년간 근무했던 푸젠(福建)성에서 오래 근무하다 2001년부터 외교부로 옮겨와 2013년부터는 시 주석이 총괄하는 외교 정책의 최고 의사결정기관인 중앙외사공작지도소조 판공실 부주임을 맡았다.

주성하 기자 zsh75@donga.com
#중국#북한#도발#특사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