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인 강제노동 해석, 日 외무상 ‘본인들 의사에 의한 것’ 미묘한 해석차

  • 동아닷컴
  • 입력 2015년 7월 6일 15시 17분


코멘트
조선인 강제노동 해석
조선인 강제노동 해석
‘조선인 강제노동 해석’

일본 메이지 산업혁명 유산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가운데, 조선인 강제노동 해석과 관련된 논란이 일고 있다.

지난 5일(현지시각) 독일 본 월드컨퍼런스센터에서 열린 제39차 세계유산위원회는 일본이 신청한 ‘메이지 일본의 산업혁명 유산: 규슈-야마구치와 관련 지역’에 대한 심사결과를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한국과 일본은 이번 심사에 조선인 강제노동 해석과 관련해 23개 시설 중 7개 시설에서 조선인 강제노동이 있었다는 내용 해석을 놓고 치열하게 다툰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심사 막판에 극적 합의를 도출하며 한일을 포함한 전체 21개 세계유산위 위원국의 만장일치로 등재안이 통과됐다.

이날 일본 정부대표단은 위원국을 상대로 한 발언에서 “일본은 1940년대에 일부 시설에서 수많은 한국인과 여타 국민이 의사에 반해 동원돼 가혹한 조건하에서 노역을 했고,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 정부도 징용 정책을 시행했다는 사실을 이해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할 준비가 돼 있다”고 조선인 강제노동 해석과 관련해 발언했다.

또 “일본은 정보센터 설립 등 피해자들을 기리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이코모스가 권고한) 해석전략에 포함시킬 준비가 돼 있다”고 설명했다.

일본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 신청한 근대산업시설에서 1940년대 조선인을 포함해 강제노동을 시켰다는 사실을 간접 인정한 것 해석할 수 있다.

등재 결정문에는 각주를 통해 “세계유산위원회는 일본의 발표를 주목한다(take note)”고 명시했다. 결정문의 본문에 들어가지 않았지만 각주와 일본 대표단의 발언록을 연계하는 방식으로 일본 근대산업시설에서의 강제노역 인정과 희생자를 기리기 위한 조치를 약속한 것이다.

이번에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일본의 메이지 산업혁명 유산은 규슈와 야마구치 지역 8개 현 11개 시에 있는 총 23개 시설로 이뤄져 있다.

특히 이 중 ‘지옥도’라는 별칭이 붙은 하시마(端島) 탄광을 비롯해 7곳이 대일 항쟁기 조선인 강제징용이 극심하게 이뤄졌던 장소다.

이들 7개 시설에 5만7천900명의 조선인이 강제동원됐고 그중 94명이 강제동원 중에 사망했다.

7개 시설은 나가사키의 미쯔비시 제3 드라이독·대형크레인·목형장, 타카시마 탄광, 하시마 탄광을 비롯해 이미케의 미이케 탄광 및 미이케 항, 야하타의 신일본제철 등이다.

하지만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외무상은 세계유산 등재와 관련해 조선인 ‘강제노동’이 있었음을 인정한 것은 아니라고 주장했다.

그는 “일본은 1940년대에 일부 시설에서 수많은 한국인과 여타 국민이 본인의 의사에 반하여 동원돼 가혹한 조건하에서 강제로 노역했으며(forced to work),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 정부도 징용 정책을 시행하였다는 사실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조치를 취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이는 결국 ‘forced to work’라는 표현을 둘러싸고 양국이 자국 국민에게 내 놓은 해석에 미묘한 차이가 존재함을 보여준다. 한국은 ‘강제 노역’으로 해석한 반면 일본은 일어판 번역문에서 수동형으로 ‘일하게 됐다’는 표현을 사용하며 ‘강제성’을 지운 것으로 보고 있다.

동아닷컴 도깨비뉴스 페이스북 http://www.facebook.com/DKBnews.all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