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원 없어도 잘 돌아가” 19년 만에 총파업 국민은행 가보니

  • 동아일보
  • 입력 2019년 1월 8일 17시 22분


코멘트
국민은행 파업으로 텅 빈 지점 KB국민은행 노조가 총파업에 나선 8일 서울 강북구의 한 국민은행 지점 모습. 창구 
절반이상이 빈 채 모니터에 ‘부재중’이라고 표시돼 있다. 이날 전국 1058개 지점이 모두 문은 열었지만 파업으로 인력이 모자란 
점포들은 대출 등의 업무가 제한됐다. 박영대기자 sannae@donga.com
국민은행 파업으로 텅 빈 지점
KB국민은행 노조가 총파업에 나선 8일 서울 강북구의 한 국민은행 지점 모습. 창구 절반이상이 빈 채 모니터에 ‘부재중’이라고 표시돼 있다. 이날 전국 1058개 지점이 모두 문은 열었지만 파업으로 인력이 모자란 점포들은 대출 등의 업무가 제한됐다. 박영대기자 sannae@donga.com
“사실 은행 업무야 ATM(자동입출금기기)을 이용해도 되고 모바일 뱅킹을 써도 되는 것 아닙니까.”

8일 오전 서울 중구 국민은행 신당역점에서 만난 64세 김모 씨. 그는 “노조가 대화로 해결을 안 하고 끝내 파업을 한 것이 괘씸하다”면서도 은행 파업으로 그리 큰 불편을 느끼지는 않는다는 반응이었다.

KB국민은행 노사가 막판 협상에도 불구하고 끝내 합의점을 찾지 못함에 따라 8일 19년만의 파업이 현실화됐다. 국민은행은 본점 인력을 긴급 투입해 전국 1058개 전 영업점의 문을 열고 411곳의 거점점포를 운영하는 등 정상영업을 위해 총력전을 펼쳤다. ATM과 인터넷·모바일뱅킹이 정상 운영된 까닭에 2000년 주택·국민은행 합병 반대 파업 당시와 같은 혼란은 없었다. 다만 일부 점포에서는 고객들의 불만도 새어나왔다.

이날 직원 1만6000여 명 중 5500여명(노조 측 추산 9500여 명)이 총파업에 참여한 가운데 국민은행 각 지점의 창구 상당수에는 ‘부재 중’ 알림이 걸려 있었다. 하지만 지점 출입문 등에는 ‘총파업이 진행 중이나 저희 지점은 정상적으로 영업 중입니다’라는 안내문이 붙은 가운데 고객들의 발걸음이 이어졌다. 서울 송파구 아시아선수촌지점에서 만난 황순옥 씨(51)는 “파업이라고 해서 걱정했는데 적금 가입, 환전, 예금 환급 등이 모두 차질 없이 이뤄졌다”고 했다. 서울 여의도, 광화문 등 사무실 밀집지역에서도 점심시간 대기인원이 대부분 5명을 넘지 않았다.

파업 여파가 제한적이었던 것은 고객들이 점포를 직접 찾기보다는 모바일뱅킹·ATM을 이용해 은행 업무를 봤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상반기(1~6월) 기준 국민은행의 전체 거래에서 온라인뱅킹 등 비대면 채널이 차지하는 비중은 86%(거래 건수 기준)다. 송금·이체 등 간단한 업무는 물론이고 예·적금, 펀드 등 각종 상품 가입도 온라인으로 가능하다. 지난해 상반기 국민은행이 판매한 전체 개인예금의 59%도 모바일뱅킹을 포함한 비대면 채널을 통해 판매됐다.

파업의 파급력이 생각보다 크지 않은 탓에 금융권에서는 이번 파업이 은행원 없이도 은행업무가 돌아가는 ‘디지털 금융시대’의 현실만 깨닫게 해줬다는 평가도 나온다. 다른 시중은행 지점에서 근무하는 30대 행원은 “창구 은행원이 없다고 해서 금융생활이 마비되는 시대는 이미 지나갔다”며 “파업이 오히려 은행원의 좁아진 입지를 보여주는 자충수가 된 것 아닌지 모르겠다”고 했다.

다만 파업 참여인원이 많은 점포들의 경우 대출 등 일부 업무가 제한돼 고객 혼란이 발생했다. 법인통장 개설을 위해 8일 오전 서울 중랑구 상봉역점을 방문한 방원대 씨(33)는 단순 입출금 업무만 가능하다는 은행 측의 설명에 분통을 터트렸다. 방 씨는 “어제(7일)도 지점을 방문했는데 오늘 서류를 준비해 오면 통장개설이 가능하다고 했다”며 “파업과 관련한 공지도 전혀 받지 못했다”고 말했다.

파업을 바라보는 여론의 시선은 싸늘한 편이다. 평균 연봉 9100만 원인 노조의 집단행동이 시민들의 지지를 얻기 어렵다는 것이다. 국민은행 파업 관련 기사에는 “소비자들의 이자로 돈을 벌어놓고 자기들 밥그릇 챙기기에만 여념이 없다” “국민은행에 넣어둔 예금을 전액 인출하겠다”는 댓글이 쏟아졌다. 이런 반응이 부담스러운 듯 국민은행 노조는 8일 기자회견을 열어 이번 파업이 ‘돈 문제’ 때문이 아니라고 강조했다. 노조는 △직급별 호봉상한제(페이밴드) 폐지 △임금피크제 도입 시기 연장 등이 핵심 안건이라고 했다. 이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31일과 다음달 1일 이틀에 걸친 2차 파업에 돌입할 예정이다.

장윤정 기자 yunjung@donga.com
김재희 기자 jetti@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