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동남아 인도시장 더 넓혀 중국發 경제리스크 줄여야

  • 동아일보
  • 입력 2017년 10월 2일 00시 00분


코멘트
중국에 이어 한국의 2위 수출 상대 지역인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아세안)으로의 수출이 지난달 91억800만 달러로 사상 최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어제 내놓은 ‘수출입 동향’에서 9월 수출이 작년 같은 달보다 35% 늘어난 551억3000만 달러로 61년 만에 최대라고 밝혔다. 추석이 9월에 있었던 작년보다 조업일수가 2.5일 늘었고 추석 연휴 전 기업들이 통관을 앞당긴 영향이 있지만 반도체 철강 석유화학 등 10개 주력 품목에 대한 수요 확대가 무역흑자의 주된 원인이다.

특히 수출지역별로 볼 때 중국(24.7%→23.6%) 미국(13.7%→12.1%)의 비중이 감소한 반면 아세안(15.0%→16.5%), 인도(2.3%→2.8%), 독립국가연합(1.4%→1.7%)의 비중이 커진 점이 주목할 만하다. 아세안 지역에선 동남아에 진출한 한국의 반도체 및 휴대전화 생산업체들이 한국에서 부품을 수입하는 한편 현지 업체들도 한국에서 중간재 수입을 늘리고 있다. 과거 중국이 한국에서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을 수입하여 이를 완제품으로 조립해 재수출했던 무역구조가 고스란히 동남아 등지로 옮아간 셈이다.

중국의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보복 여파로 롯데마트는 중국에서 철수했고 현대차는 중국 생산라인의 가동을 중단해야 했다. 수치상으로 드러난 중국에 대한 수출 감소는 우려할 정도가 아니지만 기업들이 느끼는 중국발(發) 위기의 강도는 위험 수위를 넘어서고 있다. 기업과 정부가 수출 품목을 다양화하는 동시에 수출 시장을 넓히고 분산해야 국제정세의 격변으로 경제가 받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아세안 인도뿐 아니라 선진국 소비시장과 중남미 아프리카 등 비(非)아시아권의 중간재 부품시장도 개척할 필요가 있다.

한-아세안 자유무역협정(FTA)이 발효된 지 10년이 지났는데도 한국 수출기업들의 FTA 활용률이 52.3%에 불과하다는 무역협회의 분석은 제도가 기업 활동을 제대로 뒷받침하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다. 기업들은 생소한 외국에서 세금과 운송, 원산지 증명 등 행정적인 문제와 정보 부족으로 애로를 겪고 있다. 정부가 현장의 목소리에 적절히 대응해야 모처럼 불고 있는 수출 호조세를 계속 이어갈 수 있다.
#중국 사드#중국 롯데마트#한국-아세안 자유무역협정#한국 수출 호조세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