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룸/조종엽]한강과 진눈깨비

  • 동아일보
  • 입력 2016년 5월 24일 03시 00분


코멘트
조종엽 문화부 기자
조종엽 문화부 기자
소설가 한강이 맨부커상을 받은 다음 날인 18일 후속 기사를 쓰기 위해 서점에서 그의 책을 급히 찾았다. 다른 책은 동이 났고, 첫 소설집인 ‘여수의 사랑’만 남아 있기에 얼른 집어 들었다. 책에는 작가의 1994년 신춘문예 당선작을 포함해 1995년까지 발표된 작품이 담겨 있었다.

한강의 소설은 지금도 대중적인 편은 아니지만 작가로서 첫발을 떼던 당시에도 유행에서 한참 벗어나 있었나 보다. 김병익 문학과지성사 상임고문(당시 대표)이 쓴 초판 해설은 “한강의 상상력은 한 세대 전의 세계 속으로 거슬러 올라가 거기서 움직이고 있다”고 했다.

1990년대 중반에는 포스트모더니즘과 감각적인 글쓰기가 유행했다고 들었다. 정치적으로는 장군 출신 대통령들이 물러나고 문민정부가 들어섰다. 국민소득 1만 달러를 앞둔 경제는 야심만만하게 세계화를 외쳤으며, ‘서태지와 아이들’이 문화 대통령이었다. 1997년 외환위기 전까지 아마 많은 이들이 한없이 가벼움을 만끽할 수 있었던, 건국 이래 유일한 시절일 것이다.

그럼에도 한강의 소설집 ‘여수의…’는 일관되게 극도로 무겁고 우울한 분위기를 담고 있었다. 주인공은 고아 또는 고아나 다름없는 이들. 가족의 죽음이나 상실에서 헤어 나오지 못하고, 가난하고, 몸은 아프거나 지난날 아팠다. 자신과 닮은 이를 만나 때로 보듬고 자주 상처 준다. 좁은 방, 가까운 이들과의 불편한 관계, 밤과 막막한 어둠의 이미지들…. 책 어디를 둘러봐도 고통이 가득하다. 한강이 집필과 병행하던 직장생활을 그만둔 게 1995년 겨울이니 작가는 주말과 밤에 이런 주인공들을 부여안고 소설을 썼을 것이다.

그때 한강은 한동안 진눈깨비에 ‘꽂혔던’ 것 같다. 여러 소설에서 이야기가 전환되는 마디마다 진눈깨비가 배경으로 등장한다. 표제작의 주인공 정선은 방에 날리는 먼지를 보며 고통스러운 기억이 있는 여수의 진눈깨비를 떠올린다. ‘질주’에서 인규의 어머니는 진눈깨비가 어지럽게 흩날리던 날 수십 년 전 잃은 둘째 아들과 인규를 착각하는 치매 증상을 드러낸다. ‘어둠의 사육제’에서는 영진이 나중에 믿음을 저버릴 고향 언니에게 깊은 동정을 느낀다.

진눈깨비, 눈도 아니고 비도 아니고, 눈처럼 맞았다가는 금세 축축해져 기분이 나빠지는, 봄을 순식간에 우울한 겨울로 되돌리는 스산한 것. 다시 생각해 보면 한강이 ‘여수의…’를 쓰던 시절도 가벼운 시대가 아니었다. 잇따른 대형 참사는 사람들을 경악하게 만들었고 민주주의 확대의 열망이 때로 좌절했다. ‘여수의…’ 주인공이 아홉 시 뉴스를 볼 때면 언제나 자신도 모르게 욕설을 내뱉었던 것처럼, 당시 20대에게는 진눈깨비의 이미지에 썩 어울리는 시대였을 거다.

창작은 흔히 산고에 비유된다. 아기는 자라지만, 작가들이 낳은 작품은 시간이 지나도 그대로다. 오래전 작품을 읽는 작가의 기분은 어떨까. 여수까지 고속철도(KTX)가 개통된 지 오래지만 소설의 주인공들은 여전히 통일호를 타고, 공중전화를 걸었다가 3분을 알리는 소리가 들리면 얼른 전화를 끊는다. ‘여수의…’ 첫 문장처럼, 여수 앞바다의 녹슨 철선들은 지금도 상처 입은 목소리로 울부짖어 대고 있을까.

조종엽 문화부 기자 jjj@donga.com
#소설가 한강#맨부커상#여수의 사랑#진눈깨비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