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룸/손택균]비엔날레 사대주의

  • 동아일보
  • 입력 2015년 5월 15일 03시 00분


코멘트
손택균 문화부 기자
손택균 문화부 기자
미술교사가 연필 드로잉 숙제를 냈다. 거실에 놓여 있던 목각 구두를 그려 갔다. 생각대로 쓱쓱 잘 그려져 신나는 마음에 밤새도록 몇 시간을 붙들고 앉았던 기억이 난다. 아이들이 책상 위에 올려놓은 그림을 둘러보던 교사가 내 옆에 한동안 멈춰서 있는가 싶더니 뜻밖의 말을 쏘아붙였다.

“누가 해줬니? 바른대로 말 안 할래?”

당혹스러움에 얼굴이 벌게져 한동안 말을 잃었다. 그것으로 혐의 확정이었다. 중3 때 일이다. 유치하고 나약한 심사라 손가락질 받겠지만 그 경험은 두 가지 생각을 틔웠다. ‘그림 따위에 한눈팔지 말고 공부나 열심히 해야겠다.’ ‘학교라 불리는 이 괴상한 공간을 어떻게든 빨리 벗어나야겠다.’

교사가 기대한 중3다운 드로잉은 어떤 거였을까. 지난주 지구 반대편 이탈리아 베네치아에서 황금사자상 수상자를 발표하는 비엔날레 시상식장 기둥 밑에 붙어 카메라 셔터를 누르며 뜬금없이 그때 생각을 했다.

미술 활동에 대한 평가 기준이란 게 있기는 있는 걸까. 작품 디테일에 대한 판단은 어느 정도 비슷할 수 있다. 하지만 비엔날레에서 상 받은 작가는 반드시 뛰어난 예술가일까. 심사위원들은 코웃음을 치겠으나, 도저히 한 줄로 세울 수 없는 덩어리들이 혼재한 드넓은 행사장을 거듭 돌아보며 생각한 건 하나였다. ‘닭과 치타와 송아지와 오리를 나란히 앉혀 놓고 누가 더 예쁘게 생겼는지 따지려 드는 일과 다를 게 뭔가.’

미술 분야에서 오래 활동한 권위자의 안목과 취향에 의지해 최근 경향을 정리하고 추천작을 소개받는 자리. 문외한인 내 눈에 비엔날레의 취지는 그 정도가 적절해 보였다. 실험적인 관객 참여 퍼포먼스가 최고상인 황금사자상을 받고 한국의 장편 다큐멘터리 영화가 은사자상을 받은 결과는 그렇게 볼 때 파격이 아니다. 제3세계 예술의 가치를 재조명하겠다는 취지를 노골적으로 펼쳐낸 나이지리아 출신의 올해 비엔날레 총감독 오쿠이 엔위저의 입맛에 잘 맞아떨어졌을 뿐이다.

한국 작가 최초의 본전시 수상을 폄훼할 마음은 없다. 노동자와 서민의 시선으로 사회 부조리를 진득하게 성찰해 온 작가가 비엔날레를 계기로 주목받게 된 건 환영할 일이다. ‘정부와 대기업을 비판한 영화를 윗선에서 탐탁히 여기지 않는다’는 어이없는 뒷공론에 통쾌하게 한 방 먹인 결과이기도 하다.

수상작에 대한 평가와는 별개로, 다양성을 포용하는 척하며 그 우열을 겨루는 이율배반 이벤트에 대한 지나친 조바심이 슬슬 잦아들길 희망한다. 현장에서 본 베니스 비엔날레는 찬란했던 과거의 품에서 안이한 응석만 부리려 하는 유럽 도시의 관광 상품에 지나지 않았다.

의도한 바든 아니든 올해 총감독 엔위저의 성과는 베니스 비엔날레의 뒤통수를 때려버린 데 있다. 상에 어울리는 모범적 작품이 따로 있을 리 없지 않나. ‘의외’니 ‘파격’이니 하는 시상식 뒷말은 그 행사가 예술의 본질로부터 얼마나 멀어졌는지 가늠하게 하는 방증이다.

손택균 문화부 기자 sohn@donga.com
#중3#드로잉#비엔날레#엔위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