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설수설/정성희]동북아시대의 한자 공부

  • 동아일보
  • 입력 2015년 8월 26일 03시 00분


코멘트
한 국어국문학과 교수가 제자 15명에게 자신들의 학교 이름을 한자로 쓰게 했더니 9명이 제대로 쓰지를 못했다. 2011년 성균관대 이명학 교수가 서울시민을 상대로 자녀의 이름을 한자로 쓰게 했더니 30대의 62.8%가 제대로 쓰지 못했다. 영어로 된 랩 가사를 흥얼거릴 수 있고 인터넷 영어 검색이 능숙한 젊은이들일수록 한자는 암호문일 뿐이다. 초등학교에서 한자를 배운 적이 없는 한글세대가 커서도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다.

▷현재 한자 교육은 중고교에서 1800자를 배운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초등학교 3학년 이상 도덕, 사회, 수학 교과서에는 일부 한자어가 병기되고 있지만 초등학교 한자수업은 자율에 맡겨져 있다. 우리말 단어의 70%가 한자에서 유래된 상황에서 한글만으로 의미가 전달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더 큰 문제는 한글전용이 학생들의 어휘력과 사고력의 빈곤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한자 실력의 차이가 진급할수록 학력 차이로 연결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교육부가 전문가들로 구성한 국가교육과정개정연구위원회가 24일 개최한 ‘초등학교 한자 교육 활성화를 위한 공청회’에서 김경자 위원장이 초등학교 교과서에 한자를 표기하는 4가지 방안을 제안했다. 괄호 안에 한자를 병기하거나 본문 옆 여백이나 각주(脚註)에 한자를 표기하는 방안인데 어떤 방식이든 교과서를 통해 한자 교육을 강화하겠다는 것이다. 표의문자인 한자는 특성상 글자를 익히면 그 글자에 담긴 역사적 문학적 철학적 맥락을 모두 익힐 수 있어 국어실력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세상을 이해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한글로도 불편함이 없는데 왜 학습 부담을 늘리는 한자를 병기하는가라는 한글전용론자의 반대가 만만치 않지만 여론은 한자 교육에 긍정적이다. 이명박 정부 때 여론조사에서 국민의 89%가 찬성했다. 동북아시대의 부상도 중요한 변수다. 한중일은 한자문명권이므로 기본한자만 알아도 삼국 간에는 의사소통이 가능해진다. 이제 사대주의 콤플렉스를 벗어던지고 한자 교육을 전향적으로 검토할 때가 됐다.

정성희 논설위원 shchung@donga.com
#동북아시대#한자 공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