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광장/최진석]보라!

  • 동아일보
  • 입력 2016년 6월 18일 03시 00분


코멘트

본다는 건 편견-의도를 버리고 성실하게 관찰하는 것
정치도 학문도 산업도 새로워지는 일을 감행하려면 우선 보아야 한다

최진석 서강대 철학과 교수 건명원 원장
최진석 서강대 철학과 교수 건명원 원장
‘아바타’라는 유명한 영화가 있다. 거기에는 주제음악의 제목이기도 하면서 의미심장한, 그러나 매우 단순한 대사가 나온다. “나는 당신을 봅니다(I see you).” 이는 내 앞에 있는 당신을 시각적으로 감지한다는 것 이상을 의미한다. ‘나비족’들은 이 간단한 표현 안에 사랑한다는 뜻도 담고 경이롭게 존경한다는 뜻도 담는다. 비록 외부인이더라도 나비족의 전사로 다시 태어나 일체감을 보여준 사람에게 그렇게 말한다. 인격의 근본 토대와 그 전체성의 차원에서 소통하고 합일하는 어떤 경지가 도래할 때 하는 말로 들린다. 순수한 인격의 시적(詩的) 승화이다.

궁금증이 생겼다. 왜 “나는 당신을 봅니다”라는 말을 “I look at you”라 하지 않고 “I see you”라고 했을까. 나처럼 영어 실력이 많이 부족한 사람이나 가질 법한 궁금증이다. ‘look’은 의도를 가지고 목표물을 응시하는 행위다. 이와 달리 ‘see’는 그냥 눈에 들어오는 대로 받아들이는 행위이다. ‘see’는 ‘look’에 비해서 보는 사람의 주관적 편견이나 의도가 많이 제거되어 더 전면적이고 개방적이다. 한자 문화권의 언어 습관에서 보면 ‘look’은 ‘시(視)’에 해당되고, ‘see’는 ‘견(見)’에 해당된다. 다시 만날 것을 기대하는 인격적인 표현이 영어로는 ‘see you’이고, 중국어로는 ‘再見’임은 당연하다. 다시 만날 것을 약속하면서 인격적인 개방성과 전면성을 약속하지 않는다면 그저 피상적인 대면 이외에 무엇이 되겠는가. ‘look’과 ‘시(視)’는 어쩔 수 없이 주관의 폐쇄적 편견과 가치 기준 그리고 일방적인 신념을 허용하게 된다. 그래서 넓고 높은 인격들은 ‘see’와 ‘견(見)’의 보기를 한다.

해안가를 달리다 보면 저 멀리 있는 섬이 눈에 들어온다. 사람들이 그 섬을 본다고 하지만 진짜로 보는 사람은 많지 않다. 대개는 이미 자신의 의식 속에 들어 있는 섬에 대한 기존의 이해를 토대로 해서 판단해 버리고 만다. 시선을 그 섬에 직접 접촉시키거나 붙이지 못하고 중간에 거두어들이는 것이다. 이래서 보는 일은 인간으로서 상당한 내공이 있어야 비로소 가능하다. ‘본다’고 하려면 개방된 인격을 가지고 대상에 대하여 전면적이고 성실한 접촉을 시도해야 한다. 접촉한 다음에는 오랫동안 시선을 거기에 머무르게 한다. 이것을 관찰이라고 한다. 관찰하고 또 관찰하면 어느 순간 보는 사람이나 보이는 대상이 구태를 벗고 함께 허물어지는 일이 벌어진다. 전혀 새로운 관계가 형성되는 것이다. 대상을 통하여 내가 새로워지고, 대상 또한 이전과 다른 새로운 존재성을 보여준다. 이 신기한 절차와 결과가 문자를 매개로 정련되어 남겨지면, 우리는 그것을 ‘시(詩)’라고 부른다. 그래서 시인은 원초적으로 ‘보는 사람’이다.

‘보는 사람’ 함민복은 ‘섬’을 다음과 같이 보았다. ‘물울타리를 둘렀다/울타리가 가장 낮다/울타리가 모두 길이다.’ 기존의 이해를 근거로 판단하면 울타리는 높은 것이고 길을 막는 것이다. 판단하여 시선을 거두어들이지 않고 섬에 직접 접촉시켜 오래 머물게 한 시인의 노고를 통하여 우리는 가장 낮을 뿐만 아니라 심지어는 길이 되어버리는 울타리를 두른 새로운 섬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보는 사람’은 이전에 존재해 본 적이 없는 진실을 우리 앞에 턱! 하니 선물하였다. 새로운 섬이 등장한 것이다. 없던 진실을 있게 만드는 일, 이것이 바로 창조이다. 창조는 판단의 결과가 아니라 집요한 보기를 통해서 열리는 새로운 빛이다. 시인이 인간 가운데 지배자의 위치를 점하는 이유이다. 지배자는 빌려 쓰거나 따라 하지 않는다. 지배자는 창조의 힘으로 압도한다.

정치가 되었건, 학문이 되었건, 예술이 되었건, 산업이 되었건 새로워지는 일을 감행하려면 우선 보아야 한다. 보기 위해서는 스스로를 지배하고 있는 구태의연한 의식으로 채워진 자신이 허물어질 필요가 있다. 이것을 어느 부류의 수양론에서는 ‘허심(虛心)’이라고도 하고 ‘무심(無心)’이라고도 한다. 그래서 새로운 일은 결국 새로워진 사람이 아니고서는 안 된다고 할 수밖에 없다. 새로워진 사람은 볼 수 있고, 볼 수 있으면 새로워진다. 보는 능력이 없이도 지배력을 가질 수 있을까.

최진석 서강대 철학과 교수 건명원 원장
#아바타#나는 당신을 봅니다#보는 사람#함민복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