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이정환]쌀 소비 감소, 대안은 있다

  • 동아일보
  • 입력 2019년 2월 12일 03시 00분


코멘트
이정환 농협구미교육원 교수
이정환 농협구미교육원 교수
“식사하셨습니까?”

과거에는 어르신을 만나면 가장 먼저 했던 인사말이 바로 ‘식사 여부’였다. 가난했던 시절이라 먹는 일이 삶에서 가장 중요했기 때문일 것이다. 과거의 ‘식사’는 말 그대로 집에 쌀이 떨어지지는 않았는지 물어보는 것이었다. 그래서 우리 국민의 주식이 무엇이냐고 물어보면 누구나 당연히 쌀이라 대답한다. 실제 통계청 자료를 봐도 1970년대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136.4kg이었다.

이렇듯 국민의 주식이던 쌀 소비량은 매년 감소세다. 1월 통계청에서 발표한 양곡소비량조사 자료에 따르면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2018년 61kg으로 전년(61.8kg) 대비 1.29%(0.8kg) 감소했다. 최근 10년간(2008∼2017년) 1인당 쌀 소비 감소율(1.79%)과 비교하면 소폭 낮아졌으나 지난해 통계는 국민 한 명당 하루에 밥을 두 공기도 먹고 있지 않음을 말해주고 있다.

쌀 소비 감소의 주요인은 전통 한식의 식사 준비에 대한 번거로움, 빵 시리얼 라면 등 대체식품에 대한 선호 현상, 식습관 변화 등을 들 수 있다. 또 다이어트에 대한 관심 증가로 아침밥을 거르거나 인스턴트로 해결하는 사람이 늘고 있는 데 기인하기도 한다.

쌀 소비 감소는 쌀 생산에 대한 유인을 축소시킨다. 결국 생산기반의 약화로 이어지게 되고 곡물자급률에 악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다. 곡물자급률 하락은 밀 등 타 곡물의 수요 증가로 이어지면서 식량에 대한 해외 의존도를 높이고, 식량위기 대처 능력을 떨어뜨리게 만든다.

우리나라 곡물 자급률이 쌀을 제외하면 5%도 되지 않는 현실을 생각해볼 때 벼농사에 대한 지속적 유인책이 절실한 시점이다. 또 아침을 거르거나, 밥을 먹는 것이 다이어트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잘못된 생활정보는 오히려 서구화된 식습관을 부추겨 고혈압, 당뇨와 같은 각종 성인병의 원인을 제공할 수 있다.

쌀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전통 백미 중심의 쌀 소비 관점에서 벗어나 가공 밥 시장의 활성화를 도모해야 한다. 1인 가구의 증가에 맞추어 ‘혼밥족’을 위한 다양한 패키지형 제품에도 눈을 돌려야 한다. 정부 및 농업 관련 기관에서는 로컬푸드(Local Food) 운동 등 녹색 식생활 운동에 대한 홍보를 강화해야 할 것이다.

국민은 쌀이 차지하고 있는 경제적·사회적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우리 쌀 소비에 관심과 애정을 가져 쌀 소비가 더 이상 감소되지 않도록 적극 참여했으면 한다.
 
이정환 농협구미교육원 교수
#쌀 소비량#양곡소비량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