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김창희]한국의 대학, 절벽 끝에 다다르다

  • 동아일보
  • 입력 2018년 9월 4일 03시 00분


코멘트
김창희 싱가포르 리퍼블릭폴리테크닉대 경영학부 교수
김창희 싱가포르 리퍼블릭폴리테크닉대 경영학부 교수
몇 주 전, 한국 대학 관계자 세 분이 찾아왔다.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에 적합한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커리큘럼에 변화를 주지 않으면 안 되겠다”란 것이 고민이었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대학의 생존 문제가 자리 잡고 있다. 한국 대학의 수가 학생 수에 비해 월등히 많은 것이다. 학령인구가 계속 줄어들면서 대학은 ‘학생 모집’이 가장 중요한 과제가 되고 말았다.

여러 대학에서 중국이나 중앙아시아 학생들을 유치하는 것을 대안으로 고려하고 있으나, 대학이 제공하는 교육 서비스의 내용과 질이 학생 유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또한 수도권에 위치한 대학들(35%)이 지방 대학들(65%)보다 유리한 조건에 놓일 것이라는 예측에도 이견은 없다. 그렇다면 한국 전체 대학 수의 약 65%를 차지하는 지방 대학들은 미래의 생존을 담보받기 위해 무엇을 어떻게 고민해야 할까?

수요와 공급이 완전히 엇갈리는 상황에서 한국의 대학들도 이제는 ‘지원자’의 입장에서 진지하게 자신을 평가해 보는 시간이 필요하다. 개교 이래 시간의 흐름에 따라 학교가 어떤 분야를 강화시켜 왔는지 한눈에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대학도 사기업과 마찬가지로 조직이 지구상에 존재하는 이유, 즉 미션과 비전에 대한 인식이 필수적이다.

자아 성찰을 마쳤으면 대학의 ‘특성화’에 대한 고민을 시작해야 한다. 보통 한국 대학의 순위는 대학 이름의 ‘브랜드’가 모든 것을 결정해 왔다. 한국 대학들의 학문별 순위도 그것과 동일시되었다. 특성화에 대한 고민이 그동안 부족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다. 이제 대학들의 초점은 커리큘럼의 개선이든, 교수법의 혁신적인 전환이든, 잠재적 고객들에게 어떠한 미래 지향적 가치를 제공하느냐에 맞춰야 할 것이다.

필자가 속한 대학은 고등직업교육기관이다. 2002년 개교 당시부터 명확한 그림이 있었다. 모든 졸업생을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문제 해결사’로 양성하겠다는 비전이었다. 이 비전에 따라, 모든 학과에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을 적용하고, 교수진의 채용과 평가에도 이 같은 항목을 반영했다. 이러한 특성화는 싱가포르 내 다른 4개의 폴리테크닉과 두드러진 차별점으로 부각됐다. 학생들에게도 호응을 얻고 있다.

현재 한국의 대학들도 하나둘씩 PBL을 도입하기 시작했다. 잊지 말아야 할 것은 각 대학들이 그들만의 고유한 차별점을 발굴해 내야 한다는 사실이다. 필자가 속한 대학의 PBL 방식이 한국의 대학들에도 동일한 가치를 보장하지는 않을 것이다. 대학이 향후 나아가려는 방향과 방법이 미래 사회의 요구에 부합할 때 비로소 그 대학은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며, 간신히 절벽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당신의 대학은 왜 존재하는가, 그리고 어떤 모습의 인재를 육성하고 싶은가. 절벽 끝까지 떠밀려 온 한국의 모든 대학에 필자가 묻고 싶은 질문이다.
 
김창희 싱가포르 리퍼블릭폴리테크닉대 경영학부 교수
#대학#폴리텍 대학#싱가폴 대학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