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에서/윤상호]김정남 독살은 對南화학전 전주곡

  • 동아일보
  • 입력 2017년 3월 16일 03시 00분


코멘트
윤상호 군사전문기자
윤상호 군사전문기자
제1차 세계대전 초기인 1915년 4월 벨기에의 이프르 전선(戰線).

독일군 진영에서 날아든 수백 발의 포탄이 터지면서 노란 연기가 자욱하게 퍼졌다. 프랑스군은 기습을 알리는 연막탄으로 여기고 참호 속으로 피신했다. 하지만 5000여 명이 질식사하고 2000여 명이 포로로 잡히는 피해를 입었다. 독일군이 곡사포로 발사한 수천 개의 염소가스 캔이 빚은 참사였다. 실전에서 처음 사용된 화학무기의 위력은 가히 충격적이었다. 이후 세계 각국은 1925년 질식성·독성가스 사용을 금지하는 제네바 의정서를 체결했다.

하지만 인류는 ‘악마의 무기’의 유혹을 뿌리치지 못했다. 2차 세계대전 때 일본군은 이페리트라는 독극물로 중국인을 학살했고, 독일 나치는 홀로코스트(유대인 대학살)에 살충제(치클론-B) 성분의 독가스를 사용했다. 1997년 화학무기금지협약(CWC)이 발효된 뒤에도 이라크와 시리아에서 사린가스와 같은 치명적 독극물에 의한 대량살육이 반복됐다.


화학무기의 제작비용은 핵무기의 수십 분의 1에 불과하다. 원자로나 재처리 시설과 같은 고도의 제조설비가 없어도 대량생산을 할 수 있다. 하지만 그 살상력은 핵무기에 결코 뒤지지 않는다. 미국 랜드연구소의 브루스 베넷 박사는 맑은 밤에 사린가스 1t을 여의도 3배 면적(약 8∼9km²) 도심에 살포하면 최대 23만 명이 죽거나 다칠 것이라고 경고했다. 화학무기가 ‘가난한 자의 핵무기’로 불리는 이유를 충분히 납득할 만하다.

북한은 일찌감치 화학무기의 가공할 위력에 눈을 떴다. 1980년대부터 사린과 VX 신경작용제 등 10여 종의 독성화학물질을 개발 비축해왔다. 지금은 최대 5000t의 화학무기를 군단급 이하 부대에 배치해 놓고 있다. 수천 발의 화학탄두가 포탄과 미사일에 실려 언제든지 서울 한복판으로 날아들 수 있다는 얘기다. 북한이 휴전선(MDL) 인근에 배치한 장사정포와 스커드 미사일에 600∼700여 t의 화학무기를 실어 한국을 공격하면 개전 후 한 달 내 200만 명의 인명 피해가 날 것으로 군은 보고 있다. 화학무기 종류와 공격 방법에 따라 사상자가 1000만 명에 이를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북한이 설마 동족에게 화학무기를 사용할까 하는 일말의 의구심도 사라졌다. 이복형(김정남)을 VX로 잔인하게 살해하는 김정은이 한국을 겨냥한 화학 공격을 망설일 확률은 ‘제로’에 가깝다고 봐야 한다. 어쩌면 김정남 암살은 김정은이 지시한 화학무기의 실전 테스트이자 대남 화학전의 전주곡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우리의 인식은 안이하기만 하다. “정부기관과 지방자치단체에 북 화학 공격의 위험성과 대책을 강조해도 군이 할 일이라며 시큰둥한 반응이다.” 최근 군 고위 당국자가 하소연하듯 필자에게 건넨 말이다.

정부와 군은 북한 화학무기 위협을 발등의 불로 보고 고강도 대책을 세워야 한다. 북한 전역의 화학무기 연구·생산·비축시설을 유사시 선제타격 표적에 포함시키고, 화학무기로 한국을 공격하면 미국의 핵우산 전력으로 즉각 응징하는 방안이 검토될 수 있다. 민간 차원의 화생방 방호대책도 다시 살펴봐야 한다. 신형 방독면을 주요 기관과 다중이용시설에 늘려 비치하고, 화학 공격 시 해독과 제독 절차에 대한 국민 교육도 필요하다. 대한민국의 파멸과 재앙을 초래할 북한 대량살상무기(WMD) 위협은 ‘현재진행형’이다. 한 치의 빈틈이나 방심도 허용돼선 안 된다.

윤상호 군사전문기자 ysh1005@donga.com
#북한 화학무기#사린#vx 신경작용제#독성화학물질#김정남 독살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