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년 넘게… 古書 사러 센강변 찾는 파리지앵

  • 동아일보
  • 입력 2017년 9월 20일 03시 00분


코멘트

파리의 헌책 노점상 부키니스트

프랑스 파리 센강의 중심부 시테섬 근처에 가면 언제든지 옛날 책이나 골동품, 포스터를 파는 ‘부키니스트’들을 만나 볼 수 있다. 500년 이상의 전통을 가진 이들은 프랑스 전통 문화를 전파한다는 자부심이 대단하다. 파리=동정민 특파원 ditto@donga.com
프랑스 파리 센강의 중심부 시테섬 근처에 가면 언제든지 옛날 책이나 골동품, 포스터를 파는 ‘부키니스트’들을 만나 볼 수 있다. 500년 이상의 전통을 가진 이들은 프랑스 전통 문화를 전파한다는 자부심이 대단하다. 파리=동정민 특파원 ditto@donga.com
12일 오후 2시, 가게 문을 여는 제롬 칼레 씨의 손이 분주했다.

그의 매대는 영화 ‘퐁네프의 연인들’로 유명한 파리 센강 퐁뇌프다리 바로 옆 강둑에 있다. 그는 강둑에 세워진 초록색 철제 매대의 지붕을 열고 책 한 권을 비닐로 소중하게 감쌌다. 그가 싼 책은 1482년 빅토르 위고의 소설 ‘노트르담 드 파리’의 원본 표시가 있는 귀중한 책이다.

25년 넘게 센강 변으로 출근하고 있는 그의 직업은 ‘부키니스트’다. 부키니스트는 파리지앵이라면 모르는 사람이 없는 직업이다. 헌책이라는 뜻의 ‘부캥(bouquin)’에서 비롯된 용어로 헌책 노점상이라고 보면 된다. 인쇄술이 발달하기 시작한 16세기에 등장한 부키니스트는 처음에는 책을 메고 다니면서 팔았다. 이후 퐁뇌프다리에 노점 형태로 자리 잡기 시작했다.

이들은 19세기 초까지 활동이 금지되기도 했다. 왕정을 비판하고 시민의식을 고취시키는 금서를 전파하는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19세기 초 나폴레옹 황제는 도시를 정비하고 센강에 강둑을 쌓으면서 이들의 활동을 허락했다.

230명의 부키니스트는 노트르담 대성당이 있는 시테섬 양 옆 센강 변 3km 구간에 매대 900개를 운영 중이다. 이 매대들은 1991년 유네스코 문화유산으로 지정됐다. 부키니스트 협회장인 칼레 씨는 “프랑스 문화를 잘 알고 책을 사랑하는 열정만 있으면 누구나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특별한 자격은 없지만 원한다고 될 수 있는 건 아니다. 파리시가 매대 난립을 막기 위해 일 년에 한 번 위원회를 열어 지원자를 선별하는데 대기자가 꽤 많다는 후문이다.

파리시 공공디자인 연구소의 결정으로 매대 크기는 길이 2m, 폭 0.75m, 높이 0.6m로 규격화했고 색상도 청록색으로 통일했다. 임대료가 없는 대신 일주일에 최소 4번 이상은 문을 열어야 하고 새 책은 팔 수 없다. 대신 가끔 파리시에서 입수한 고서(古書)를 이들에게 나눠주기도 한다. 시의 관리 대상이지만 무슨 책을 파는지 검열하는 일은 절대 없다. 자유로운 시민 정신을 존중하는 차원이다.

소장 가치가 있는 소중한 책을 구하는 건 부키니스트들의 능력이다. 그들은 경매장, 골동품 상점, 개인 소장자들을 찾아 전국을 돌아다닌다.

30년째 부키니스트로 일하는 마리 크리스틴 티에르 블루몽 씨는 “가족들로부터 상속받은 책들을 집에 보관하고 있는 개인이 꽤 많다”며 “이들을 어떻게든 찾아서 사 오는 게 내 일”이라고 말했다.

블루몽 씨 가게의 단골인 시민 기노 씨는 “나는 그림에 관련된 책을 찾으러, 아내는 1920년대 유행했던 것들을 다룬 책을 찾으러 나왔다”며 “아무리 전자기기가 발달해도 종이책의 느낌을 대체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곳곳에서 부키니스트와 손님들 사이에 프랑스 문화와 역사를 두고 한바탕 토론도 벌어지고 있었다.

요즘 중고 책마저 온라인으로 거래되고 전자책이 활성화되면서 부키니스트들은 경영난을 겪고 있다. 차량 테러가 유럽에 번지자 약 40%를 차지하는 외국인 손님의 수도 많이 줄었다. 이 때문에 칼레 씨는 올해 처음으로 9월 말 부키니스트 축제를 기획하는 등 손님 끌기에 한창이다. 그래도 그는 걱정 없다고 말했다. “아무리 좋은 와인이라도 플라스틱 잔에 주면 버리는 거나 마찬가지거든요. 책은 언제든 좋은 종이에 담겨 있을 겁니다.”

파리=동정민 특파원 ditto@donga.com
#파리#헌책#노점상#부키니스트#프랑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