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요금을 카드로?… 눈 똥그래진 외국 공무원들

  • 동아일보
  • 입력 2018년 1월 5일 03시 00분


코멘트

‘수출 효자’된 서울시 도시정책… 자동요금징수-교통카드 시스템
말레이시아-몽골 등에 잇달아 전수… 전자정부 시스템 문의도 늘어
市 “한국기업 해외진출 기회”

서울시 교통정보센터(TOPIS)에 모인 태국 공무원들이 버스종합사령실 현황과 교통정보를 살펴보고 있다(위쪽 사진). 최근 러시아 
모스크바를 비롯해 도심 쓰레기 문제를 고민하는 외국 지방정부에서 마포자원회수센터를 자주 찾는다. 쓰레기종량제 노하우를 전수받고 
재활용 기술을 배운다. 서울시 제공
서울시 교통정보센터(TOPIS)에 모인 태국 공무원들이 버스종합사령실 현황과 교통정보를 살펴보고 있다(위쪽 사진). 최근 러시아 모스크바를 비롯해 도심 쓰레기 문제를 고민하는 외국 지방정부에서 마포자원회수센터를 자주 찾는다. 쓰레기종량제 노하우를 전수받고 재활용 기술을 배운다. 서울시 제공
“사람들이 이 봉투를 사서 쓰레기를 담아 버린다고요?” “사람들이 그냥 길에다 쓰레기를 버리면 어떻게 치우지요?”

최근 서울시 해외도시협력담당관실 공무원들은 러시아 모스크바시, 필리핀 마닐라시,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시 공무원들의 질문 공세를 받았다. 해외에서도 잘 정착돼 있다고 알려진 서울시 도시정책 실태를 견학하거나 자료를 요청하는 경우가 크게 늘고 있다. 서울시 곳곳을 다니며 직접 보면서 배우고 싶다는 외국 지방정부도 많아졌다. 김기현 국제교류담당관은 “미국이나 서구 국가정책이 아시아 국가에는 잘 적용되지 않은 경우가 많다. 그러나 서울시 도시정책은 그렇지 않아 이를 수입해 적용하고 싶어 하는 외국 도시가 늘었다”고 설명했다.

이들 외국 도시 공무원들은 사회 기본 인프라 정책이 어떻게 집행되는지에 관심이 많다. 그중에서도 쓰레기를 수거하고 재활용하는 시스템에 대한 질문이 많다. 급속한 도시화로 골목에 저소득층이 모여 사는 집들이 들어서면 쓰레기로 덮이기 일쑤다. 쓰레기가 하수도로 쓸려 들어가지 않도록 상하수도를 잘 구축하는 법을 문의하기도 한다. 일종의 정책 수출인 셈이다.


국내에서도 1995년 쓰레기 종량제가 시작됐지만 정착되기까지 시간이 꽤 걸렸다. 몰래 버린 검은색 비닐봉지를 뒤져 찾아낸 영수증으로 쓰레기를 무단 투기한 사람을 찾아 계도하기도 했다. 이제는 공동주택의 경우 무선주파수인식(RFID) 음식물쓰레기 배출 방식까지 도입됐다. 버린 양을 자동 계량해 수수료를 사용자가 부담하는 제도다.

외국 공무원들은 정책에 맞도록 시민 행동이 형성되기까지 행정적으로 어떤 제도가 뒷받침했는지 궁금해했다.

서울시는 해외 도시와 자매 도시나 우호 도시를 맺는 ‘도시 외교’를 펼쳐왔다. 이들 도시에 한국 대표식물로 정원을 조성하기도 하고 조형물을 기증하기도 했다. 서울 양천구에 ‘파리공원’을 만드는 식으로 외국에도 서울 브랜드를 꾸준히 알렸다. 약 10년 전부터는 한발 더 나아가 행정 시스템을 수출하고 있다.

스테디셀러는 교통이다. 2006년 중국 베이징(北京)에 자동요금징수 시스템을 구축했다. 뉴질랜드 말레이시아 콜롬비아 그리스 몽골은 요금징수 및 교통카드 시스템을 서울시에서 배워갔다. 지난해에는 몽골 울란바토르시, 인도네시아 반둥시, 케냐 나이로비시가 대중교통 시스템 정책자문을 했다. 우크라이나 키예프시는 서울의 올빼미버스를 도입하기로 하고 타당성 조사에 들어갔다.

전자정부 시스템도 인기다. 스리랑카 콜롬보시는 세무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한 자문을 하고 있다. 수도시설 사업을 서울시에 맡긴 페루 찬차마요시도 있다.

서울시는 궁극적으로 한국 기업에 기회가 오기를 기대한다. 환승이 쉬운 버스 스마트카드를 도입하거나 안전문(스크린도어) 회사가 해외 공공조달 시장에 참여하는 방식이 한 예다. 김 담당관은 “상권분석 시스템이나 지방세 시스템 기술을 가진 기업들이 해당 국가 사업에 참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노지현 기자 isityou@donga.com
#버스요금#카드#공무원#서울시#도시정책#수출#행정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