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가족 문제 못풀고 세대 넘기면 통일도 어려워져”

  • 동아일보
  • 입력 2015년 2월 18일 03시 00분


코멘트

[통일코리아 프로젝트 3년차/준비해야 하나 된다]
[통일은 치유다]<下>이병웅 前남북적십자회담 대표

이병웅 한서대 국제인도주의연구소장이 “북한을 미워하더라도 북한 주민을 돕는 건 통일을 위해 필요하다”고 호소하고 있다. 위 사진은 이 소장(아래쪽)이 2002년 대한적십자사 총재특보 시절 이산가족 면회소 설치 후보지인 금강산 온정리 조포마을을 둘러보는 모습. 홍진환 기자 jean@donga.com·동아일보DB
이병웅 한서대 국제인도주의연구소장이 “북한을 미워하더라도 북한 주민을 돕는 건 통일을 위해 필요하다”고 호소하고 있다. 위 사진은 이 소장(아래쪽)이 2002년 대한적십자사 총재특보 시절 이산가족 면회소 설치 후보지인 금강산 온정리 조포마을을 둘러보는 모습. 홍진환 기자 jean@donga.com·동아일보DB
“영화 ‘국제시장’에서 주인공 덕수가 소년 시절 겪었던 흥남철수, 그게 꼭 내가 처했던 상황이올시다.”

1950년 12월, 아홉 살 소년이었던 이병웅 한서대 국제인도주의연구소장(74). 의사이자 기독교인이던 그의 아버지는 북한 공산주의자들의 감시를 받자 어린 병웅을 데리고 고향인 함경남도 북청을 떠났다. 12월 어느 날 해질 무렵 그가 탄 기차는 흥남역에 도착했다. 어머니와 누나는 다음 날 만나기로 했지만 북청역과 흥남역 사이에서 전투가 벌어져 길이 끊겼다. 생이별이었다. 영하 20도의 추위에 떨며 열흘을 넘게 흥남부두에서 버텼던 소년 병웅은 아버지와 함께 미국 군함을 타고 경남 거제로 향했다.

21년 뒤인 1971년. 중앙정보부(현 국가정보원) 직원으로 공직 생활을 하던 이 소장은 그해 처음 시작된 남북적십자회담 지원 사무국으로 옮겨 이산가족 문제 해결에 뛰어들었다. 33년 뒤인 2004년 대한적십자사 총재특보로 퇴직할 때까지 남북적십자회담 수석대표, 적십자사 사무총장을 역임한 그는 남북 이산가족 회담의 산증인이 됐다.

“일선에서 물러날 때까지는 북한에 이산가족이 있다는 얘기를 일절 하지 않았어요. 내가 이산가족 문제를 다루고 있는데 (사적인 일로) 회담에 장애가 될까 봐….”

이후 민간인 신분으로 북한에 갔을 때에야 처음으로 “내 고향이 북쪽이다. 어머니 생사만 알려 달라”고 부탁했다. “어머니와 누나가 살아있다는 소식만 들었어요. 돌아와 이산가족 상봉 신청을 했지만 기회는 얻지 못했어요.” 그는 “어머니가 1916년생이시니 지금은 돌아가셨을 것”이라며 말끝을 흐렸다.

“내가 제일 안타깝고 서글픈 게 뭔지 아오? 사랑하던 어머니 얼굴을 잊어버렸어. 키가 좀 크시다. 얼굴이 길쭉하셨던 것 같다. 이것만 생각나….”

○ “전쟁 상처와 미움 풀어야 통일”

“이산가족의 고통은 이산가족 아니면 잘 몰라….”

이산상봉 대상자로 선정이 계속 안 되니까 “내 재산 반을 줄 테니 비공식적으로 생사만이라도 알려 달라”고 그에게 간절히 청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이산가족의 아픔을 누구보다 잘 아는 이 소장이기에 올해 설을 계기로 한 이산가족 상봉 무산이 너무도 안타깝다.

그는 통일 과정에 이산가족의 아픔을 치유하는 게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전했다.

“통일은 쉽지 않아요. 6·25전쟁 피해자들이 남북에 다 있기 때문에 이들의 상처를 치유하지 않는 이상 어려워요. 많은 사람이 전쟁으로 죽고 헤어졌어요. 그러니 마음의 미움을 풀지 않고는 어려워요. 그래서 이산가족이 만나 울면서 같은 동포임을 확인하는 게 중요한 겁니다.”

○ “이산가족 회담이 7·4공동성명으로”

그가 1971년 남북적십자회담에 뛰어든 것은 어떻게든 이산가족 문제를 해결하고픈 간절함 때문이었다.

박정희 전 대통령 시절 이산가족 적십자회담을 하는 과정에 판문점 비밀접촉이 이뤄졌고, 1972년 7·4남북공동성명으로 이어졌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이산가족과 같은 인도적 문제 대화가 남북 당국 간 정치 대화로 이어지는 시발이 되는 것이지. 이산가족 문제는 남북 간 현안을 푸는 첩경이오.”

그는 이산가족 문제를 통해 남북이 신뢰를 쌓을 해법으로 ‘인도주의적 상호주의’를 제시했다. “이산가족은 인도적 문제이기 때문에 대가 없이 해결돼야 하지만 북한이라는 상대가 요구하는 게 있는 만큼 전쟁물자로 이용되지 않을 대북지원을 통해 이산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다.

○ “이산가족 문제 해결 없이 동질성 회복 불가능”

“얼마 전 한 세미나에서 이산가족 문제 해결을 위해 약간의 대북지원이 있어야 한다고 했더니, 막무가내로 ‘안 된다’는 보수 인사들이 있었어요. 하지만 생각해 보세요. 북한 인구 2400만여 명 중 1500만 명은 끼니를 걱정해야 해요. 우리 10대들은 170cm가 넘죠? 북한은 커봐야 160cm 미만이라고 해요. 이러면 한민족이라고 해도 통일 뒤에 남북 사람들 간에 엄청난 차이가 나겠지요. 대북지원은 통일한국의 사회상과 직결된 문제입니다.”

그 역시 6·25전쟁으로 가족과 이별한 피해자이지만 “북한 주민을 돕는 건 설사 북한을 미워하더라도 통일을 위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그는 시간이 자꾸 가는데 이산가족 문제는 제자리걸음 하는 걸 매우 걱정했다. 한때 일천만 이산가족이라는 얘기가 있었다. 구체적인 숫자는 아니었다. 6·25전쟁 당시 남쪽으로 내려온 약 500만 명을 염두에 둔 하나의 상징이었다. 그런 이산가족들이 시간이 지나며 급격히 줄고 있다.

“결국 남북이 교류를 계속하면서 세대가 가고 그 과정에 변화가 생겨야 평화통일이 가능해요. 그런데 세대가 그냥 가면 안 돼. 남북이 같은 민족이라는 동질감을 가져야지. 내 아들도 마흔여섯 중년인데, 자신이 이산가족이라는 개념이 전혀 없어요. 생전 보지도 듣지도 못한 북한의 할머니, 고모를 어떻게 알겠어요. 중년층도 그런 개념이 없는데 10대, 20대는 더할 거 아니오. 이산가족의 상처를 어루만지지 못한 채 다 죽고 이대로 세대가 넘어가면 동질성 회복도, 통일도 어려워져요. 이제는 꼭 풀어야 해.”

▼ 이산가족 전원 생사확인→ 상시 상봉 ▼

정부 ‘이산 근본적 해결’ 구상은
불규칙한 ‘이벤트 상봉’ 넘어서야… 北전면 생사확인 비용도 변수


남북 당국 간 회담이 성사되면 정부가 최우선으로 다룰 의제는 바로 이산가족 문제의 근본적 해결이다.

정부는 지난해 12월 말 대통령 직속 통일준비위원회를 내세운 남북 당국 간 회담을 제의하면서 “내년(2015년)에 이산가족 문제의 획기적인 해결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통일부는 지난달 대통령 업무보고에서 “이산가족 납북자 국군포로 문제의 근본적 해결을 남북대화의 우선적 의제로 삼을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현재처럼 불규칙하게 이뤄지는 이벤트식 상봉으로는 근본적 해결이 불가능하다는 지적이 많다. 정부의 새로운 접근법에는 이를 뛰어넘을 묘안이 필요하다는 뜻이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이산가족 상봉을 계속 추진하되 이산가족 전원의 생사 확인을 북한에 제안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북한이 응해 이산가족 전원의 생사를 확인하면 상봉이 절실한 부부-형제-부모의 직계 가족은 1만 명 이하로 줄어들 것으로 정부는 추산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자유로운 서신 교환과 함께 이산가족들이 언제든지 만날 수 있는 상시 상봉 시스템을 만들겠다는 게 정부의 구상이다. 한 소식통은 “박근혜 대통령은 북한에도 이산가족이 있는데 문제를 풀면 그들도 좋지 않으냐는 인식을 갖고 있다”고 전했다.

문제는 이산가족 문제를 정치적 사안이라고 주장하며 해결에 소극적인 북한을 어떻게 설득하느냐다. 정부 고위 당국자가 지난해 12월 기자들과 만나 “생사 확인과 서신 교환 등 이산가족 문제를 풀기 위해 정부가 다른 부분에서 북한에 줄 게 있으면 적극 고려하겠다”고 말한 것도 이런 고민을 드러낸 것이다.

하지만 ‘무엇을 줄 수 있을지’에 대해 정부는 공개적인 언급을 꺼리고 있다. 인도적 문제를 푸는데 북한에 대가를 줘야 하느냐는 보수 여론의 부정적 인식을 의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생사 확인 시스템을 갖춘 한국과 달리 북한이 전면 생사 확인에 나서려면 많은 비용이 들어가는 현실을 고려한 지원도 검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명분과 당위에 머물러 있는 이산가족 문제를 실질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과감한 방식의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 내일이면 늦으리… 70대 이상 고령자가 82% ▼

南 생존 이산가족 6만8303명… 年6800명씩 만나야 10년내 상봉


이산가족정보통합시스템에 따르면 현재 생존한 이산가족(한국 측 상봉 신청자)은 6만8303명(1월 현재)이다.

하지만 당국 차원의 이산가족 상봉이 본격화된 2000년 이후 올해까지 15년간 북한에 있는 가족의 생사를 확인한 한국 측 이산가족은 3496명, 북한에 있는 가족을 만난 이산가족은 2546명에 불과하다. 화상상봉으로 만난 가족 1082명을 포함해도 3628명이다.

시간이 갈수록 이산가족은 고령화되고 있다. 현재 한국 측 이산가족 중 70대 이상의 고령층이 차지하는 비율은 82.1%다. 60대 이상은 이산가족의 92.2%에 달한다. 현대경제연구원은 “평균 기대수명으로 볼 때 이산가족은 20년 안에 거의 사망하고 70세 이상의 고령층 이산가족은 10년 안에 대부분 사망할 것”으로 분석했다.

결국 현재 방식처럼 한 번 상봉행사에 100명의 이산가족이 북한의 이산가족을 만나는 방식으로 10년 안에 이산가족 문제를 해결하려면 산술적으로 매년 6800명꼴로 만나야 하는 셈이다.

윤완준 기자 zeitung@donga.com
#통일#이병웅#남북적십자회담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