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 인 컬처]쓰면 뜨고 벗으면 망한다… 가면들의 세상

  • 동아일보
  • 입력 2017년 11월 8일 03시 00분


코멘트

‘얼굴 감춘 무대’ 붐

일본 밴드 ‘세카이노 오와리’
일본 밴드 ‘세카이노 오와리’
‘핼러윈이라….’ 에이전트 7(임희윤)은 핼러윈(10월 31일) 저녁에 서울 이태원에 가면을 쓰고 나가는 대신 ‘쌍팔년도 아재’ 메탈 밴드 헬로윈의 음반을 들었다. 핼러윈을 대표하는 상징물인 잭오랜턴(Jack O‘Lantern·속을 도려낸 호박에 귀신 형상을 새긴 것)을 음반 표지에 내세운 ‘헬’로윈의 음악만은 소싯적에 꽤 좋아했지만 정작 핼러윈 파티를 즐겨본 적은 없다는 걸 깨달았다.

어느새 핼러윈은 서양의 명절에서 한국의 명절로 흡수된 듯했다. 언젠가부터 유치원의 대표적 연례행사가 됐고, 이태원 등지에는 이맘때면 가면무도회의 물결이 넘실댄다. 스파이더맨, 배트맨 같은 슈퍼히어로부터 조커나 도깨비 같은 다소 무서운 캐릭터까지 다양한 가면과 복장으로 도시를 배회한다.

○ 쓰면 되고 벗으면 안 된다… 가면의 효용

핼러윈을 떠올리자 7의 머릿속엔 사회 여기저기를 떠도는 가면이 보이기 시작했다. 시작할 때만 해도 몇 번 하고 접을 것 같은 괴상한 프로그램쯤으로 치부됐던 MBC TV ‘복면가왕’은 2년 반째 시청률 10%를 상회하며 인기리에 방영 중이다. 가요계엔 ‘가면을 쓰고 부르면 뜨고 벗고 부르면 망한다’는 격언도 생겼다. 별 관심 없던 절창의 가수도 복면만 쓰면 화제의 중심에 선다. 괴물 밴드 국카스텐의 하현우는 ‘음악대장’이란 탈을 쓴 뒤에 비로소 대중스타가 됐다.

7은 지난달 27일 밤 서울 광진구에서 가면 콘서트가 열린다는 소식을 듣고 현장으로 향했다. KT에서 연 ‘청춘해’ 콘서트. 입장 전에 1000명가량의 관객들에게 가면과 핼러윈 기념품을 나눠줬다. 청춘들의 고민을 나누고 초대 가수의 노래와 사연도 듣는 공연. 참가자들은 용기를 내서 무대에 올라 취업, 인간관계에 대한 고민을 털어놓았지만, 일부는 가면을 쓴 채 자신의 연애 이야기를 꺼내기도 했다. ‘청춘해’ 콘서트 관계자는 “요즘엔 소셜미디어 덕에 교류의 폭이 넓지만 정작 남의 눈치 안 보고 자기 마음 툭 터놓을 공간은 역설적으로 점점 줄어들고 있다. 이런 세태에서 가면이 주는 효용이 발생한다”고 해석했다.

캐나다 DJ ‘데드마우스’
캐나다 DJ ‘데드마우스’

○ 키스부터 DJ 마시멜로까지… 가면들의 세상

맨얼굴이야말로 복제할 수 없는 개성이다. 그러나 얼굴 개성으로 만족하지 못한 이들은 역사 속에 늘 있었다. 때로 그들이 대중을 이끌었다. 1970년대 데뷔한 미국 록 밴드 키스. 만화에서 튀어나온 도깨비처럼 괴기스러운 얼굴 분장 뒤에 진짜 얼굴을 숨겼고, 악몽 같은 퍼포먼스로 스타덤에 올랐다. 1960년대 ‘쇼크 록의 대부’ 앨리스 쿠퍼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한 모습이었다. 1990년대엔 콘택트렌즈와 치과용 의료기구로 끔찍한 분장을 한 메릴린 맨슨이 계보를 이었다.

21세기 일렉트로닉 댄스 뮤직계에 다시 한번 가면의 전성기가 왔다. 프랑스 듀오 다프트 펑크가 대표적이다. 그들은 1999년 9월 9일 오전 9시 9분 컴퓨터 버그로 스튜디오 기자재가 폭발하는 사고를 당한 뒤 사이보그가 됐다고 주장하며 로봇 탈을 뒤집어썼다. 그래미 시상식을 비롯한 모든 공공장소에서 불편한 로봇 탈을 고집한 덕에 이들은 음악 외에 관련 캐릭터 상품 판매로도 매년 많은 돈을 벌어들이고 있다. 죽은 쥐 가면을 쓴 ‘데드마우스’, 얼굴 있을 자리에 마시멜로를 뒤집어쓴 DJ 마시멜로도 대형 전자음악 축제 무대에서 군중을 열광시킨다.

그러고 보니 7도 얼마 전 가면 가수를 실제로 만난 적 있다. 일본 밴드 세카이노 오와리의 DJ ‘러브’는 공공장소에서 절대 피에로 가면을 벗지 않는 것으로 유명한데 인터뷰 자리에도 탈 차림으로 나타났다. 그는 “다른 멤버들은 늘 팬들을 의식해야 하지만 난 참 편하다. 한국 입국 때도 공항에서 다른 멤버들과 멀찍이 떨어져 (알려지지 않은) 맨얼굴로 스태프들에 섞여 팬들의 눈을 피해 편안하게 들어왔다”고 했다. 가면의 유일한 단점으로 ‘공연할 때 너무 덥다’는 점을 그는 꼽았다.

7이 만난 전문가들은 가면 붐에 대해 “인간 사회의 현실을 벗어나 다른 세계로 가고 싶은 욕망, 일탈적 콘텐츠에서 죄의식을 희석시키려는 열망이 함께 작용했다. 따라서 가면 콘텐츠는 정보기술이 발달할수록 인기를 얻을 것”이라고들 내다봤다. 7 역시 이참에 특제 가면을 하나 제작하려 서울 을지로로 향하는데….(다음 회에 계속)
 
임희윤 기자 imi@donga.com
#일본 밴드 세카이노 오와리#캐나다 dj 데드마우스#가면들의 세상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