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뷰스]‘2000년 실크로드’의 잠재력 다시 깨우다

  • 동아일보
  • 입력 2017년 9월 25일 03시 00분


코멘트
백운규 산업부 장관
백운규 산업부 장관
미국의 저명한 국제정치학자 즈비그뉴 브레진스키는 20년 전 그의 저서 ‘거대한 체스판’에서 유라시아(유럽+아시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최대의 인구, 면적과 함께 세계 에너지자원의 75%를 보유한 유라시아의 잠재력과 지정학적 가치를 높이 평가했다. 장밋빛 미래는 아니지만 한반도를 국제 정치의 지정학적 추축(樞軸)으로 묘사한 것도 인상적이다. 9월 초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열린 동방경제포럼에서 한국 대표단으로서 아시아, 유럽의 각국 대표와 상호협력 방안을 논의해 유라시아의 무궁한 잠재력을 더욱 실감했다.

곧이어 한국은 22일 서울에서 제7차 아시아유럽정상회의(ASEM·아셈) 경제장관회의를 개최했다. 의장 자격으로 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역사, 경제, 문화적으로 다양한 배경을 가진 아시아와 유럽의 51개 참가국 대표들이 경쟁적으로 발언하고 상호 토론하는 모습은 잊기 힘든 광경이었다. 2005년 이후 12년간 중단되었던 협의체를 재개시키기 위한 지난한 협의와 설득 과정도 떠올랐다. 이번 회의는 세계적 차원의 보호무역주의 확산, 4차 산업혁명의 대두라는 엄청난 변혁에 직면한 각 회원국의 적극적인 참여 의지에 힘입어 그 어느 때보다도 값진 성과를 도출했다.

우선 아셈 회원국들은 보호무역주의에 대응해 자유무역과 다자무역 체제를 적극 지지하는 성명서를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한국은 1966년 세계무역기구의 전신인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GATT)에 가입하기 전까지 총 교역액이 10억 달러에도 미치지 못했지만 50년이 지난 지금은 그 1000배가 넘는 1조 달러에 달해 세계 9위의 무역 강국이 되었다. 자유무역의 대표적 수혜국인 한국의 주도하에 최근 보호무역주의 움직임에 함께 대응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는 것은 국제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와 함께 우리는 4차 산업혁명 시대 아시아·유럽의 공동 번영을 위한 ‘4차 산업혁명 서울 이니셔티브’를 제안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생산성 혁신의 기회와 함께 국가별 대응역량 차이로 인해 양극화가 심화될 위험이 있다. 이런 점에 주목하여 한국은 더불어 잘사는 경제를 지향하는 새 정부의 국정철학을 담아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포용적 성장을 도모하기 위한 아셈 역내 협력방향을 제시하였으며 회원국들의 전폭적인 지지를 얻었다.

한국에 유라시아는 레드오션이 아닌 여전한 블루오션이다. 동방경제포럼에서 밝혔듯이 문재인 정부는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의 실천 방안으로 ‘동북아플러스 책임공동체’를 추진하고자 하며 그 핵심은 ‘신남방정책’과 ‘신북방정책’이다. ‘신남방’은 아세안, 인도의 폭발적인 시장수요에 기반을 둔 경제 협력을 확대하는 것. ‘신북방’은 러시아를 중심으로 교통, 물류, 에너지 인프라 연계를 통해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하자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아시아와 유럽을 아우르는 아셈의 잠재력은 한국 경제의 미래를 위한 소중한 자원이다.

서울에서 12년 만에 다시 열린 아셈 경제장관회의는 아시아와 유럽이 최적의 경제협력 파트너임을 상호 인식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옷은 새로운 것이 좋고 사람은 오래될수록 좋다’는 말처럼, 이미 2000년 전 실크로드를 통해 교류를 시작했던 유라시아의 오랜 이웃들과 함께하는 경제적 ‘공영(共榮)’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백운규 산업부 장관
#4차 산업혁명#asem#실크로드#동방경제포럼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