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철 방미 임박…美 “北 비핵화 구체조치” 강조

  • 뉴스1
  • 입력 2019년 1월 17일 08시 24분


코멘트

김영철, 김정은 친서들고 워싱턴 직행
美 침묵하며 신중모드…펜스 “구체적 비핵화 조치” 압박

지난해 6월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을 방문한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친서를 전달하고 기념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지난해 6월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을 방문한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친서를 전달하고 기념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2차 북미정상회담 개최가 임박해지고 있는 것으로 관측되는 가운데 미국은 비핵화를 위한 북한의 구체적 조치가 필요하다는 점을 계속해서 강조하고 있다.

CNN은 지난 15일(현지시간)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이 17일 워싱턴 D.C.로 직행, 이튿날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을 만날 것이라고 보도했다.16일엔 윌 리플리 CNN 기자가 트위터를 통해 김영철 부위원장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친서를 갖고 간다고 전했다. 친서를 갖고 간다는 것은 김 부위원장의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면담 가능성을 어느 정도 높이는 부분.

그러나 미국은 지난해 11월8일 폼페이오 장관과 김 부위원장의 뉴욕 고위급 회담이 예정됐을 당시 사전에 많은 관련 소식들을 쏟아낸 것과 달리 별다른 언급없이 침묵하면서 오히려 북한의 비핵화에 대한 구체적 조치를 강조하는 신중한 모습을 보이고 있어 대조를 이룬다.

물론 북한 역시 김 위원장의 신년사에 이어 15일에도 관영 매체를 통해 미국에 상응 조치를 촉구하며 제재 완화를 또다시 압박하는 모습이다.

북한이 이렇게 제재 완화에 집중하는 것은 김정은 위원장이 ‘경제건설’ 노선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해석된다고 미국의소리(VOA)는 해석했다. 일각에선 지난해 11월 뉴욕 고위급 회담이 돌연 취소된 것도 북한의 제재 완화 압박 때문인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싱가포르 정상회담 이후에만 9차례에 걸쳐 대북 독자제재를 발표한 미국도 기회가 될 때마다 “북한이 비핵화를 완료할 때까지 제재를 유지한다”는 입장을 견고히 하고 있는 모습이다.

16일에는 마이크 펜스 미 부통령이 비핵화를 위한 북한의 구체적 조치들을 여전히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VOA 등에 따르면 펜스 부통령은 이날 국무부 청사에서 열린 재외공관장 회의 연설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은 김 위원장과 전망이 밝은 대화를 시작했지만 우리는 우리 국민들과 지역 내 우리 동맹들을 위협하는 핵무기를 해체하기 위한 북한의 구체적인 조치들을 여전히 기다리고 있다”고 밝혔다.

VOA는 펜스 부통령의 이 같은 발언은 미국이 직면한 ‘불량국가 집단’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나왔지만 이란을 테러지원국으로 지칭하고 쿠바와 베네수엘라, 니카라과 등을 독재국가로 묘사한 것과 달리 북한에 대한 직접적인 비난은 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비핵화의 ‘구체적 조치’와 관련해 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빅터 차 한국 석좌는자유아시아방송(RFA)에 이는 북한의 핵능력 신고, 동결, 폐기 등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차 석좌는 “일반적으로 비핵화 과정은 핵능력의 완전한 신고(declaration), 핵개발 활동 동결 및 핵시설을 사용할 수 없는 상태로 만드는 불능화(disablement), 그리고 핵 폐기(dismantlement) 등 3단계로 구성된다”며 북한의 경우 핵능력 신고가 대표적인 구체적 비핵화 조치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반면 미국 해군분석센터(CNA)의 켄 고스 국장은 RFA에 펜스 부통령의 요구는 “북한에 일방적으로 핵폐기를 하라는 것”이라며 이것은 북한이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에서 합의한 비핵화 개념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고스 국장은 “북한이 합의한 비핵화는 북한과 미국 양측이 동시에 하는 한반도 비핵화인데 미국은 북한만 하는 북한 비핵화로 보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이 같은 비핵화 개념에 대한 미북 간 차이 때문에 핵 협상에 진전이 없다며 이를 타개하기 위해서 미국과 북한은 서로 양보하는 상호적이고 단계적인 협상 과정을 만들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