톱스타→부부 납북→극적 탈출… “500년 산것처럼 모진 시절”

  • 동아일보
  • 입력 2018년 4월 17일 03시 00분


코멘트

‘영화같은 삶’ 최은희 별세
‘사랑방 손님’ ‘춘희’ 등 130편 출연… 60년대 한국영화 황금기 이끌어
홍콩서 남편 신상옥과 함께 피랍… 8년만에 빈 주재 美대사관 망명
납북 11년만에 다시 고국으로

고 최은희 씨(오른쪽)의 대표작 가운데 하나인 영화 ‘사랑방손님과 어머니’(1961년). 고 신상옥 감독은 이 영화의 연출을 맡았으며, 고인은 옥희 어머니를 연기했다. 동아일보DB
고 최은희 씨(오른쪽)의 대표작 가운데 하나인 영화 ‘사랑방손님과 어머니’(1961년). 고 신상옥 감독은 이 영화의 연출을 맡았으며, 고인은 옥희 어머니를 연기했다. 동아일보DB
16일 별세한 원로 배우 최은희 씨(본명 최경순)는 은막의 스타이자 분단의 현실을 온몸으로 고통스럽게 증언한 역사의 증인이다.

1926년 경기 광주에서 태어난 고인은 1943년 배우 문정복의 소개로 극단 아랑에 연구생으로 들어가 광복 전까지 활동했다. ‘새로운 맹서’(1947년)로 데뷔해 신상옥 감독의 ‘코리아’(1954년)에 출연했고, 이후 신 감독과 결혼했다. 앞서 18세에 김학성 촬영감독과 만나 결혼했지만 6·25전쟁 때 피란길에서 헤어졌다.

고인은 지난해 11월 서울 중구 명보아트홀에서 고 신상옥 감독을 기리는 영화제인 ‘제1회 신필름 예술영화제’ 개막식에 휠체어에 앉은 채 참석했다. 원로 영화평론가 김종원 선생은 “휠체어에 타고 온 최은희 선생이 사람들을 만나며 무척 반가워했다”며 “몸은 비록 나약한 모습이었지만, 정신은 아주 좋은 상태였다”고 안타까운 마음을 표현했다. 그는 “최은희 선생은 한국 분단 역사의 희생의 상징적인 인물”이라며 “개인적으로는 상당히 겸손하면서 한 시대 역사의 어두운 그림자가 드리운 연기자였다”고 말했다. 올해 4월 10일에 열린 신 감독의 12주기 추도식에는 신영균 문희 정진우 이장호 씨 등 영화계 원로들이 참여했다.

이장호 영화감독은 “남북한에서 톱스타 그 자체였던 고인이 눈을 감으셨다니 한 세대가 지나갔다는 생각이 든다”고 추모했다. 김동호 전 부산국제영화제조직위원회 조직위원장은 “한국 영화사의 큰 별, 한국 영화 역사 그 자체인 분”이라며 안타까워했다. 원로 연기자 전계현은 “후배들이 선생님 댁에서 촬영대기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배려해주시는 등 따뜻하면서도 멋지고 당찬 선배셨다. 돌아가셨단 소식에 허전한 마음이 든다”고 말했다.

‘춘희’(1959년) ‘돌아온 사나이’(1960년) 등 고인이 출연한 작품들은 한국 영화의 황금기를 이끌었다. 특히 ‘성춘향’(1961년)으로 본격적인 전성기를 맞았고, 이후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 ‘상록수’(1961년) ‘열녀문’(1962년) ‘쌀’ ‘로맨스 그레이’ ‘강화도령’(1963년) ‘벙어리 삼룡’ ‘빨간 마후라’(1964년) 등 대작들을 연달아 발표하며 한국의 여성상을 오롯이 담아냈다는 평가를 받았다.

1965년에는 영화 ‘민며느리’로 한국영화 사상 세 번째 여성감독으로 데뷔했다. 1966년 안양영화예술학교를 설립하는 등 후학 양성에도 힘썼다. 신 감독과는 1976년 이혼했다.

1983년 3월 김정일 국방위원장(가운데)이 초청한 연회에서 남편 신상옥 감독(오른쪽)과 상봉한 배우 최은희 씨. 동아일보DB
1983년 3월 김정일 국방위원장(가운데)이 초청한 연회에서 남편 신상옥 감독(오른쪽)과 상봉한 배우 최은희 씨. 동아일보DB
이후 고인의 삶은 뿌리째 흔들렸다. 1978년 안양영화예술학교 교류 사업차 방문한 홍콩에서 돌연 북한으로 납치된 것. 평양 남포항에서 고인을 마중 나온 김정일이 건넨 첫마디는 “최 선생. 내레 김정일입네다”였다. 김정일이 납치를 지시한 장본인임을 스스로 인정한 것이다. 고인은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납치된 지 얼마 되지 않아 김 위원장이 저녁 식사에 초대했는데 내가 슬퍼하니까 ‘최 선생, 나 좀 보시오. 난쟁이 똥자루 같지 않습네까’라고 해 웃지 않을 수 없다”고 말하기도 했다.

고인은 자서전 ‘최은희의 고백’(2007년)에서 “김정일은 나에게 온갖 배려와 친절을 베풀었지만 그에 대한 원망의 감정을 지울 수가 없었다”고 썼다.

납북 5년째인 1983년 김정일로부터 연회에 초대받은 고인은 그 자리에서 신 감독을 만나게 된다. 신 감독은 고인이 납북된 그해 7월 사라진 최은희를 찾으러 홍콩에 갔다가 북한으로 끌려갔다. 두 사람은 김정일의 전폭적인 지원 아래 ‘돌아오지 않는 밀사’, ‘탈출기’, ‘사랑 사랑 내사랑’ 등 17편의 영화를 제작하며 옛 전성기 때를 재연했다. 고인은 북한에서 만든 ‘소금’으로 모스크바 영화제 여우주연상을 받기도 했다. 두 사람은 이후 영화 ‘춘향전’에 쓸 부속품을 구하려 헝가리 부다페스트에 갔다가 그곳 성당에서 다시 결혼식을 올렸다.

이들은 북한에서 작품 활동을 하다 1986년 베를린영화제 참석 뒤 오스트리아 빈에서 미국 대사관에 진입해 극적으로 망명에 성공했다. 이후 미국에서 체류하다 1989년 귀국했다. 11년 만이었다. 고인은 ‘최은희의 고백’의 서문에서 “500년을 산 것처럼 길고 모진 시절이었다”고 회고했다.

고인은 1984년 ‘돌아오지 않은 밀사’로 체코국제영화제 특별감독상을, 1985년 ‘소금’으로는 모스크바국제영화제 여우주연상을 받았다. 대한민국영화제 특별공로상(2006년), 한민족문화예술대상(2008년), 대한민국 무궁화대상(2009년), 대종상 영화공로상(2010년) 등을 수상했다. 유족으로는 아들 정균 상균 씨와 딸 명희 승리 씨가 있다. 빈소는 서울성모병원. 발인은 19일 오전 8시. 02-2258-5940

조윤경 yunique@donga.com·장선희 기자


#최은희#사랑방 손님과 어머니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