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황시원]코레일-SR 통합 논의에 국민 안전이 최우선

  • 동아일보
  • 입력 2018년 6월 12일 03시 00분


코멘트
황시원 한국뉴욕주립대 석좌교수
황시원 한국뉴욕주립대 석좌교수
1991년 5월 14일 오전 일본 교토역을 출발해 시가라키역으로 가던 JR서일본철도의 임시열차는 시가라키 마을에서 열린 도자기축제를 구경하러 가던 승객들로 붐볐다.

같은 시각 이 지역의 또 다른 철도회사인 시가라키코겐철도 소속의 통근열차는 잠시 후 벌어질 끔찍한 사고를 모른 채 시가라키역 부근을 지나고 있었다. 그렇게 한 개 노선에 2개의 철도회사의 열차가 동시에 운행하던 중 불행한 사고는 일어났다. JR 임시열차와 시가라키코겐철도 통근열차가 정면으로 충돌한 것. 승객 가운데 42명이 목숨을 잃고 600명 넘게 부상했다.

사고는 이 구간의 신호기가 고장 나 JR서일본철도에서 신호 시스템을 수신호 방식으로 전환하는 조치를 취했으나 같은 시간에 직통 운행을 하려던 시가라키코겐철도에는 연락을 취하지 않아서 발생했다. 단선 구간에 두 개의 열차가 모두 출발한 것이다.

‘철도의 나라’로 불릴 만큼 철도가 발달한 일본에서 이 사고의 파장은 작지 않았다. 더욱이 안전 제일주의를 표방한 일본의 철도업계에는 충격 그 자체였다. 사고 이후 운영 시스템에 대한 꼼꼼한 재검토가 뒤따랐다.

결국 복수의 철도회사가 같은 선로를 운행하던 방식에 큰 변화가 생겼다. ‘열차 직결운행(Through-Train Service·각 철도회사 소유 노선이 연속될 경우 승객이 환승 없이 계속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 시 ‘기관사 교체방식’이 안전정책으로 자리 잡게 됐다. 이는 일본 철도 운영의 특성이라 할 수 있는데 경계역에서 해당 노선 운영회사 기관사가 교체돼 ‘하나의 노선에는 하나의 철도회사만 운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흔히 일본 철도를 소개할 때, 과거 국철이 6개의 여객회사로 나뉘며 복수의 철도회사가 ‘경쟁’하는 것으로 표현할 때가 있는데 이것은 잘못된 것이다. 일본 철도는 기본적으로 전국을 6개 지역으로 나눠 각 여객회사가 지역별로 열차 운행 전반을 관장하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동일 노선에서 다른 여객회사와 서로 경합하며 운행하는 시스템이 아닌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코레일과 수서발 고속철도 SR 등 두 철도회사의 통합 여부에 대해 많은 논란이 있다. 영업 거리로 봐도 철도 길이가 4000km 남짓으로 JR동일본보다 짧은 구간에서 두 회사가 정비, 운영 소프트웨어도 공동 사용 중인 경우는 특이한 시스템이다.

통합되었을 때 서비스나 요금 등의 혜택이 어떻게 개선되는지도 중요한 요소지만 가장 중요하고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부분은 국민 안전이다. KTX와 SRT는 천안아산역에서 부산역까지 동일한 선로를 이용하기 때문에 최근 부산역을 출발한 SRT 열차가 고장으로 멈춰 섰을 때 금요일 오후 승객들이 매우 혼란을 빚은 적이 있다. 비록 인명이나 재산상 큰 피해가 발생한 사고는 아니었지만, SRT 고장으로 후발 KTX까지 줄줄이 지연되는 현상이 벌어졌다.

일본 철도는 42명이 사망하는 큰 사고가 발생한 이후에 정책을 바꿨다. 그러나 사고는 아주 작은 확률이라도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미리 예방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일본 철도 사고의 교훈을 통해 코레일과 SR 통합 논의에서도 안전에 보다 더 중점을 두는 방향으로 결론이 도출되기를 기대한다.

황시원 한국뉴욕주립대 석좌교수
#코레일#sr#철도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