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낯설지 않은 日발뺌’ 초계기 공방 2R…韓 ‘영상 공개’ 맞대응

  • 뉴스1
  • 입력 2019년 1월 24일 13시 04분


코멘트

日 “‘자위대기 위협비행’ 韓 발표 사실 아니다” 부인
뾰족한 해법 보이지 않아…전문가 “美 협의 필요”

© News1
© News1
일본 해상초계기 P-3가 또 다시 우리 해군 함정에 60m 고도까지 근접위협비행을 한 가운데 군 당국은 24일 해당 사실을 부인하는 일본의 주장을 반박할 영상 공개를 하며 적극 대응할 것으로 보인다.

군 관계자는 이날 “대조영함의 IR(적외선) 카메라와 캠코더에 당시 전체적인 상황이 녹화돼 있다”며 “일본 주장을 반박할 수 있는 영상을 일부 편집해 오늘 중 공개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국방부에 따르면 일본 초계기는 전날 오후 2시3분쯤 서남해 이어도 인근에서 임무를 수행 중인 우리 해군의 다목적 구축함인 대조영함(4500t급)에 대해 거리 약 540m, 고도 약 60~70m로 근접비행했다.

서욱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이 23일 서울 용산구 국방부 브리핑룸에서 일본 해상 초계기 근접비행과 관련한 입장을 발표한 뒤 퇴장하고 있다. © News1
서욱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이 23일 서울 용산구 국방부 브리핑룸에서 일본 해상 초계기 근접비행과 관련한 입장을 발표한 뒤 퇴장하고 있다. © News1
국방부는 이번 P-3 초계기가 12월20일 P-1 초계기 비행 당시처럼 Δ함선으로 향하는 비행 Δ공격모의 비행 Δ함선 선수쪽으로 횡단하는 비행 등 3가지를 해 저공 근접위협비행이라고 봤다.

그러나 일본은 우리 측 발표에 대해 “사실이 아니다”라고 발뺌했다. NHK에 따르면 방위성 당국자는 한국 국방부의 해당 발표에 대한 확인 요청에 “자위대 초계기는 보통의 경계·감시활동을 하고 있었다는 보고를 받았다”고 말했다.

다른 방위성 당국자도 “현장에선 평소보다 한층 더 주의해서 활동을 하고 있다. 저공 위협비행은 있을 수 없다”며 “한국 측에서 사실관계를 왜곡해 트집을 잡고 있는 것 같다”며 유감을 표했다.

일본의 이런 ‘발뺌’은 낯설지 않다. 불과 한 달 전 P-1 초계기가 동해상에서 작전 수행 중이던 광개토대왕함에 근접 비행을 했을 때도 해당 사실을 부인하며 오히려 우리 함정이 P-1 초계기를 겨냥해 사격통제용 추적레이더(STIR)를 가동했다며 사과와 재발 방지를 요구하고 나섰다.

이후 일본 측이 한국과의 협의 중단을 선언하면서 양국 간 실무급 회의는 더 이상 열리지 않을 가능성이 커졌고 이로 인해 당사국들끼리 문제 해결은 사실상 불가능해진 상황이다.

일본은 이번에도 자신들의 입장을 굽히지 않는 ‘치킨게임’을 이어가려 할 공산이 크다.

앞서 우리 해군의 레이더 문제를 제기하면서 여론을 결집시킨 일본은 이 문제에 대해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은 채 일정 기간 냉각기를 갖고 마무리를 지으려 할 것으로 보인다. 일종의 ‘치고 빠지기’ 전략이다.

이에 우리 군은 전날 상황 이후 영상을 어떤 범위에서 언제, 얼마나 공개할지 등을 놓고 내부적으로 논의하고 있다. 대조영함에는 적외선·광학 카메라 등 영상 촬영장비뿐만 아니라 3차원 해상감시레이더(MW08)도 탑재돼 있다.

© News1
© News1
군 당국은 P-1 초계기 저공비행 당시만 해도 이 일이 외교갈등까지 번질 것을 우려해 적극적인 대응을 다소 자제하는 모습을 보여왔지만 일본의 도발이 심각한 수준에 이른 것으로 보고 영상을 공개하는 등 적극적인 태도를 취한 것으로 판단된다.

영상을 통해 일본이 위협적인 비행을 펼친 사실이 확인되면 국제적으로 일본의 잘못된 행동이 알려지고 추가 유사 사례를 막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선 일본의 재도발을 막기 위해 미국의 중재 도움을 받아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우리가 일본에 직접적인 자위권 조치를 하는 것이 사실상 어려운 상황에서 우방국인 미국에 이 일을 알리면서 일본을 자제시켜야 한다는 주장이다.

문근식 한국국방안보포럼 대외협력국장은 “미국도 한일관계를 굉장히 신경쓰고 있는 상황”이라며 “주한미군측에 이번 일을 상세히 설명하며 국제적으로 여론을 환기시키고 일본을 자제시키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조언했다.

일본을 향한 맞대응으로 양국 간 감정싸움으로 갈 것이 아니라 국제사회에서 한일 간 힘의 균형을 생각해 균형감각을 갖고 전략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의미다.

한편에선 한일 군 당국 간 합의가 어려워진 상황에서 양국 외교라인들이 나서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