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룸/박선희]성지가 되는 예술작품들

  • 동아일보
  • 입력 2018년 8월 22일 03시 00분


코멘트
박선희 문화부 기자
박선희 문화부 기자
사회적 파장을 불러일으키는 일이나 유명인의 열애설이 터질 때마다 회자되는 것 중 하나가 ‘성지글’이다. 사건이 세상에 알려지기 전, 현 상황을 정확히 예견했던 글이 뒤늦게 관심을 받는 것을 뜻한다. 게시될 당시만 해도 신빙성을 의심받던 글들은 그제야 누리꾼들의 ‘성지순례’ 행렬을 불러일으킨다.

예술 작품도 이런 역할을 하는 경우가 드물지 않다. 메르스가 터지기 2년 전인 2013년 개봉했던 영화 ‘감기’는 감염자 확산, 정부의 안일한 대처와 맞물리며 메르스로 인한 혼란을 예고했다는 평을 받았다. 인수공통전염병이 확산되며 무정부 상태로 전락한 도시를 그려낸 정유정 작가의 베스트셀러 ‘28’ 역시 같은 시기에 출간됐다. 간호사 출신 작가의 꼼꼼한 취재 끝에 나온 상상력이었겠지만, 당시 사람들이 느꼈던 무질서와 공포감을 실감나게 예견했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당시에도 여러 창작물이 화제가 됐다. 영화 ‘내부자들’(2015년) ‘아수라’(2016년)에 묘사된 거대 권력과 기업의 유착, 은밀한 뒷거래는 개봉 당시만 해도 영화적 과장법 정도로 치부됐다. 하지만 실제로는 현실이 더 영화 같다는 충격을 줬다. 드라마 ‘밀회’(2014년)도 빼놓을 수 없다. 실력이 부족한데도 어머니의 영향력으로 명문대에 들어가 학점 특혜를 받는 극 중 여학생은 몇 년 뒤 폭로된 정유라의 이화여대 부정입학 사건과 놀랍게 일치해 재조명됐다.

작가들의 이런 예측 신공은 올해도 예외가 아니다. 얼마 전 국민연금 개편 자문안이 공개되자 여론이 그야말로 들끓었다. 뜨끔한 정부가 확정안이 아니라고 진화에 나섰을 만큼, 기금 고갈을 막기 위해 지급 시기를 68세로 상향 조정하는 안에 대한 거부감은 거셌다. 온라인에는 ‘아예 사망 이후 지급하라’거나 ‘차라리 100세까지 살면 몇 억 준다고 해라’는 등의 조롱이 넘쳤다.

이런 반응은 현재 상황을 미리 예견한 듯한 소설을 떠올리게 했다. 올해 5월 출간된 박형서 작가의 장편 ‘당신의 노후’다. 이 소설은 국민연금공단이 기금 고갈을 막기 위해 비밀 조직을 꾸리고 연금 수령 대상자들을 암살하는 가까운 미래를 다룬다. 공단에 낸 금액보다 많은 돈을 수급하는 노인들을 ‘적색리스트’로 분류해 암살하고 사고사로 위장하는 것이다. 출간 때만 해도 ‘황당하지만 재미있는 상상력’ 정도의 평이 나왔지만 이제 와 보니 마치 국민연금에 대한 현재의 불신을 정확히 반영해 쓴 것 같다. 아니나 다를까 “소설이지만 소설 같지 않다”는 독자평이 나온다.

신기나 예지력이 아니더라도 통찰력에 기반한 작가들의 상상력은 실제 일어날 일을 흡사하게 맞힌다. 예술은 아직 뉴스로 다뤄지진 않지만 언제든 폭발 가능한 모순과 부조리에 주목하기 때문일 것이다. 국민연금 문제도 그렇다. 기금 고갈이 당면한 현실이라는데 국가는 땜질식 처방만 한다. 최악의 경우 무슨 일인들 일어나지 않으리란 보장이 있을까. 설마 국가가 ‘암살TF’(?)를 조직하는 일이야 일어나지 않겠지만, 이런 발칙한 상상까지도 가능케 하는 국민의 불안감에 당국자들은 좀 더 면밀한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 같다.
 
박선희 문화부 기자 teller@donga.com
#내부자들#탄핵#당신의 노후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