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가 왜 간호사를 해?”… 억장 무너집니다

  • 동아일보
  • 입력 2018년 8월 21일 03시 00분


코멘트

[새로 쓰는 우리 예절 新禮記(예기)]<26> 직업에도 남녀유별, 이젠 그만


■ 적성 등 고려해 어렵게 선택한 직업… 색안경 대신 응원을


“아이고, 남자가 간호사셔? 어쩌다 간호사가 되셨어? 난 당연히 의사일 줄 알았지.”

오늘도 제게 증상을 설명하시던 한 환자분께서 실망한 듯 이렇게 말씀하시네요. 네, 이제 익숙해요. 저는 일주일에도 몇 번씩 이런 말을 듣는 ‘남자 간호사’입니다.

처음 간호대 입시를 준비한다고 했을 때부터 부모님께서 그러셨죠. “간호대를 간다고? 남자가 의사를 해야지 어떻게 간호사를 하냐?” 친구들 중에는 “여자 만나려고 간호대 가는 거 아니냐”며 놀리는 친구도 있었고요. 심지어 제가 지원한 한 간호대 면접에서조차 교수님이 그러시더라고요. “남자가 일반적인 회사를 두고 왜 간호사가 되려고 하죠?”

전 제 적성과 직업의 전문성을 고려해 간호사란 직업을 택했을 뿐이에요. 남을 도울 수 있는 일인 게 좋았고, 고령화 시대에 맞는 전도유망한 직업이라고 생각했죠. 외국에는 남자 간호사도 많잖아요. 무거운 환자를 부축하거나 의료장비를 옮기고 발버둥치는 환자를 제압할 때는 확실히 남자의 힘이 필요하죠. 그런데 아직도 ‘남자가 오죽 못났으면’ 하고 색안경을 끼는 분이 많아 씁쓸해요. 저를 ‘남자’ 간호사가 아닌 그냥 간호사로 봐주실 순 없는 걸까요.


■ 男요리사, 女전투기 조종사… 男女직업 따로없죠


각 소방서에서 체력과 구조능력이 뛰어난 소방관들만 출전하는 ‘최강 소방관 뽑기 대회’. 6월 열린 올해 대회에는 특별한 참가자가 출전했다. 경기 송탄소방서 김현아 소방교(30·여)다.

무게가 70kg인 마네킹을 옮기고 11층을 뛰어 올라가야 하는 등 험난한 경기 방식 때문에 최강 소방관 대회는 그간 남자 소방관들만 출전해 왔다. 첫 여성 참가자인 김 소방교는 “키가 177cm로 어릴 때부터 체격과 체력이라면 남자에게 뒤지지 않았다. 11층에서 구조를 애타게 기다리는 사람이 있다고 생각하면서 남자들과 똑같이 열심히 뛰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출전 뒤 생각지 못한 주변 반응 때문에 마음의 상처를 입었다. 대부분 응원을 보냈지만 어떤 사람들은 “여자가 억세다”, “별스럽다”는 반응을 보였다. 성적이 하위권이었다는 기사에는 ‘역시 그렇지’, ‘우리 집 불나면 여자 소방관은 오지 마라’란 댓글도 달렸다. 김 소방교는 “급박한 현장에서는 남녀노소가 따로 없고 현장에 따라 여자 소방관이 더 필요한 순간도 있는데 ‘여자가 어울리지 않는 일을 한다’는 식의 부정적 반응에 속상했다”고 말했다.

남자 요리사, 여자 전투기 조종사 등 성 고정 관념을 깬 직업인들이 많아졌다고 하지만 여전히 우리 사회는 특정 직업들에 편향된 시선을 가지고 있다. 이는 청소년들의 꿈에도 영향을 준다. 최근 교육부가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 희망을 조사한 결과 남학생이 원하는 직업 1∼3위는 교사, 기계공학자 및 연구원, 군인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여학생은 교사, 간호사, 승무원 순이었다.

여러 세대에 거쳐 이런 인식이 만연하다 보니 ‘독특한’ 직업을 선택한 이들은 성차별적인 언행을 접하기 일쑤다. 서울의 한 어린이집에서 일하는 남자 교사 이현직 씨(26)는 언젠가부터 처음 만난 사람들에게 자신의 직업을 이야기하지 않는다고 했다. 이 씨는 “대학에서 유아교육과를 들어갔다고 하자 친척들조차 ‘남자답지 못하다’며 웃음거리로 삼았다. 교사가 된 뒤에도 불편한 시선은 떠나지 않았다. 최근에는 한 여자아이의 부모로부터 “선생님이 아이 엉덩이를 닦는 게 불쾌하다”는 취지의 항의 전화를 받았다. 이 씨는 “여교사가 남자아이의 대소변을 닦는 것은 아무 문제가 없는데 나는 교사에 앞서 남자로 보는 것 같다”고 토로했다.

지방에서 아이돌보미로 활동하는 공영철 씨(56)도 여성가족부 건강가정지원센터가 제공하는 이수 교육을 받으러 갔다가 “남자가 왜 여기 있느냐”며 숙덕대는 중년 여성들 틈바구니에서 껄끄러운 열흘을 보내야 했다.

이현혜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 교수는 “성에 관한 고정관념은 한번 형성되면 고치기 어렵기 때문에 어릴 때부터 올바르게 교육하는 게 중요하다”며 “아이들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대중매체와 보호자”라고 강조했다.

실제 대중매체에서는 여전히 직업에 대한 성차별을 쉽게 찾을 수 있다. 지난해 9월 진흥원이 일주일간 6개 방송사의 시청률 상위 드라마 22편을 분석한 결과 회사 임원이나 중간관리자 역할은 대부분 남자(73%)였고, 변호사 의사 등 전문 직업군 또한 여성보다 남성이 많았다. 반대로 요리연구가 백종원 씨가 진행하는 ‘집밥 백선생’ 같은 프로그램은 ‘셰프(전문 요리사)’뿐 아니라 집밥을 만드는 사람도 남자일 수 있다는 인식을 퍼뜨리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 교수는 “대중매체에서 성평등 인식을 계속 개선해 나가면서 동시에 부모들에 대한 교육도 확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동안 성평등 교육은 아이들을 중심으로 이뤄져 왔는데, 아이들 스스로 인식을 바꾸는 게 아니라 아이들이 접하는 환경이 바뀌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교수는 “영국 등 선진국에서는 이미 부모 교육에 더 가중치를 두고 있다”며 “우리도 학교나 직장, 지방자치단체에서 성인들이 성평등 교육과 시민 교육을 접할 기회를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이미지 기자 image@donga.com


○ 당신이 제안하는 이 시대의 ‘신예기’는 무엇인가요. ‘newmanner@donga.com’이나 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이 느낀 불합리한 예법을 제보해 주세요. 카카오톡에서는 상단의 돋보기 표시를 클릭한 뒤 ‘동아일보’를 검색, 친구 추가하면 일대일 채팅창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직업#남녀유별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