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설수설/최영훈]남극, 도전의 30년-약속의 30년

  • 동아일보
  • 입력 2018년 1월 17일 03시 00분


코멘트
쇄빙선 아라온호는 남극 연구에 한 획을 그었다. 1m 두께 얼음을 깨고 시속 30km로 항해하며 연구를 수행한다. 2003년 당시 노무현 대통령 지시로 1080억 원을 투입해 만들었다. 남극의 세종과학기지에서 귀국하는 대원을 칠레에 내려주고 돌아오던 고무보트가 뒤집혔다. 비보를 듣고 구조에 나선 보트마저 전복해 27세 전재규 대원이 목숨을 잃었다. 한 젊음의 안타까운 희생이 쇄빙선 탄생의 계기였다.

▷우리나라는 1988년 세종기지에 이어 4년 전 장보고기지도 세웠다. 막차로 남극조약에 가입했지만 2개 이상 기지를 보유한 10번째 국가다. 아시아에선 우리나라와 일본 중국 인도만 기지를 운영한다. 정부는 장보고기지 부근 암반에 활주로를 만들 계획을 검토했다. ‘세계 10강 남극국가’로서 열강과 어깨를 겨루려면 꼭 필요하다는 극지연구소 건의에 따른 것이다. 그러나 2016년 관리비용을 이유로 포기했다.

▷이동화 남경엔지니어링토건 대표는 1985년 남극탐험대 일원으로 남극을 밟았다. 이후 세종기지 건설 때 안전담당관을, 4년 전 장보고기지 건설 선발단장도 맡은 바 있다. 회사 이름을 ‘남경(南京·남극의 수도)’으로 지을 만큼 남극 사랑이 각별하다. 포기한 활주로 건설에는 500억 원가량 들고 격납고만 추가로 만들면 공항으로 쓸 수 있다. 뉴질랜드에서 남극까지 비행기로 6시간, 쇄빙선으로 9일(연료비 약 4억5000만 원) 걸린다. 연구도 연 70일에서 120일간으로 길게 할 수 있게 된다. 이 대표는 “자원의 보고인 남극 투자는 후세와 미래를 위한 것”이라며 안타까워했다.

▷남극조약에 따라 2048년까지는 누구도 남극 영유권을 주장할 수 없다. 더 많은 인프라를 건설하고 연구 성과를 올린 나라가 연고권을 주장하며 목소리를 높일 수 있다. 전(前) 30년같이 후(後) 30년에도 과감하게 남극 투자에 나서야 한다. 미국 러시아 일본 등 선진국들은 남극 투자에 돈을 아끼지 않고 열을 올리고 있다. 남극 투자에 인색한 근시안 행정으로는 미래가 캄캄하다.
 
최영훈 논설위원 tao4@donga.com
#남극#쇄빙선 아라온호#장보고기지#세종기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