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글맘 녹넌의 쌀국수 가게에 ‘희망’이 우러납니다

  • 동아일보
  • 입력 2017년 6월 24일 03시 00분


코멘트

[오늘은 ‘임팩트 저널리즘 데이(IJD)’]본보가 전한 국제결혼의 그늘과 해법
다문화 싱글맘 재기 돕는 퓨전식당 ‘오요리’

서울 동작구 베트남 음식점 ‘아시안보울’의 창업자 보티녹넌 씨(37·왼쪽)가 종업원 밤티퇀 씨(26)에게 갓 끓여낸 쌀국수를 건네고 있다. 녹넌 씨는 한국으로 시집왔다가 싱글맘이 된 뒤 사회적 기업 오요리아시아의 도움으로 자립 훈련을 받고 지난해 가게를 열었다. 안철민 기자 acm08@donga.com
서울 동작구 베트남 음식점 ‘아시안보울’의 창업자 보티녹넌 씨(37·왼쪽)가 종업원 밤티퇀 씨(26)에게 갓 끓여낸 쌀국수를 건네고 있다. 녹넌 씨는 한국으로 시집왔다가 싱글맘이 된 뒤 사회적 기업 오요리아시아의 도움으로 자립 훈련을 받고 지난해 가게를 열었다. 안철민 기자 acm08@donga.com
‘150cm 남짓한 작은 키, 짧은 파마머리….’

베트남에서 11년 전 한국으로 시집 온 보티녹넌(37)은 영락없는 한국 아줌마다. 낮 기온이 30도를 웃돌았던 지난 주말 서울 동작구 상도동의 베트남 음식점 ‘아시안보울’에서 만난 그는 2평 남짓한 주방에서 12시간째 고기국물을 우려내고 있었다. 허름한 상가 2층에 자리 잡은 이 가게가 그녀의 유일한 수입 창구다.

그녀에겐 ‘다문화 싱글맘’이라는 슬픈 꼬리표가 붙어 있다. 한국 사회는 20년 전 농촌 총각들의 결혼 문제를 해결한다며 국제결혼으로 눈을 돌렸다. 노총각들의 배필이 된 건 녹넌처럼 가난한 국가에서 온 처녀들이었다. 하지만 이 중 일부는 다양한 이유로 파경을 맞고 다시 가난의 늪에 빠졌다.

연고도 없는 땅에서 경제적 고립에 빠진 다문화 싱글맘들은 오늘날 우리 사회가 품어야 할 사회적 약자다. 동아일보는 전 세계 50여 개 언론사가 한날 동시에 각국의 사회문제와 그 해결책을 보도하는 임팩트 저널리즘 데이(IJD·Impact Journalism Day)를 맞아 이들의 자립을 돕는 사회적 기업 ‘오요리아시아’와 오요리의 도움을 받아 자립 희망을 불태우는 다문화 싱글맘들의 이야기를 소개한다.

○ 빛이 끊겨버린 삶

“시집가기 싫어. 절대로 안 가.”

26세가 될 때까지 녹넌은 결혼 생각이 없었다. 꿈이 있다면 동네에서 식당을 차려 가족들과 행복하게 사는 것뿐. 손이 야무지기로 유명했던 그는 식당에서 일하며 가장 노릇을 했다. 그러던 어느 날 할머니는 ‘한국가면 잘 살게 된다’는 이야기를 듣고 그녀를 한국에 시집보냈다. 2006년 한국에 시집온 녹넌은 아이를 낳고 평범한 가정을 꾸렸다. 하지만 서로 다른 생활방식으로 인해 결국 4년 만에 결혼생활에 종지부를 찍었다.

경기 안산의 공장지대를 전전하던 그녀는 2012년 권오희 수녀(결혼이민가족지원연대 대표)의 소개로 사회적 기업 오요리를 만난다. 8주간 인턴십, 이후 4년간 식당 종업원 일을 하며 수석 셰프에게 가르침을 받았다. 서툰 한국말 탓에 조리사 시험을 19번이나 탈락했지만 결국 2012년 한식 조리사 자격증을 손에 쥐었다. 컴컴했던 인생에 한 줄기 빛이 찾아온 것이다.

○ 요리로 꿈꾸다

이지혜 ‘오요리’ 대표
이지혜 ‘오요리’ 대표
녹넌의 자립을 도운 오요리의 역사는 2008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설립자 이지혜 씨(42)는 정보기술(IT) 회사에서 잘나가는 마케팅 담당자였다. 하지만 여성을 상품화한 선정적인 콘텐츠로 돈을 버는 업계 생태계에 환멸을 느꼈다.

‘언제까지 여성을 상품처럼 파는 곳에서 일해야 하나?’

그때 눈에 띈 게 다문화 싱글맘이었다. 여성, 외국인, 이혼녀…. 하나만으로도 버거운 ‘약자 수식어’를 2중, 3중으로 안고 살아가는 그녀들의 자립을 돕고 싶었다. 이 대표는 “음식 만들기엔 자신 없었지만, 취약 계층에게 문턱이 낮은 ‘푸드 비즈니스’를 선택했다”고 말했다.

사회적 기업 오요리를 설립한 그는 서울 마포구 상수동에 아시안 퓨전 식당을 차렸다. 셰프를 고용해 음식을 팔고, 그 수익금으로 이주여성들을 가르쳤다. 지금은 북촌에서 스페인 요리 레스토랑 ‘페레노’를 운영하며 이윤의 일부로 다문화 싱글맘들을 지원하고 있다.

총 8주 동안 조리, 서빙, 매장 관리법을 전수하는 인턴십 프로그램이 대표적이다. 중간 이탈자도 많았지만 녹넌처럼 악착같이 매달린 이들도 있었다. 그들의 목표는 단 하나. 홀로 자식을 먹여 살릴 만큼 자립하는 것이다.

“이제 창업할 때 되지 않았어요?”

지난해 이 대표는 녹넌의 마음을 두드렸다. 그동안 자신의 가게를 갖고 싶다고 말해 왔지만 막상 도전하려니 두려움이 앞섰다. 빈곤층에 사업자금 2000만 원을 빌려주는 공모에도 떨어졌다. 희망이 꺼질 때쯤 후원금이 들어왔다. 마음 같아선 유동인구가 많은 노량진에 가게를 얻고 싶었지만, 권리금만 1억 원이 넘었다. 결국 장승배기역 인근 낡은 건물 2층에 보증금 2000만 원, 월세 80만 원짜리 작은 가게를 차렸다.

녹넌의 가게엔 또 다른 베트남 여성이 있다. 종업원으로 일하는 싱글맘 밤티퇀(26)이다. 퇀은 19세에 한국에 시집 왔다가 갓난아이를 안고 이혼했다. 두 사람은 서로를 ‘○○(아이 이름) 엄마’라고 부른다. 하루에 쌀국수 80그릇을 팔아야 남는 장사지만, 이제 6개월 된 이 가게엔 하루에 50명 정도가 찾아온다. 부족분은 인건비를 줄여가며 버티고 있다. 아직 갈 길이 멀지만, 이들은 “스스로 돈을 벌 수 있어 행복하다”고 말했다.

○ 현지에서 행복을 찾다

네팔의 수도 카트만두에 자리잡은 카페 미티니(Cafe Mitini). 현지 여성들이 만든 커피를 판매하는 이곳은 오요리가 네팔 여성들의 직업훈련을 위해 해외에 세운 또 다른 꿈의 공간이다. 한국 내 다문화 이주여성들을 돕던 오요리는 왜 네팔까지 건너갔을까.

“현지에서 자립한다면 위험을 감수하면서까지 생면부지의 남성을 만나러 한국에 올 필요가 있을까요?”

이 대표는 현재 한국에서 벌어지는 국제결혼과 이혼 문제의 근본 원인이 가난과 연결돼 있다고 믿는다. 근본적으로 국제결혼의 부작용을 해결하려면 현지 여성들을 옥죄고 있는 ‘빈곤의 사슬’을 끊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바리스타 교육은 네팔 빈곤층 여성들에게 생존 기술을 알려주는 도구다. 오요리는 인턴십을 거친 네팔 여성들이 창업할 때 부지 선정 및 사업계획서 작성까지 돕는다. 그 노력의 결실을 거둘 시기가 눈앞으로 다가왔다. 1기 훈련생이자 4년간 카페 미티니에서 일했던 다와 다부티 셰르파가 창업의 꿈을 이루게 된 것이다. 7월이면 카트만두 현지에선 그녀의 땀이 서린 ‘카페 미티니 2호점’을 볼 수 있을 것이다.

김수연 기자 sykim@donga.com
#ijd#impact journalism day#다문화 싱글맘#오요리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