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가 박완서의 작품세계

  • 동아일보
  • 입력 2011년 1월 22일 12시 35분


코멘트
“글 쓰는 일은 어려울 때마다 엄습하는 자폐의 유혹으로부터 나를 구하고, 내가 사는 세상에 대한 관심과 애정을 지속시켜 주었다.” 생전의 박완서 씨는 글쓰기가 자신의 인생을 지속시키는 힘이 되었다고 밝혔다. 팔순을 앞뒀던 지난해에는 “아직도 글을 쓸 수 있는 기력이 남아 있어서 행복하다”면서 산문집 ‘못 가본 길이 더 아름답다’를 펴냈다.

1931년 개성의 외곽 지역인 경기 개풍에서 태어난 고인은 1950년 한국전쟁이 발발 당시 서울대 국문과를 중퇴했다. “그해의 나이인 스무 살에 영혼의 성장이 멈췄다”는 그는 1·4후퇴 당시의 혹독한 추위를 잊을 수 없다면서 같은 민족이 서로 총을 겨눠야 했던 비극의 무자비함을 성토하곤 했다.

그의 등단은 두고두고 화제였다. 1970년 여성동아 장편소설 현상공모에 ‘나목(裸木)’이 당선되었을 때 그는 다섯 아이를 둔 40세의 전업주부였다. 미군 초상화부에서 함께 근무했던 박수근 화백에 대한 추억을 바탕으로 쓴 이 소설은 지금까지도 독자의 사랑을 받는 스테디셀러가 됐다.

박완서 씨의 작품세계는 전쟁의 상처와 가족의 문제, 소시민 의식 등 다양한 주제를 아우른다. 전쟁을 겪으면서 글로 그 시대를 증언하겠다는 생각이 작가의 길로 이끌었다고 고백한 그는 평생 시대의 아픔과 서민들의 삶의 애환을 그렸다. 사람과 자연에 대한 한없는 사랑을 드러내며, 때로는 자본주의가 만든 황폐한 인간성을 통렬히 비판했다. 특히 ‘그 가을의 사흘 동안’ ‘서 있는 여자’ ‘그대 아직도 꿈꾸고 있는가’ 등의 작품에서 남성중심주의에 도전하고 저항하는 여성의 모습을 그림으로써 여성 문제에 민감한 관심을 보였다. 평론가 황도경 씨는 “전쟁과 분단으로 인해 일그러진 개개인들의 삶의 초상, 도시문명 사회의 불모성과 그 안에서의 허위적이고 물신주의적인 삶의 양태, 권태롭고 무기력한 소시민의 일상, 억눌린 여성 현실, 죽음과의 대면과 극복 등 그녀의 문학이 담아낸 세계는 실로 놀랄 만큼 다양하다”고 평했다. 언어의 조탁도 탁월해서 ‘엄마의 말뚝2’가 이상문학상을 받았을 당시 심사위원들로부터 ‘유려한 문체와 빈틈없는 언어 구사는 가히 천의무봉’이라는 평을 받았을 정도였다.

등단은 늦었지만 작품 활동은 왕성했다. ‘휘청거리는 오후’ ‘서 있는 여자’ ‘그해 겨울은 따뜻했네’ ‘그대 아직도 꿈꾸고 있는가’ ‘미망’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 ‘아주 오래된 농담’ ‘그 남자네 집’ 등의 장편을 냈으며, 소설집 ‘엄마의 말뚝’ ‘꽃을 찾아서’ ‘저문 날의 삽화’ ‘너무도 쓸쓸한 당신’ ‘친절한 복희씨’ 등을 펴냈다. 이밖에 ‘나 어릴 적에’ ‘이 세상에 태어나길 참 잘했다’ ‘부숭이의 땅힘’ ‘보시니 참 좋았다’ 등의 동화집을 발표하기도 했다. 그의 작품들은 다양한 독자들의 폭넓은 사랑을 받았으며 여러 편이 TV드라마로 옮겨졌다.

따뜻한 시선으로 세상을 감싸는 산문집도 여러 권 출간했다. 남편과 외아들을 먼저 보낸 슬픔을 담은 ‘한말씀만 하소서’ ‘어른노릇 사람노릇’ 뿐 아니라 ‘세 가지 소원’ ‘꼴찌에게 보내는 갈채’ ‘여자와 남자가 있는 풍경’ ‘살아 있는 날의 소망’ ‘나는 왜 작은 일에만 분개하는가’ ‘두부’ ‘호미’ 등이 있으며 지난해 7월 ‘못 가본 길이 더 아름답다’를 펴냈다.

김지영 kimjy@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