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학]“과학은 미래를 보여주는 문화” 세계 석학 44인의 즐거운 수다

  • Array
  • 입력 2012년 12월 8일 03시 00분


코멘트

◇사이언스 이즈 컬처
에드워드 윌슨, 스티븐 핑커 외 지음·애덤 블라이 기획/432쪽·1만8000원·동아시아

“안드로이드(인간의 모습을 한 로봇)도 꿈을 꾸나요?” “전기로 움직이는 양의 꿈을 꾸죠.” 이론우주학자인 재나 레빈과 소설가 
조너선 레덤은 공상과학소설(SF)에 담긴 진실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다. 배경은 ‘사이언스 이즈 컬처’에서 과학과 인문학을 넘나들며
 대화를 나눈 학자와 예술가들. 동아시아 제공
“안드로이드(인간의 모습을 한 로봇)도 꿈을 꾸나요?” “전기로 움직이는 양의 꿈을 꾸죠.” 이론우주학자인 재나 레빈과 소설가 조너선 레덤은 공상과학소설(SF)에 담긴 진실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다. 배경은 ‘사이언스 이즈 컬처’에서 과학과 인문학을 넘나들며 대화를 나눈 학자와 예술가들. 동아시아 제공
얼마 전 공대생들에게 융합적 상상력에 대해 강연을 하고 나서 난처한 질문을 받았다. “이런 쪽 공부를 해보고 싶은데 어떤 책을 읽으면 되나요?” 이런 상황은 상당히 곤혹스럽다. 초보자의 지적 지평을 넓혀 주는 좋은 책을 찾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다양한 지식의 구석구석을 탐색하는 책은 많다. 그러나 대부분 도발적 내용 덕분에 재미있게 읽히기는 하지만(예를 들어, 원시인의 마음으로 현대를 살아가는 인류!) 지나치게 단순화한 주장을 담고 있어 권하기에 위험한 책이다. 이런 책을 추천했다가는 기타 연주하는 법을 책으로 독파하려다 슬픈 경험을 한 영화 ‘7급 공무원’의 주인공을 양산할 가능성이 높다. 반면 학술적으로 정밀한 책은 초심자가 읽기에 어렵기도 하거니와 분과학문을 넘어서는 전체적인 조망을 보여주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여기 반가운 책이 나왔다. ‘사이언스 이즈 컬처’는 인류가 이룩한 다양한 성취의 분야에서 세계 최고 고수 44인의 이야기를 모아놓은 책이다. 이들을 묶는 주제는 첨단 과학 연구의 문화적 함의이다. 문화를 공기처럼 우리 모두를 감싸며 우리 삶의 배경조건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해할 때 현대사회에서 과학은 분명히 문화의 중심에 있다. 이런 문제의식에서 출발해 이 책은 객관성과 이미지, 기후변화의 정치학, 음악, 프랙털 건축, 소셜네트워크처럼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솔직히 말하면 대개 이런 종류의 책은 내용이 피상적이거나 참여 저자들이 다른 곳에서 한 이야기를 단순화해 반복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 책은 다르다. 신선하다. 44인에게서 짧은 글을 받아 유명한 사람의 이름값으로 책을 팔려는 얄팍한 상술이 아니라 독특한 철학이 담긴 편집으로 정면승부를 건다.

이 책의 기획자 애덤 블라이는 현대사회에서 다양한 분야와 상호 작용하는 과학의 모습을 담아낼 수 있도록 서로 다른 분야의 사람들을 둘씩 짝지어서 공통된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도록 했다. 우리 시대의 석학과 전문가 44명이 서로 공통된 관심사에 대해 흥미로운 이야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5년에 걸쳐 모임을 주선한 것이다.

물리학자로서 우리의 시간 경험과 공간 경험에 대한 소설을 여러 편 집필한 앨런 라이트먼과 시공간 속에 전개되는 안무로 예술 속에서 시간을 구현하는 무용가 리처드 콜턴을 한자리에 앉혀 ‘시간’에 대해 대화를 나누게 한 것이다. 결과는? 읽는 재미가 쏠쏠하다. 고개를 끄덕이게 하는 대목도 여럿이다. 탁월한 구성이라는 느낌을 주는 책이다.

마음에 드는 부분은 구성만이 아니다. 생물학자 에드워드 윌슨, 심리학자 스티븐 핑커, 언어학자 놈 촘스키, 영화감독 미셸 공드리 등 대담자의 면면도 묵직하다. 흥미로운 점은 이들의 대담 내용에서, 솔직히 해당 분야에 대해 꽤 알고 있다고 생각했던 나조차 ‘아하, 요런 생각을 하고 있었구나!’라고 깨닫게 하는 유익한 지점이 있었다는 사실이다. 이는 아마도 대담의 형식을 통해 서로 질문을 주고받다가 어떤 경우에는 상대방의 생각을 보완하고 때로는 대립하다 보면 혼자 쓰는 책에서는 잘 드러내지 않는 숨은 면모를 슬쩍 보이기 때문인 것 같다.

예를 들어, 평소 사회생물학의 든든한 동맹자 사이로 여겨졌던 에드워드 윌슨과 철학자 대니얼 데넷이 인간의 도덕적 판단의 자율성 문제에서 나름의 이유를 갖고 대립하는 모습은 사뭇 흥미로웠다. 외계에서 오는 신호를 분석한 우주론 연구자 재나 래빈과 여러 장르를 혼합한 소설로 맥아더재단의 천재회원으로 선정된 소설가 조너선 레덤이 만나 진실과 픽션 사이의 미묘한 관계에 대해 주고받는 이야기도 매혹적이었다.

당연히 이 책에서 논의된 모든 주제에 대한 폭넓은 지식을 한번에 얻을 순 없을 것이다. 하지만 미래 세대는 과학적 세계관과 인문적 감수성, 사회과학적 치밀함을 서로 아울러야 한다. 이들에게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학문 발전의 첨단과 미래에 대한 성찰을 엿보게 해줄 수 있는 이 책은 분명한 호소력을 갖는다. 과학은 미래를 보여줄 문화이기에.

이상욱 한양대 교수·과학철학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