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제 자식에 젖 한번 못물린 왕비는 행복했을까

  • Array
  • 입력 2012년 10월 6일 03시 00분


코멘트

◇조선의 왕비로 살아가기
심재우 임민혁 이순구 한형주 박용만이왕무 신명호 지음/340쪽·2만5000원·돌베개

“왕세자가 태어난 지 3일 안에 유모(乳母)를 구하는 것이 고례(古例)이니, 이를 따르는 것이 어떻겠습니까?”(태종실록 27권 중)

조선시대 왕비의 가장 큰 역할은 왕의 후계자, 즉 아들을 낳는 것이었다. 하지만 막상 아이가 태어나도 왕비는 젖 한번 물릴 수 없었다. 왕실에서 육아는 어머니인 왕비가 아닌 유모 등 궁궐 내 ‘육아 전문가’들에게 맡겼기 때문이다. 세자빈이나 후궁 역시 그러했다. 따라서 왕비의 임신과 출산, 태교에 대한 기록은 많은 반면 왕비의 육아에 대한 기록은 찾아보기 어렵다.

한국학중앙연구원 학자들이 왕실 관련 자료들을 분석 정리한 이 책은 왕비의 간택 과정에서부터 왕과 왕비의 첫날밤, 출산과 육아, 일상 및 여가생활, 왕비를 둘러싼 친인척과 정치세력, 후궁 및 궁녀와 같은 궁중 여성들과의 관계 등을 소개한다.

왕비는 ‘공모’를 통해 선발했다. 왕실이 간택령을 내리면 전국의 15∼20세 양반가 처녀들은 사주단자를 제출해야 했다. 선발된 처녀 중 왕비를 뽑는 일은 남편이 될 왕이 아니라 시어머니가 될 왕대비나 시할머니가 될 대왕대비가 맡았다. 세자빈을 뽑을 때도 동일한 절차를 밟았다. 실제로 계비(繼妃)일 경우 외에는 왕비 대다수가 세자빈으로 왕실 생활을 시작했다.

왕비나 세자빈이 된 후의 삶은 더더욱 가시밭길이었다. 남편을 보필하는 것은 물론이고 궁궐 내 층층시하의 시댁 어른들을 잘 섬겨야 했다. 후궁이나 궁인 등을 다스리는 것도 왕비의 몫이었다. 작은 행동 하나도 조심해야 했다. 사도세자의 아내이자 정조의 어머니인 혜경궁 홍씨는 시아버지인 영조에게 다음과 같은 훈계를 들었다. “세자 섬길 제 부드러이 섬기고 목소리나 얼굴빛을 가벼이 말고 눈이 넓어 무슨 말을 봐도(접해도) 궁중에서는 예삿일로 여겨야 하니 네 모르는 체하여 먼저 아는 빛을 보이지 말라.”

왕비의 제1 책무는 후계자 생산이었지만 실제 자녀 출산력은 높지 않았다. 조선시대 27명의 왕 가운데 적장자(嫡長子)로 왕위에 오른 군주는 문종 단종 연산군 인종 현종 숙종 순종 등 7명에 불과했다. 그러다 보니 왕을 낳은 후궁은 왕비 못지않은 대접을 받았는데, 영조의 어머니인 숙빈 최씨가 대표적이다. 궁인 출신으로 후궁 중 가장 높은 빈에 오른 그는 사후에도 여러 차례 추숭(追崇·사후에 존호 등을 올림)됐다.

왕비가 공식적으로 정치에 참여하지는 않았지만, 외척을 동원하거나 나이 어린 아들이나 손자가 왕위에 올랐을 때 왕을 대신해 정사를 보는 ‘수렴청정’을 통해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다. 흥미로운 점은 남존여비의 유교적 관념의 역설적 결과물로 남성 종친이 아닌 여성인 대비가 수렴청정을 할 수 있었다는 사실이다. 대비의 권력이 아무리 강하다 해도 왕위를 찬탈할 가능성은 거의 없었고 실제로 가장 가까운 핏줄인 어린 왕의 보호막이 됐다.

전문적 내용을 다루고 있지만 사례를 풍부하게 인용해 지루하지 않다. 사극을 통해 친숙한 희빈 장씨가 경종을 낳은 후 심한 젖몸살을 앓았다는 내용 등 흥밋거리도 풍부하다.

이지은 기자 smiley@donga.com
#책의 향기#인문사회#조선#왕비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