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의 향기]전쟁의 시작… 일본은 왜 세계를 적으로 돌렸나

  • 동아일보
  • 입력 2018년 1월 6일 03시 00분


코멘트

◇그럼에도 일본은 전쟁을 선택했다: 청일전쟁부터 태평양전쟁까지/가토 요코 지음·윤현명 이승혁 옮김/448쪽·1만8000원·서해문집

태평양전쟁의 시작인 일본의 진주만 침공을 그린 영화 ‘진주만’. 미국은 진주만의 수심(12m)이 얕아 어뢰 공격이 불가능하다고 여겨 방심했지만 일본은 혹독한 훈련을 통해 3개월 만에 공격 기술을 확보했다. 동아일보DB
태평양전쟁의 시작인 일본의 진주만 침공을 그린 영화 ‘진주만’. 미국은 진주만의 수심(12m)이 얕아 어뢰 공격이 불가능하다고 여겨 방심했지만 일본은 혹독한 훈련을 통해 3개월 만에 공격 기술을 확보했다. 동아일보DB
“인간의 상식을 넘어서, 학문적인 판단도 넘어서, 전쟁은 벌어졌다. 일본은 세계를 적으로 돌렸다.”

1941년 12월 8일 일본이 미국과 영국에 대한 기습공격으로 태평양전쟁이 시작된 날, 정치학자 난바라 시게루는 이렇게 탄식했다. 당시 미국은 국민총생산(GNP)이 일본의 12배에 가까웠다. 이런 열세에도 불구하고 일본이 전쟁을 감행한 이유는 뭘까. 중일전쟁 후 미국이 중국에서 손을 떼지 않자 미국 세력을 몰아내기로 한 것이다. 중일전쟁을 위해 조성해 둔 군비로 군사력을 급격히 끌어올린 일본 정부는 단기전은 승산이 있다고 오판했다.

도쿄대 교수인 저자는 청일전쟁부터 태평양전쟁까지 일본의 근대 침략전쟁의 원인과 특징을 세계 역사 속에서 짚었다. 중고생 대상 특강을 정리한 책으로, 쉽고 간결하면서도 깊이가 있어 성인 독자가 읽기에도 부족함이 없다. 일본 중국 한국 미국 등의 내부 상황은 물론이고 국제관계를 조명해 세부 상황을 파악하면서도 넓은 시야로 당시 정세를 이해할 수 있다.

근대 일본이 강대국과 벌인 첫 전쟁인 청일전쟁(1894∼1895년)은 중국 중심의 화이질서가 무너지자 조선을 두고 경쟁하며 벌어졌다. 청은 러시아를, 일본은 영국을 각각 대리해 나선 제국주의 전쟁의 대리전이기도 했다. 청일전쟁 결과 일본은 화이질서에서 벗어났다. 러일전쟁으로 일본은 서구 열강에 대등한 지위를 인정받음으로써 식민지 질서에서 빠져나올 수 있었다.

일본은 영국의 요구를 받아들이는 형태로 산둥반도의 독일 영역을 공격함으로써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했다. 하지만 전후 일본은 산둥반도 이권, 조선 통치 등에 대해 미국 영국으로부터 비판을 받자 고립감을 느끼고 더 넓은 식민지를 차지하기 위해 독자적인 길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저자는 일본이 벌인 전쟁의 속성을 현대 전쟁과도 연결시킨다. 9·11테러 후 미국은 범죄자를 처벌하는 시각으로 이라크전쟁에 나섰다. 중일전쟁(1937년) 역시 마찬가지라는 것. 당시 베이징 교외에서 중국군과 일본군이 충돌해 전면전으로 확대되자 일본 정부는 “국민정부를 상대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중국의 불법 행위를 중지시키기 위해 실력을 행사한다는 의미로, 이라크전쟁을 벌인 미국의 입장과 다르지 않다.

일본이 벌인 침략전쟁의 원인과 의미를 분석하는 데 그치지 않고 비판적 입장도 적극 소개한다. 해군 미즈노 히로노리의 일갈(1929년)이 대표적이다.

“주요 물자의 8할을 외국에 의존하는 섬나라 일본의 생명줄은 통상이다. 일본은 무력전에서는 이겨도 현대의 전쟁인 지구전, 경제전에서는 절대로 이길 수 없다. 그러므로 일본은 전쟁할 자격이 없다.”

이는 현실에 대한 냉철한 판단이기도 하다. 하지만 일본은 다른 선택을 했다.

현재 일본은 침략전쟁에 대한 책임을 외면하고 있다. 저자는 천황을 포함해 당시의 내각, 군 지도자에게 전쟁의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어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의 전쟁 책임 문제에 대해 충분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답한 이가 절반을 넘었다는 설문 결과(요미우리신문·2005년)에서 희망을 발견했다고 덧붙였다.

전쟁을 둘러싼 판단 과정과 파장, 책임에 대해 여러 질문을 던지며 읽는 이를 사유의 세계로 초대하는 노련하고 힘찬 손길을 느낄 수 있다.

손효림 기자 aryssong@donga.com
#그럼에도 일본은 전쟁을 선택했다#가토 요코#윤현명#이승혁#태평양전쟁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