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 시선]금연구역 확대해 간접흡연 피해 줄이자

  • 동아일보
  • 입력 2015년 9월 2일 03시 00분


코멘트
조성일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 대한금연학회 회장
조성일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 대한금연학회 회장
“최근 7일 동안, 직장의 실내에서 다른 사람이 피우는 담배 연기를 맡은 적이 있습니까?”

이 질문에 그렇다고 답하는 직장인들은 얼마나 될까? 작년 말에 공개된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 따르면 비흡연 직장인 중에서 남성은 대략 10명 중 6명, 여성은 10명 중 4명이 직장 실내에서 담배 연기에 노출된다고 했다. 공공장소의 간접흡연은 더 높아서, 비흡연 남성의 61%와 여성의 52%가 최근 7일 동안 공공장소 실내에서 간접흡연을 경험한 것으로 답했다. 한편 청소년들이 집 안에서 주 1일 이상 간접흡연에 노출되는 비율은 30%가 넘으며 그나마 지난 수년간 꾸준히 줄어든 것이 이 정도이다.

간접흡연을 일으키는 담배 연기는 국제암연구소의 분류에 따르면 인체 발암성의 증거가 충분한 1등급 발암물질이다. 흡연자조차도 대개 남의 담배 연기는 싫어한다. 그런데도 왜 이렇게 간접흡연이 많을까? 근본적으로는 우리 사회의 흡연율이 높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간접흡연을 피하기 위해서는 모든 흡연자가 금연을 할 때까지 기다려야 할 것인가? 다행히 그렇지만은 않다. 여러 사람이 사용하는 공간을 금연구역으로 만들면 된다. 일상적으로 활동하는 장소에서 담배 연기가 사라진다면 간접흡연은 완전히 없어질 수 있는 것이다.

금연 정책에서 성과를 올렸던 뉴질랜드에서는 2004년부터 종합적인 금연구역 법안이 실행되면서 2006년까지 2년 동안 직장에서의 간접흡연이 21%에서 8%로 떨어졌다. 이 기간에 주점을 이용하는 손님들의 간접흡연도 90%가 줄었다. 업주들에게 경제적인 타격이 있으리라는 일부 우려와는 달리 손님 수나 수익은 줄어들지 않았다.

간접흡연을 줄여야 한다는 데 대해서는 흡연자들도 동의한다. 한 조사에 따르면 흡연자의 80% 이상이 간접흡연이 해롭다는 것을 알고 있다. 이러한 인식이 있으면 공공장소를 완전히 금연구역으로 만드는 정책에 대한 지지도가 뚜렷하게 더 높았다. 금연구역을 확대하는 과정에서 흡연자와 비흡연자의 갈등이 생기는 것처럼 보일 수 있으나 어쩌면 이 갈등 조장은 금연정책을 방해하려는 담배회사의 전략일 수도 있다. 흡연자나 비흡연자나 간접흡연을 없애려는 공동의 가치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함께 풀어나갈 해법들을 찾아야 한다.

조성일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 대한금연학회 회장
#금연구역#확대#간접흡연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