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장 뒤져 암퇘지 난소 채취하다 결국 못견디고…

  • 동아일보
  • 입력 2016년 4월 29일 03시 00분


코멘트

돼지 도축장의 누린내-피 비린내가 콧속 훅 찔러
이공계 ‘극한 알바’ 체험 3題

성재호 씨가 도축장에서 가위를 이용해 암퇘지의 내장에서 난소를 떼어내고 있다. 난소는 연구소로 옮겨져 난자를 채취한 뒤 복제나 발생 연구에 활용된다. 이 작업은 난소를 찾기 어렵고 냄새가 역겨워 이공계 연구 현장의 대표적인 ‘극한 알바’로 꼽힌다. 청주=송준섭 동아사이언스 기자 joon@donga.com
성재호 씨가 도축장에서 가위를 이용해 암퇘지의 내장에서 난소를 떼어내고 있다. 난소는 연구소로 옮겨져 난자를 채취한 뒤 복제나 발생 연구에 활용된다. 이 작업은 난소를 찾기 어렵고 냄새가 역겨워 이공계 연구 현장의 대표적인 ‘극한 알바’로 꼽힌다. 청주=송준섭 동아사이언스 기자 joon@donga.com
6일 충북 청주시 인근의 한 돼지 도축장. 돼지 누린내와 피 비린내가 콧속을 훅 찔러 온다. 녹색 작업복으로 갈아입고 안으로 들어서자 갓 도축한 돼지들이 갈고리에 걸려 움직이고 있다. 돼지 내장이 실려 나오는 컨베이어 벨트 앞에는 한 손에 가위를 든 채 뭔가를 뒤지는 사람이 있다. 내장을 보고 암퇘지와 수퇘지를 구별하고 돼지 난소를 채취하는 일을 하는 성재호 씨다.

○ 최고난도 알바, 돼지 난소 채취

이 일은 한 잡지에서 ‘대한민국에서 가장 힘든 아르바이트’로 선정하기도 했다. 성 씨 옆에서 작업을 거들어 봤지만 난소를 찾지 못해 컨베이어 벨트 끝까지 끌려가기 일쑤였다. 결국 냄새를 이기지 못하고 밖으로 도망치듯 나왔다. 흰 가운을 입고 ‘우아하게’ 연구하는 이공계 연구 현장은 이곳에서는 사치에 불과했다.

성 씨는 충북대 농대 동물바이오신약장기개발사업단의 의뢰를 받아 일주일에 4번씩, 3년째 이 일을 하고 있다. 오전에는 경기 안성시의 소 도축장을, 오후에는 돼지 도축장을 찾아 하루에 약 400개의 난소를 채집한다. 난소 채집을 마치면 난소에서 핏물을 뺀 뒤 주삿바늘을 이용해 난자를 채취한다. 50원짜리 동전 크기의 난소에서 10여 개의 난자를 얻을 수 있다.

남궁석 충북대 축산학과 교수는 “난자를 쉽게 구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돼지와 소를 대상으로 한 복제 등의 연구가 활발하다”며 “말처럼 도축을 거의 하지 않는 동물로는 연구하기가 어렵다”고 말했다.

○ 탈모 연구에 필요한 쥐 털 길이 재기

이번에는 쥐 털 뽑기에 도전했다. 의뢰자인 오지원 경북대 의대 교수는 탈모 치료를 위해 모발의 길이를 조절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털이 길게 자라도록 조작한 쥐의 털을 뽑아 보통 쥐의 털과 어떻게 다른지 살피는 게 임무다.

오 교수가 얇게 포를 뜨듯 쥐의 피부를 벗겨 내면 아르바이트생은 양손에 핀셋을 잡고 조심스레 털을 뽑는다. 흰머리를 뽑는 것과 비슷한 느낌이다. 겉으로 보기에는 비슷하기 때문에 현미경으로 한 올 한 올 살피면서 종류별로 털을 구분한다. 그런 다음에는 털을 가지런히 정렬해 놓고 사진을 찍고 길이를 잰다.

한 번에 대략 50가닥을 뽑는데, 핀셋을 다루는 게 서툴러서인지 1시간 동안 절반도 처리하지 못했다. 현미경에서 나오는 밝은 빛 때문에 눈도 침침해졌다. 논문 한 편을 쓰려면 이런 작업을 수백 번 반복해야 한다. 오 교수는 “숙련된 연구자에게도 지루한 일”이라며 “음악을 틀어 놓고 동료들과 함께 하면서 버텨 낸다”고 말했다.

○ 초파리 밥 맛있게 짓기

대표적인 실험 동물인 초파리를 기르는 실험실에도 ‘극한 알바’가 있다. 수만 마리나 되는 초파리를 연구자들이 직접 관리하기가 힘들어 초파리 수 세기, 돌연변이 확인 등 단순한 업무는 아르바이트생의 몫이다. 그중에서도 가장 어려운 작업은 초파리 밥 만들기다.

수많은 초파리에게 때마다 밥을 챙겨 주기는 불가능하다. 연구실에서는 대개 높이 10cm 정도의 플라스틱 통 바닥에 밥을 잔뜩 채워 놓고 그 안에서 초파리를 기른다. 초파리 밥 만들기의 성패는 ‘밥맛’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데 달렸다.

일반적인 초파리 레시피는 다음과 같다. 단맛을 내는 시럽과 옥수숫가루 등을 큰 솥에 넣고 30분간 끓인다. 이를 충분히 식힌 뒤 산성을 좋아하는 초파리를 위해 산성용액으로 간을 한다. 산성용액은 냄새가 아주 독해 식초에 코를 박고 있는 기분이 들 정도다. 이날 만든 초파리 밥
은 총 1000개. 문석준 연세대 치대 교수는 “중간에 밥 성분이 바뀌면 초파리의 행동이 조금씩 바뀐다”며 “전 세계 초파리 실험실의 초파리 밥 레시피를 통일하자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다”고 말했다.


▒스마트폰으로 QR코드를 찍으면 ‘과학동아 5월호’에 실린 이공계 ‘극한 알바’ 현장동영상을 보실 수 있습니다.

 
청주=송준섭 동아사이언스 기자 joon@donga.com
#이공계#극한 알바#돼지 난소#초파리 밥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